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DS와 GIS를 이용한 교량 화재 위험도의 정량적 평가 및 적용방안
Quantitative Fire Risk Assessment and Counter Plans Based on FDS and GIS for National Road Bridges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1 no.6, 2017년, pp.185 - 195  

안호준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박철우 (강원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김용재 (강원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장영익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공정식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교통과 물류의 발달과 함께 위험물 수송의 증가와 교통량의 증가로 인하여, 주요한 사회기반시설물 중 하나인 교량에 대하여 예상하지 못한 화재사고 화재 발생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교량 하부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하부에 유조차 및 화물차 등의 위험물질이 적치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서 기술한 이유들로 인하여 최근 교량의 화재 발생 위험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교량에 대한 화재 위험도 평가가 수행된 사례가 있으나, 사용자의 관점에서 안전성을 고려한 실용적으로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도교량에 적용 가능한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교량의 화재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형하고, 화재강도, 교량의 재료, 소방차량 도착시간 등을 주요인자들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인자들을 FDS에 반영하여 화재강도와 지속시간에 따른 각 교량의 최고 온도를 산출하였다. FDS 해석결과와 위험도 등급기준, 소방차량 도착시간을 반영한 화재 위험도 평가 모델과 위험도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였다. GIS의 네트워크 분석기능을 통해 소방서에서 교량까지의 도착시간을 예시적으로 산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예시적인 교량의 위험도 등급을 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unexpected bridge fire accidents have increased because of augmenting the number of traffic volumes and hazardous materials by the increment in traffics and distribution business. Furthermore, in accordance with the effort of using the under space of bridges, the ratio of occupie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량에 인접해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구조물의 손상피해 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나 교통체증으로 인한 추가적인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국내외 교량화재의 사고사례와 피해규모 등을 분석하고, 교량화재의 위험도 평가 필요에 따라 실용적인 교량의 화재위험도 등급평가 및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FDS를 통한 화원 종류별 환경 인자별 화재 해석 및 온도에 따른 재료물성치의 변화 분석, 그리고 소방력의 정량적 등급화 과정 등을 통해 강교량과 콘크리트 교량의 화재 위험도 등급평가 및 대응방안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교량 구조물의 화재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위험 수준에 따른 대응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국도 상에 존재하는 교량을 대상으로 교량구조물의 특성, 화재원의 종류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Fire Dynamic Simulators(FDS) 해석을 수행하였다.
  • 수립된 위험도 평가 모델에 실제교량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GIS의 Network 분석기능을 통해 소방차량의 교량까지 도착시간을 산정하고 각 교량의 위험도 등급을 예시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교량 화재 위험도 평가의 목적은 위험도를 기반으로 소방 또는 방재 전략을 사전 구축함으로써 화재를 예방하고 만에 하나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정량적 재해 규모를 1차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설 설정

  • 화원모델의 면적은 도로터널 방재지침(2016)의 차종별 평균길이를 반영하여 각각의 화원 면적을 선정하였다. 또한, 차량의 사고발생시 화원의 높이를 고려하여 차량 화재 시 화원 중심은 1 m높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결론적으로, Table 6과 같이 총 6개의 화원별 화재면적과 높이를 FDS의 화원 모델링에 반영하였다.
  • Fire Dynamics Simulator(FDS)해석을 통해 교량 하부의 표면온도를 산출하였으며, 설계화재강도와 형하고를 변수로하고 콘크리트와 강교량의 재료적 특성을 반영하여 화재 심각도(Severity)를 산출하였다. 화재는 열이 위쪽으로 향하는 경향을 띄고 있어서 교량 상부보다는 하부 화재가 위험하고, 교량 경간 중앙 하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가장 취약하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교량하부 중앙에서의 화재발생을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도 평가 시 적용하는 위험의 특성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 2016). 이러한 특성에는 심각도(severity), 공간적 규모(spatial scale), 지속시간(duration) 및 관련된 확률(probability)과 그 원인과 결과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Hurley et al., 2016).
교량에서의 화재 발생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교량에서의 화재는 하부 형하공간이나 지하도로와 같이 주로 밀폐된 공간에서 차량사고와 발화성 적치물, 교량상부에 매달린 가스관에서의 누출된 가스 폭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교량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구조물에 손상을 입히며 극심할 경우 붕괴까지 이어지는 막대한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Lee et al.
위험도 평가란 무엇인가? 위험도 평가는 개인, 집단, 사회 또는 환경에 대해 허용 가능한 수준의 위험 또는 위험 수준에 관한 정보를 확립하는 과정이며, 일반적으로 가능한 한 정량적인 방법으로 위험의 특성을 과학적으로 결정하게 된다(Hurley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staneh-Asl, A., Noble, C. R., Son, J., Wemhoff, A. P., Thomas, M. P., and McMichael, L. D. (2009), Fire protection of steel bridges and the case of the MacArthur maze fire collapse. In TCLEE 2009: Lifeline Earthquake Engineering in a Multihazard Environment, 1-12. 

  2. Baik, H. S., Park, C. W., and Shim, J. W. (2016), Need for Confrontational Strategy of Bridge Fire Protection with Domestic and Foreign Cases, JOURAN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4(7), 10-12. 

  3. Cremona, C. (2012), Structural performance: Probability-based assessment, John Wiley & Sons, Hoboken, NJ07030. 

  4. Domone, P. L. J. and Illston, J. M. eds. (2010), Construction materials: their nature and behaviour, 4th ed, Spon Press, Milton Park, Abingdon, Oxon, New York. 

  5. Haack, A. (1998). Fire protection in traffic tunnels: general aspects and results of the EUREKA project.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13(4), 377-381. 

  6. Hurley, M. J., Gottuk, D. T., Hall, J. R., Harada, K., Kuligowski, E. D., Puchovsky, M., Torero, J. L., Watts, J. M., and Wieczorek, C. J. eds. (2016), SFPE Handbook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Springer New York, New York, NY. 

  7. Kim, W., Jeoung, C., Gil, H., Lee, I., Yun, S. H., and Moon, D. Y. (2013), Fire Risk Assessment for Highway Bridges in South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551), 137-145. 

  8. Koo, S. and Yoo, H. H. (2012), An analysis of fire area in Jinju city based on fire mobilization tim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0(4), 127-134. 

  9. Lacroix, D. (1998), The new piarc report on fire and smoke control in road tunnels, 185-197. 

  10. Lee, H. H. and Sim, J. H. (2011), GIS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Beop Moons, Gyeonggi-do, 10881. 

  11. Lee, J. B., Kim, I. K., and Cha, C. J. (2011), Fire Damage Case and Condition Analysis about Concrete Bridges,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23(3), 32-38. 

  12. Martin, D. T. (1999), Fire service emergency cover planing a flexible respons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re Service Development Analysis, Jennings, C. R(Ed.). Attendees Proceedings, Indianapolis, 2-8. 

  13. McGrattan, K., Hostikka, S., Floyd, J., Baum, H., Rehm, R., Mell, W., and McDermott, R. (2004),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technical reference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4. Peacock, R., Jones, W., Reneke, P., and Forney, G. (2005), CFAST-8 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Version 6) User' Guide, NIST Special Publication. 

  15. The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The National Guideline for the Installation of Road Tunnel Fire Safety Facilities. 

  16. Wright, W., Lattimer, B., Woodworth, M., Nahid, M., and Sotelino, E. (2013). Highway bridge fire hazard assesment, draft final report.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TRB Project, (12-85). 

  17. Zhai, C., Guo, Y., Lou, Y., and Lu, Y. (2014), Evaluation and repair of fire damage to the concrete structures of a high-rise building (2014), in: M. Grantham, P. Basheer, B. Magee, M. Soutsos (Eds.), Concrete Solutions 2014, CRC Press, 485-491. 

  18. Zi, G. S., Lee, S. J., Shin, Y. H., Shim, J. W., and Kim, J. H. (2011). Investigation of the Fire Source in the Warehouse under Bridge using FDS Code.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4(6), 663-6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