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소적출로 유발된 랫트 갱년기 장애에 대한 가감귀비온담탕의 생리활성 효과 평가
Anti-climacterium Effects of Gagamguibiondam-tang in Ovariectomized Rats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0 no.4, 2017년, pp.18 - 44  

한상겸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김동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이 연구에서는 한의학에서 다양한 부인과 질환에 사용되어온 전통 복합 처방인 귀비탕과 가미온담탕을 합방, 가감한 가감귀비온담탕 열수 추출물의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심혈관 장애, 비만, 고지혈증, 골다공증, 장기 지방축적 및 신경정신 장애를 포함한 다양한 사람의 갱년기 장애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난소적출(Ovariectomized, OVX) 랫트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 법: 난소적출수술 28일 후부터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수율 : 22.03%)을 각각 100, 50 및 25 mg/ml의 농도로 멸균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체중 kg 당 5 ml의 용량(500, 250 및 125 mg/kg)으로 매일 1회씩 84일(12주 : 3개월)간 경구 투여한 다음, 항비만효과, 항자궁위축효과 및 골다공증 억제 효과의 3가지 생리활성 효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항비만 효과 및 항자궁위축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체중 및 증체량, 혈청중 에스트라디올 함량, 복부 축적 지방 및 자궁의 중량의 변화와 복부 축적 지방의 두께 및 평균 지방세포 직경, 자궁 전체, 상피 및 점막의 두께와 점막내 자궁샘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를 각각 평가하였다. 또한 골다공증 개선효과, 즉 골 보호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대퇴골, 경골 및 요추골의 습, 건조 및 탄화 중량, 골밀도, 골강도, 혈중 osteocalcin 및 bone specific alkaline phosphatase(bALP) 함량, 골량 및 구조와 골흡수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군(5개군; 군당 8마리의 랫트 사용) 거짓수술 대조군(거짓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난소적출 대조군(난소적출 수술 후, 증류수 투여 대조군) GGOT50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mg/kg 투여 고용량 실험군) GGOT250(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250 mg/kg 투여 중간용량 실험군) GGOT125(난소적출 수술 후,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125 mg/kg 투여 저용량 실험군) 결 과: 난소적출 대조군에서는 거짓수술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체중 및 증체량, 사료 및 물 섭취량, 축적 복부 지방 중량, 혈청 중 osteocalcin 함량의 증가가 자궁, 대퇴골, 경골 및 L5 중량과 혈중 bALP 및 에스트라디올 함량의 감소와 함께 인정되었으며, 현저한 복벽 축적 지방 두께의 증가 및 자궁의 위축, 대퇴골, 경골 및 L4의 골량 및 구조의 감소 소견이 골 흡수 지표(Ocn 및 OS/BS)의 현저한 증가와 함께 조직병리학적 및 조직형태계측학적으로 인정되었다. 즉, 전형적인 에스트로겐 결핍성 갱년기 장애가 난소적출에 의해 유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난소적출에 의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소견이, 가감귀비온담탕 추출물 500, 250 및 125 mg/kg의 84일에 걸친 연속 경구 투여에 의해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결 론: 이상의 결과에서, 가감귀비온담탕 500, 250 및 125 mg/kg의 경구투여는 난소적출 랫트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성 폐경기 관련 갱년기 장애 개선 효과를 투여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감귀비온담탕은 효과적인 갱년기 장애 개선제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에스트로겐 결핍성 비만 및 골다공증의 개선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가감귀비온담탕은 총 18종의 약제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수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이후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화학성분의 검색과 더불어 다양한 방면으로 기전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anti-climacterium activity of Gagamguibiondam-tang (GGOT) on ovariectomized (OVX) rats, a well-documented rodent models resembles with women postmenopausal climacterium symptoms, a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s, obesity, hyperlipidemia, osteo...

주제어

참고문헌 (37)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I. Seoul:Jungdam publisher. 2007:237-8. 

  2. del Giorno C, et al. Effects of Trifolium pratense on the climacteric and sexual symptoms in postmenopause women. Rev Assoc Med Bras. 2010;56(5):558-62. 

  3. Liang YQ, et al. Estrogen receptor ${\beta}$ is involved in the anorectic action of estrog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2;26(8):1103-9. 

  4. Saengsirisuwan V, et al. Modulation of insulin resistance in ovariectomized rats by endurance exercise training and estrogen replacement. Metabolism. 2009;58(1):38-47. 

  5. Lew YO. Side effects and management of postmenopausal hormone replacement therapy. J Menopausal Med. 2004;10(1) :14-20. 

  6. Kim KS, Yoo DY. Literary Study on the Climacteric Syndrome. J Oriental medical laboratory of Daejeon univ. 2004;13(1):107-28. 

  7. Heo J. Dongeuibogam (東醫寶鑑). Seoul: Hanmibook. 2008:47, 51, 172. 

  8. Cha YJ, et al. The Effect of Guibiondamtang i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using Chronic Mild Stress. J Oriental Neuropsychiatry. 2001;12(2):53-68. 

  9. Whang WW, Jo JY. The Effect of Guibiondamtang on Immune Reponse and in Concentration of Catecholamine in Immobilization Stressed Rats. J Oriental Neuropsychiatry. 1995;6(1):1-17. 

  10. Kang SJ, et al. Dried pomegranate potentiates anti-osteoporotic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red clover dry extracts in ovariectomized rats. Nutrients. 2015;7(4):2622-47. 

  11. Levene A. Pat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excision of tumours in the head and neck. Part I. Clin Otolaryngol Allied Sci. 1981;6(2):145-51. 

  12. Ludbrook J. Update: microcomputer statistics packages. A personal view. Clin Exp Pharmacol Physiol. 1997; 24(3-4):294-6. 

  13. Kang SJ, et al. Fermentation with Aquilariae Lignum enhances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green tea in type II diabetic db/db mouse. Nutrients. 2014;6(9):3536-71. 

  14. Wolff LPG, et al. Avaliacao do endometrio em menopausadas apos uso de isoflavonas. Rev Assoc Med Bras. 2006;52(6):419-23. 

  15. Choi JS, Koh IU, Song J. Genistein reduced insulin resistance index through modulating lipid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Nutr Res. 2012;32(11):844-55. 

  16. Tohda C, et al. Inhibitory effe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extracts on amyloid beta(25-35)-induced neuritic atrophy and synaptic loss. J Pharmacol Sci. 2008;107(3):329-39. 

  17. Nakagawasai O, et al. Effect of kamiuntan- to on the impairment of learning and memory induced by thiamine-deficient feeding in mice. Neuroscience. 2004;125(1):233-41. 

  18. Busta I, Xei HS, Kim MS. The use of Gui-Pi-Tang in small animals with immune-mediated blood disorders. J Vet Clin. 2009;26(2):181-4. 

  19. Kang IH, et al. Effects of Gwibitang on glutamateinduced apoptosis in C6 glial cells. J Korean Orient Med. 2001; 22(4):45-57. 

  20. Yim NH, et al. Guibita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induces apoptotic death in A431 cells by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4;14:344. 

  21. Kim HJ, Choi JH, Lim SW. The defensive effect of Keuibi-tang on the gastric mucous membrane of mouse injured by stress and ethanol. J Orient Med. 2003;24(1):155-68. 

  22. Wang Q, et al. Potentiation of brain acetylcholine neurons by Kami-Untan-To (KUT) in aged mice: implications for a possible antidementia drug. Phytomedicine. 2000;7(4):253-8. 

  23. Nakagawasai O, et al. Preventive effect of kami-untan-to on performance in the forced swimming test in thiaminedeficient mice: relationship to functions of catecholaminergic neurons. Behav Brain Res. 2007;177(2):315-21. 

  24. Oh HK, et al. Kami-ondam-tang, a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attenuates the prepulse inhibition deficits and cognitive impairments induced by MK-801 in mice. J Ethnopharmacol. 2013;146(2):600-7. 

  25. Hong JG et al. The memory-enhancing effects of Kami-ondam-tang in mice. J Ethnopharmacol. 2011;137(1):251-6. 

  26. Geary N. The estrogenic inhibition of eating. Handbook of behavioral neurobiology (Stricker EM, Woods SC, Eds.). Vol. 14. New York:Kluwer Academic. 2004: 307-45. 

  27. Eckel LA. Estradiol: a rhythmic, inhibitory, indirect control of meal size. Physiol Behav. 2004;82(1):35-41. 

  28. Lutz TA. Amylin may offer (more) help to treat postmenopausal obesity. Endocrinology. 2011;152(1):1-3. 

  29. Korach KS, Migliaccio S, Davis VL. Estrogens. Principles of Pharmacology: Basic Concepts and Clinical Applications (Munson PL, Mueller RA, Breese GR, Eds.). New Yotk:Chapman and Hall. 1995:809-25. 

  30. Ateba SB et al. Eriosema laurentii De Wild (Leguminosae) methanol extract has estrogenic properties and prevents menopausal symptoms in ovariectomized Wistar rats. J Ethnopharmacol. 2013; 150(1):298-307. 

  31. Sakai A, et al. Bone marrow cell development and trabecular bone dynamics after ovariectomy in ddy mice. Bone. 1998;23(5):443-51. 

  32. Wronski TJ, Yen CF, Scott KS. Estrogen and diphosphonate treatment provide long-term protection against osteopenia in ovariectomized rats. J Bone Miner Res. 1991;6(4):387-94. 

  33. Puel C, et al. Preventive effect of Abelmoschus manihot (L.) Medik. on bone loss in the ovariectomised rats. J Ethnopharmacol. 2005;99(1) :55-60. 

  34. Kuo YJ, et al. Calcitonin inhibits SDCP-induced osteoclast apoptosis and increases its efficacy in a rat model of osteoporosis. PLoS One. 2012;7(7):e40272. 

  35. Syed Z, Khan A. Bone densitometry: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J Obstet Gynaecol Can. 2002;24(6):476-84. 

  36. Yamaguchi K, et al. Suppressive effect of norzoanthamine hydrochloride on experimental osteoporosis in ovariectomized mice. Biol Pharm Bull. 1999;22(9):920-4. 

  37. Jakubas-Przewlocka J, Przewlocki P, Sawicki A. Assessment of changes due to the long-term effect of estrogen and calcium deficiency in the trabecular bone structure in rats. Clin Exp Rheumatol. 2005;23(3):38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