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기온과 강수량 증가로 인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구성의 변화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Composition Following Natura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crease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3, 2017년, pp.275 - 285  

홍철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김원석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곽인실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우점종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섬진강 본류 20지점을 대상으로 2013년과 2014년 5월과 9월 년 2회씩 총 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서식환경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기온, 강수량, 수질요인과 하상 구성을 수집하고 측정하였다. 섬진강의 평균기온은 2013년에 비해 2014년 $0.2^{\circ}C$증가하였고,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기온이 증가하는 양상이 뚜렷하여 $3^{\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연 누적강수량 (ACP)도 저위도로 갈수록 증가되었다. 섬진강은 강우 전 5월 ($7.6{\sim}11.3^{\circ}C$)에 비하여 강우 후 9월($21.7{\sim}24.5^{\circ}C$)에 기온이 2배 이상 높아지며, CP는 강우 전(263 mm~287.5 mm)과 강우 후(756.3 mm~882 mm)에 약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집중 강우로 인한 유실효과로, 개체수와 종 수는 5월이 9월보다 높았다. 5월은 깔따구류와 세갈래하루살이, 9월은 네점하루살이, 큰줄날도래, 세갈래하루살이가 우점을 차지하였다. 생물지수와 환경요인 간의 상관성 분석 결과, 하상 구성 중 호박돌 및 모래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섬진강의 기온과 CP, 우점종 출현과의 집괴분석한 결과 강수량과 기온에 따라 2그룹으로 크게 나뉘었으며, 우점종과 지리적인 위치가 반영되어 세부적인 그룹으로 나뉘어짐을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dominant speci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 surveyed twenty sites of the main Seomjin River in May and September in 2013 and 2014. The temperature, precipitation, water quality factors and substrate com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본류를 대상으로 지역적 위치에 따른 자연적인 물리환경인 기온과 강수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로 인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자연적 서식처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인 하상 구성 그리고 수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형적인 위치에 따른 분포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 , 2004,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본류를 대상으로 지역적 위치에 따른 자연적인 물리환경인 기온과 강수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로 인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자연적 서식처를 구성하는 주요 요인인 하상 구성 그리고 수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지형적인 위치에 따른 분포의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진강 유역이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를 연구하기에 좋은 하천인 이유는 무엇인가? 5 km2로 전라북도 진안군 백운면과 장수군 장수읍의 경계인 팔공산에서 발원하여 전라도의 동쪽 지리산 기슭을 지나 남해의 광양만으로 흘러간다. 섬진강 유역은 생태경관이 뛰어나고 하구둑이 없는 강으로 지형지리적 위치와 계절에 따른 기온과 강수에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를 연구하기에 좋은 하천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그 영향은 무엇인가? 72℃ 상승하였고, 이러한 기온 증가는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에 위협적인 요인으로 보고되었다(IPCC, 2013). 우리나라도 최근 30년간 기온이 증가하여 (0.85℃/10년) 지구온난화의 경향을 따라가고 있다(Jin and Park, 2015). 최근 연구에서 평균기온의 증가는 강수의 빈도를 줄이고,가뭄의 기간과 증발량의 증가를 발생시킨다고 보고되었다(Leibowitz et al., 2014; Praskievicz and Bartlein, 2014; Prudhomme et al., 2014).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최근 20년 동안 연 강수량과 유출량은 증가하고 있으며(Bae et al., 2008; Lee et al., 2011; Hong et al., 2012), 여름철 집중 강우는 하천의 하상 구성뿐만 아니라 수생물의 군집 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Kwak et al., 2004; Xenopoulos et al.
하천생태계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하천생태계는 인위적인 교란뿐만 아니라 기온, 여름철 집중 강우와 같은 자연적 교란요인에 의해 수심, 유속, 하상 구성의 변화 등으로 다양한 물리환경적 특성이 달라지며(Danehy et al., 2012; Parasiewicz et al., 2012; Alldredge and Moore, 2014), 이러한 특성은 생물군집에 영향을 미친다(Boykin et al., 2013; Y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lldredge, B. and G. Moore. 2014. Assessment of riparian vegetation sensitivity to river hydrology downstream of a major Texas dam.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30(2): 230-244. 

  2. Arimoro, F.O. and W.J. Muller. 2010. Mayfly (Insecta: Ephemeroptera) community structure as an indicator of the ecological status of a stream in the Niger Delta area of Nigeri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66(1): 581-594. 

  3. Bae, D.H., I.W. Jung and H.J. Chang. 2008. Long-term trend of precipitation and runoff in Korean river basins. Hydrological Processes 22(14): 2644-2656. 

  4. Baek, S.H., J.Y. Seo and J.W. Choi. 2015. Growth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a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along an estuarine salinity gradient in Seomjin Riv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0): 6852-6859. 

  5. Boykin, K.G., W.G. Kepner, D.F. Bradford, R.K. Guy, D.A. Kopp, A.K. Leimer, A.K. Leimer, E.A. Samson, N.F. East, A.C. Neale and K.J. Gergely. 2013. A national approach for mapping and quantifying habitat-based biodiversity metrics across multiple spatial scales. Ecological Indicators 33: 139-147. 

  6. Choi, A.R., S.J. Park, J.Y. Kim, M.Y. Song and D.S. Kong. 2012.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dices in the Jinwi Stream.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1): 1-10. 

  7. Connolly, N.M. and R.G. Pearson. 2007. The effect of fine sedimentation on tropical stream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a comparison using flow-through artificial stream channels and recirculating mesocosms. Hydrobiologia 592: 423-438. 

  8. Danehy, R.J., R.E. Bilby, R.B. Langshaw, D.M. Evans, T.R. Turner, W.C. Floyd, S.H. Schoenholtz and S.D. Duke. 2012. Biological and water quality responses to hydrologic disturbances in third-order forested streams. Ecohydrology 5: 90-98. 

  9. Death, R.G. 2008. The effect of floods on aquatic invertebrate communiti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10. Feebarani, J., T.V. Joydas, R. Damodaran and A. Borja. 2016. Benthic quality assessment in a naturally- and humanstressed tropical estuary. Ecological Indicators 67: 380- 390. 

  11. Hong, S.H., Y.G. Kim, W.H. Lee and E.S. Chung. 2012. Rainfall variations of temporal characteristics of Korea using rainfall indicator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4): 393-407. 

  12.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New York, NY, USA. 

  13. Jin, M.J. and S.Y. Park. 2015. Temperature Changes of Climatic Solar Terms and Their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1): 23-36. 

  14. Kwak, I.S., M.Y. Song and T.S. Chon. 2004. The Effects of Natural Disturbance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1): 87-95. 

  15. Kwak, I.S., S.A. Jeong and G.S. Jeong. 2008. Community Composition on Stream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Daeg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6(1): 47-55. 

  16. Kwon, S.J., Y.C. Jeon and J.H. Park. 2013. Checklist of organisms in Korea 7. Benthic macroinvertebrates. Eco and Nature, Seoul. 

  17. Lee, J.Y., K.Y. Lee, S.J. Han, S.J. Lee, Y.K. Jung, J.L. Cheon, J.S. Choi and J.C. Kim. 2014a.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in Gongji Stream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1): 24-32. 

  18. Lee, M.J., E.W. Seo, J.J. Yu and J.E. Lee. 2014b. Community Fluctuation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Nakdan Wei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4): 328-336. 

  19. Lee, W.H., S.H. Hong, Y.G. Kim and E.S. Chung. 2011.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recipitation and daily average temperature in the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4): 73-86. 

  20. Leibowitz, S.G., R.L. Comeleo, P.J. Wigington Jr, C.P. Weaver, P.E. Morefield, E.A. Sproles and J.L. Ebersole. 2014. Hydrologic landscape classification evaluates streamflow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in Oregon, US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18(9): 3367. 

  21.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22. Mantyka-Pringle, C.S., T.G. Martin, D.B. Moffatt, S. Linke and J.R. Rhodes. 2014.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the combined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and-use change on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and fish. Journal of Applied Ecology 51(3): 572-581. 

  23. McFarland, B., F. Carse and L. Sandin. 2010. Littoral macroinvertebrates as indicators of lake acidification within the UK.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20(S1): S105-S116. 

  24. Mesa, L.M. 2012.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bility of macroinvertebrates in monsoonal climate streams. Brazilian Archives of Biology and Technology 55: 403-410. 

  25. Merritt, R.W. and K.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Dubuque, Iowa. 

  26. MOE/NIER. 2013.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27. MOE/NIER. 2014.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28. Ogawa, A., H. Shibata, K. Suzuki, M.J. Mitchell and Y. Ikegami. 2006. Relationship of topography to surface water chemistry with particular focus on nitrogen and organic carbon solutes within a forested watershed in Hokkaido, Japan. Hydrological Processes 20: 251-265. 

  29. Parasiewicz, P.E. Castelli, J.N. Rogers and E. Plunkett. 2012. Multiplex modeling of physicalhabitat for endangered freshwater mussels. Ecological Modelling 228: 66-75. 

  30. Park, C.Y., Y.E. Choi, J.Y. Moon and W.T. Yun. 2009.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s in South Korea considering both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 1-16. 

  31. Park, J.H., J.H. Lee, S.Y. Kang and S.Y. Kim. 2006. Hydroclimatic controls on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or trace metal transport in Hwangryong River Watershed, Korea, during a summer monsoon period. Hydrological Processes 21: 3025-3034. 

  32. Park, Y.J., K.D. Kim, Y.H. Cho, Y.G. Han, Y.J. Kim and S.H. Nam. 2011. Habitat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quatic Insect Functional Feeding Groups in the Geum River,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5): 691-709. 

  33.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and Sons, New York, 165pp. 

  34. Piggott, J.J., C.R. Townsend and C.D. Matthaei. 2015. Climate warming and agricultural stressors interact to determine stream macroinvertebrate community dynamics. Global Change Biology 21(5): 1887-1906. 

  35. Praskievicz, S. and P. Bartlein. 2014. Hydrologic modeling using elevationally adjusted NARR and NARCCAP regional climate-model simulations: Tucannon River, Washington. Journal of Hydrology 517: 803-814. 

  36. Prudhomme, C., I. Giuntoli, E.L. Robinson, D.B. Clark, N.W. Arnell, R. Dankers, B.M. Fekete, W. Franssen, D. Gerten, S.N. Gosling, S. Hangemann, D.M. Hannah, H.J. Kim, Y. Masaki, Y. Satoh, T. Stacke, Y. Wada and D. Wisser. 2014. Hydrological droughts in the 21st century, hotspots and uncertainties from a global multimodel ensemble experi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1(9): 3262-3267. 

  37. Rosenberg, D.M. and V.H. Resh. 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 Hall, New York, 488pp. 

  38.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33pp. 

  39. Shearer, K.A., J.W. Hayes, I.G. Jowett and D.A. Olsen. 2015. Habitat suitability curve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a small New Zealand river.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49(2): 178-191. 

  40. Shen, X.M., T. Sun, F.F. Liu, J. Xu and A. Pang. 2015. Aquatic metabolism response to thehydrologic alteration in the Yellow River estuary, China. Journal of Hydrology 525:42-54. 

  41. Shi, X., J. Liu, X. You, K. Bao, B. Meng and B. Chen. 2016. Evaluation of river habitat integrity based on benthic macroinvertebrate-based multi-metric model. Ecological Modelling 353: 67-76. 

  42. Shin, S.M., I.K. Choi, E.W. Seo and J.E. Lee. 2013.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12): 1551-1559. 

  43. Song, Y.J., Y.D. Ju, B.S. Park, J.M. Kim, E.H. Kwon, D.Y. Chae, H.J. Lee and Y.S. Bae. 2016.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Jangsu- cheon, an Urban Restoration Stream of Incheon Cit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8(1): 32-38. 

  44. Theodoropoulos, C., A. Vourka, A. Stamou, P. Rutschmann and N. Skoulikidis. 2017. Response of freshwater macroinvertebrates to rainfall-induced high flows: A hydroecological approach. Ecological Indicators 73: 432-442. 

  45. Won, D.H., S.J. Kwon and Y.C. JUN. 2008. Aquatic insects of korea. Korea Ecosystem Service, Seoul. 

  46. Xenopoulos, M.A., D.M. Lodge, J. Alcamo, M. Marker, K. Schulze and D.P. Van Vuuren. 2005. Scenarios of freshwater fish extinctions from climate change and water withdrawal. Global Change Biology 11(10): 1557-1564. 

  47. Yan, J.X., J.L. Liu and M.Y. Ma. 2014. In situ variations and relationships of waterquality index with periphyton function and diversity metrics in BaiyangdianLake of China. Ecotoxicology 23: 495-505. 

  48. Yang, H.K. and H.C. Choi. 2003. Estimation of Water Quality Environment in Youngsan and Seumjin River Basin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8: 16-32. 

  49. Yoon, I.B. 1995. Aquatic Insects of Korea. Junghaengsa, 262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