$\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각통합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ord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634 - 641  

김금숙 (혜전대학교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능력의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본 사례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9월부터 12월이며, 개별실험연구 방법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각각 2회기, 9회기, 2회기로 총 13회기 진행하였다. 감각통합프로그램은 50분씩 9회기 진행하였고 윌버거프로토콜(Wilbarger's Protocol)을 하루 2~3회씩 실시하였다. 아동의 기초적 발달 수준을 알기 위해 영역별 관찰 평가와 사회성숙도검사를 초기에 실시하였다.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SP)을 실시하였으며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작업수행 능력정도를 일상생활평가(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 WeeFIM)와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을 통해 각각 평가하였다. 아동의 사회행동인 탐색행동과 식사하기는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감각통합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행동을 증가시키고 식사하기를 가능하게 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아동의 식사하기는 중재 후 5회기부터 안정적으로 가능하였으며, 탐색행동은 중재 후 3주 후부터 변화를 보이기 시작해 7주 후 부터는 안정적인 탐색행동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을 가진 지적장애아동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어려움을 중재하는데 감각통합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을 말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cas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ocial behaviors and feeding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lack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done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and an ABA(two sessions, nine sessions, two ses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 향상 프로그램, 즉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고 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이면서 감각처리능력의 문제를 동반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감각처리능력의 문제를 동반한 지적장애 아동이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후 아동의 탐색행동과 어린이 집에서 식사하기 행동을 관찰하고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감각통합치료를 통한 활동이 아동의 식사하기를 포함한 일상생활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자신의 눈을 가리고 한 자리에만 웅크리고 있는 행동에서 벗어나는 행동을 사회행동의 시작으로 보고 이를 환경을 탐색하고 사람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사회행동으로 정의하고 관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직접 자신의 작업수행상의 문제를 설정하고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할 수는 없지만 아동의 양육자가 지각하는 문제를 중심으로 수행도와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아동의 작업수행문제의 변화 정도와 지각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아동의 사회행동과 식사하기 행동을 각각 관찰 측정하고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감각처리의 어려움을 가지는 지적장애 아동의 효과적인 중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감각입력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인해 사회행동의 기본인 환경 탐색을 어려워하고 효과적인 구강탐색에 실패하여 식사하기를 거부하는 만 6세 2개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처리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개별실험연구 방법으로 13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 지적장애아동은 특히 감각조절에 문제를 보이는데 그중 감각방어는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보이며, 사회적 상호작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일상생활, 놀이, 사회적응에 문제를 일으킨다[13-14]다고 보고하였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감각처리능력의 문제를 동반한 지적장애 아동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각통합치료적 접근을 하고 그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또한, 점심식사를 하지 못하고 거부하는 아동이었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환경 탐색에 대한 두려움과 식사하기, 변기 사용하기 등 일상생활의 어려움이 감각처리 능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감각통합적 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동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처리장애란 무엇인가 감각처리장애는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자극에 대해 감각정보의 처리와 조직화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이며[1], 정상적인 감각처리에 문제가 생긴 아동은 발달적으로 적절한 능력의 획득과 수행에 문제를 가진다[2]. 이는 일상생활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작업수행능력 등 적응활동을 하는 능력이 지연 될 수 있다[3-4].
감각처리장애는 어떠한 능력이 지연 될 수 있는가 감각처리장애는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자극에 대해 감각정보의 처리와 조직화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이며[1], 정상적인 감각처리에 문제가 생긴 아동은 발달적으로 적절한 능력의 획득과 수행에 문제를 가진다[2]. 이는 일상생활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작업수행능력 등 적응활동을 하는 능력이 지연 될 수 있다[3-4]. 감각처리장애는 감각조절장애(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와 실행장애(Dyspraxia)로 나누어진다.
감각처리장애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이는 일상생활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작업수행능력 등 적응활동을 하는 능력이 지연 될 수 있다[3-4]. 감각처리장애는 감각조절장애(sensory modulation dysfunction)와 실행장애(Dyspraxia)로 나누어진다. 감각조절은 감각입력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고 조직화하는 능력이며 신경생리학적으로 자극의 흥분과 역치사이의 균형을 조절하는 것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 J. Ayres, Sensory Integration and Child.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pp. 47-49, 1989. 

  2. W. Dunn, "The sensation of everyday life: Empirical, theoretical and pragmatic consideration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5, no. 6, pp. 608-620, 2001. DOI: https://doi.org/10.5014/ajot.55.6.608 

  3. A. G. Fisher, E. Murrary, A. Bundy.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vol. 1, pp. 267-306, 1991. 

  4. M. S. Kim,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1. 

  5. A. Ben-Sasson, S. A. Cermak, G. I. Orsmond, H. Tager-Flusberg, A. S. Carter, M. B. Kadlec, W. Dunn, "Extreme Sensory modulation behaviors in toddler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1, pp. 584-592, 2007. DOI: https://doi.org/10.5014/ajot.61.5.584 

  6. E. Y. Kim, S. Y. Ji, "The Effect of Short-Term Intensive Integration Therapy Program on a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Mixed Pattern): Case Study",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vol. 4, no. 1, pp. 1-10, 2006. 

  7. P. Wilbarger, L. J. Wilbarger. Sensory defensiveness in children aged 2-12: An intervention guide for parents and other caregivers. Denver. Co: Avanti Educational Programs. 1991. 

  8. J. Y. Lee, S. E. Kim, "The Home-baded Program for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Case Study", The Journal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vol. 5, no. 1, pp. 41-49, 2007. 

  9. P. C. Tan. Prevalence of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and school function,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outher California, Los Angeles, 2002. 

  10. J. Y. Lee, M. Y. Jung, "The Study on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and the Behavior Problem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10, no. 2, pp. 57-67, 2002. 

  11. M. S. Jung, Y. S. Son, H. H. Jung.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sigmapress, vol. 7, pp. 482-520, 2011. 

  12. S. H. Lee, H. S. Lee,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the Stereotypic Behaviors of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vol. 8, no. 2, pp. 65-79, 2001. 

  13. G. T. Baranek, "Efficacy of sensory and motor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J Autism Dev Disord, vol. 32, no. 5. pp. 397-422, 2002. DOI: https://doi.org/10.1023/A:1020541906063 

  14. S. G. Chae, "A Study on the effects of play based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the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Rehabitation for Children, vol. 11, no. 3, pp. 89-112, 2007. 

  15. S. A. Cermak, The effects of deprivation on processing, play, and praxis. In: Roley S. S, Blanche E. I, Schaaf R. C, editor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ensory integration with diverse populations. San Antonio, TX: Therapy Skill Builders; pp. 385-404, 2001. 

  16. J. Case-Smith, R. Humphry, Feeding intervention. In: Case-Smith J, editor.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St. Louis, MO: Mosby; pp. 481-520, 2005. 

  17. A. M. Davis, A. S. Bruce, R. Khasawneh, T. Schulz,C. Fox, W. Dunn, "Sensory processing issues in young children presenting to an outpatient feeding clinic: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vol. 56, no. 2, pp. 156-160, 2013. DOI: https://doi.org/10.1097/MPG.0b013e3182736e19 

  18. J. Case-Smith, L. L. Weaver, M. A. Fristad, "A systematic review of sensory process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ism, vol. 19, pp. 133-148, 2015. DOI: https://doi.org/10.1177/1362361313517762 

  19. A. C. Bundy, E. A. Murray, Sensory integration: A. Jean Ayres' theory revisited. In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Eds.),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 A. Davis, vol. 2, pp. 3-29, 2002. 

  20. R. C. Schaaf, T. W. Benevides, D. Kelly, Z. Mailloux-Maggio, "Occupational therapy and sensory integr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 feasibility, safety, acceptability and fidelity study", Autism, vol. 16, pp. 321-327, 2012. DOI: https://doi.org/10.1177/1362361311435157 

  21. R. C. Schaaf, K. M. Nightlinger,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A Case Study of Effectiven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1, no. 2, pp. 239-246, 2007. DOI: https://doi.org/10.5014/ajot.61.2.239 

  22. S. A, Smith, B. Press, K. P. Koening, M. Kinnealey,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elf-stimulating and self-injurious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9, no. 4, pp. 418-425, 2005. DOI: https://doi.org/10.5014/ajot.59.4.418 

  23. R. L. Watling, J. Dietz, "Immediate Effect do Ayres's sensory Integration-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o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1, no. 5, pp. 574-583, 2007. DOI: https://doi.org/10.5014/ajot.61.5.574 

  24. I. J. Yang, "The effect on the Stereotyped Behavior Decreasing By the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Incompatible Behavior and Overcorrection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1999. 

  25. L. R. Addison, C. C. Piazza, M. R. Patel, M. H Bachmeyer, K. M. Rivas, S. M. Milnes, J. Oddo. "A Comparison of Sensory Integrative and Behavioral Therapies as Treatment for Pediatric Feeding Disord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vol. 45, no. 3, pp. 455-471, 2012. DOI: https://doi.org/10.1901/jaba.2012.45-455 

  26. W. Dunn, "The Sensory Profile: A Discriminant Analysi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52, no. 4, pp. 283-290, 1998. DOI: https://doi.org/10.5014/ajot.52.4.283 

  27. N. Ha, "Use of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n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for adults with strok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14. 

  28. E. Y. Kim, Y. Y. Park, K. M. Kim,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Program on Praxis and Socialization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ol. 7, no. 2, pp. 37-47, 2009. 

  29. Y. K. Hong, H. G. Kim,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ol. 7, no. 2, pp. 1-12, 2009. 

  30. R. C. Schaaf, L. J. Miller,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nt Retard Dev Disabil Res Rev, vol. 11, no. 2, pp. 143-8, 2005. DOI: https://doi.org/10.1002/mrdd.20067 

  31. Z. Mailloux, S. S. Roley, Sensory integration. In: In H, Kuhaneck Miller, editors, Autism: A comprehensive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 Bethesda, MD: AOTA Press; pp. 215-244, 2004. 

  32. D. Parham, Z. Mailloux, Sensory integration. In: Case-Smith J, editor,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St. Louis, MO: Mosby; pp. 356-411,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