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이 고등학교 학생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Instruction Model on Character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5, 2017년, pp.847 - 857  

권정인 (부산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인성 역량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의 적용이 학생들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네 개 학급(143명) 중 실험 집단(2개 학급, 73명)은 두 학기 동안 총 8개 주제의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CoProC)을 적용하였으며, 비교 집단(2개 학급, 70명)은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은 협력적 문제해결 과정과 논의기반 탐구 과정을 바탕으로 개발하여 준비, 문제해결, 평가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의 적용이 학생들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성 역량 검사를 분석하였다. 인성 역량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는 SPSS WIN 23.0을 사용하여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간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인성 역량의 총점과 배려, 협력, 책임, 존중, 자기조절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소통, 정직, 긍정적 자기이해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인성 역량 총점은 큰 효과 크기를 보였고, 세부인성 역량은 자기조절, 협력, 배려, 책임, 존중 순으로 중간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실험 집단의 학생들에게 실시한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배려, 협력, 소통, 책임, 존중 등의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인성 역량의 함양을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자들처럼 다른 구성원들과 논의 과정을 거쳐 합의하며, 협력하여 과학적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과정의 경험은 인성 역량의 함양으로 이어졌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교수모델을 통해 학생들은 협력과 논의의 과정을 거치면서 인성 역량을 함양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e (CoProC) instruction model within the context of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143 Korean students, each of whom was in the 10th grade spread across four clas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은 무엇에 근거를 두고있는가? 과학이 다른 학문과 구별되는 특징적인 요소로는 탐구과정을 들 수 있다. 과학은 탐구과정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탐구는 단순히 실험활동을 통한 지식의 습득과정이 아니라 과학자들의 과학적 의사소통의 과정이며 협력을 통한 공동의 문제해결의 과정이다(Brown,Collins, & Dugulid, 1989; NGSS, 2013; Osborne, Erduran, &Simmon, 2004). 따라서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자들처럼 협력하여 공동 연구를 통해 과학적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Osborne et al.
핵심역량은 어떻게 범주화되는가? , 2008). 핵심역량은 인성 역량, 사회적 역량, 지적역량의 3가지로 범주화되며, 이 중 인성 역량은 개인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필요한 역량으로 인간 성품 계발과 관련된다(Lee et al., 2012).
2009년에는 창의⋅인성교육을 목표로 하여 이를 위한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였지만 실제적으로 큰 효과를 거두지는 못한 이유는 어떤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가? 그 이유는 시험중심 입시교육,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의식 부족, 인성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전략 및 방법 부족 등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Son& Jeong, 2014). 그러나 실제적으로 인성교육프로그램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한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인성교육이 현재 학교 교육의 맥락과 동떨어져 있으며 학생에게도 유의미한 경험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이다(Chang, et al., 2015). 또한 대부분 인성교육에 대한 일반적 방법 및 비교과 영역에서의 인성교육 모델에 대한 제안으로 그치고 있어 학교 수준에서 인성교육이 실행되는데 어려움이 있다(Melville, Yaxley, & Wallace, 2007; Mueller & Zeidler,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Berkowitz, M. W., & Simmons, P. (2003).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Zeidler, D. L.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117-138). Dordrecht, Boston, New York and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2. Brown, J. S., Collins, A., & Duguid, P. (1989). Situated cognition and the culture of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18(1), 32-42. 

  3. Chang, H., & Lee, H. (2010). College students'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SSI).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4. Chang, K., Lee, D., Song, S., Woo, Y. & Jeong, C. (2015). A Study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Interaction at Middle School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RC 2015-3. 

  5.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2002). http://www.character.org/ (accessed June3, 2002). 

  6. Choi, K., Lee, H., Shin, N., Kim, S. W.,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7. Cho, Y., Kim, A., Im, H., Sin, D., Cho, A., & Kim, I. (1998). Component factors of desirable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8, 131-152. 

  8. Cohen, J. (1960). A coefficient of agreement for nominal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20(1), 37-46. 

  9.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10. Cronbach, L. J. (1951).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16(3), 297-334 

  11. Fischer, F., Bruhn, J., Grasel, C., & Mandl, H. (2002). Fostering collaborative knowledge construction with visualization tools. Learning and Instruction, 12(2), 213-232. 

  12. Gardner, H. (2002). Intelligence reframed. (Moon, Y. Tran.). Seoul: Gimmyou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13. Greenawalt, C. E. (1996). Character education in America. Commonwealth Foundation for Public Policy Alternatives, Harrisburg, PA. ED398327 

  14. Kanter, R. M. (1994). Collaborative Advantage. Harvard Business Review 72(4), 96-108. 

  15. Kang, S., Park, E., Kim, G., Song, S., Chung, Y., Kim, Y., & Ko, M. (2008). A foundational study for the vision of education for the human nature for 21st century.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0, 1-38. 

  16. Keys, C., Hand, B., Prian, V., &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s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10), 1065-1084. 

  17. Kim, S. (2009). Youth Crime in Korea, 1998-2008. Korean Juvenile Protection Review, (13), 1-50. 

  18. Kwak, Y. (2013). Ways of Restructuring Key Competencies for a Revision of Science Curriculum.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4), 378-387. 

  19. Lee, K., Kwak, Y., Lee, S. & Choi, J. (2012).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KICE RRC 2012-4. 

  20. Lee, K., Lee, K., Park, J., & Park, M. (2013). A study on the directions reconstructing core competencies-focused curriculum. KICE CRC 2013-17. 

  21. Lee, K., Min, Y., Jeon, J. & Kim, M. (2008). A study on developing key competencies i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II). -Focused on the establishing sub-domains and components for key competencies-. KICE RRC 2008-7-1. 

  22. Melville, W., Yaxley, B., & Wallace, J. (2007). Virtues, teacher professional expertise, and socioscientific issues. Canad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2, 95-109. 

  23. Ministry of Education. (2014). A Study of development of character index. Seoul: Jinhan M&B. 

  24.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OE, Notice No. 2015-74. 

  25.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5).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26. Mueller, M. P., & Zeidler, D. L. (2010). Moral-ethical character and science education: Ecojustice ethics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 D. Tippins, M. Mueller, M. van Eijck & J. Adams (Eds.), Cultural studies and environmentalism: The confluence of ecojustice, place-based (science) education, and indigenous knowledge systems (pp. 105-128). New York: Springer. 

  27. Nam, J., Kwak, K., Jang, K., & Hand, B. (2008). The implementation of argumentation us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8), 922-936. 

  28. Nelson, L. M. (1999).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2, 241-267. 

  29.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0. OECD. (2003).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OECD Press, 224 p. 

  31. OECD. (2006). Schooling for tomorrow: Think scenarios, rethink education. OECD: Paris, 200 p. 

  32. OECD. (2010).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Student Performance in Reading, Mathematics and Science (Volume I) http://dx.doi.org/10.1787/9789264091450-en 

  33. Osborne, J., Collins, S., Ratcliffe, M., Millar, R., & Duschl, R. (2003). What “ideas-about-science” should be taught in school science? A Delphi study of the expert commun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7), 692-720. 

  34. Osborne, J., Erduran, S., & Sim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35. Park, D., & Park, J. (2016).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4), 581-589. 

  36. Park, S., & Park, J. (2015).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of Nature-Study for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9(1), 45-53. 

  37. Park, S., & Huh, S. (2012). A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humanity scale for adolescent.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1(3), 35-47. 

  38. Ryu, C., & Jin, H. (2006). Analysis of character virtue factors for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 26(1), 139-166. 

  39. Sawilowsky, S. S. (2009). New effect size rules of thumb. Journal of Modern Applied Statistical Methods, 8(2), 597-599. Available at: http://digitalcommons.wayne.edu/coe_tbf/4 

  40. Seo, K., Choi, J., Noh. S., Kim, S., Lee, J., & Hyun S. (2013).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disposition assessment instrum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1), 147-176. 

  41. Son, K., & Jeong, C. (2014). A Study on the Analysis of Korean Adolescents' Character and Its Implica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33(0), 27-52. 

  42. Stiff-Williams, H. R. (2010). Widening the Lens to Teach Character Education Alongside Standards Curriculum. The Clearing House, 83(4), 115-120. 

  43. Strauss, A. L.,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Vol. 15). 

  44. Washington State University. (2016). Prosocial Spring 16 Survey. Retrieved from https://educationwsu.co1.qualtrics.com/ControlPanel/Ajax.php 

  45. Weinstein, E. A. (1969).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D. A. Goslin (Ed.), Handbook of socialization theory and research (pp. 753-775). Chicago: Rand McNally & Company. 

  46. Yang, J., Cho, N., Park, S., Jang, G., & Eun, G.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Subject Educatio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C 6. 

  47. Yang, J., Kim, H., Gao, L., Kim, E., Kim, S., & Lee, H. (2012).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1), 113-128. 

  48. Yerrick, R., & Roth, W. M. (2005). Introduction: The role of language in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Establishing scientific classroom discourse communities: Multiple voic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1-18. 

  49. Zuckerman, M., Kernis, M. H., Guarnera, S. M., Murphy, J. F., & Rappoport, L. (1983). The egocentric bias: Seeing oneself as cause and target of others'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51(4), 621-6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