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in Makgeolli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5, 2017년, pp.491 - 499  

김재운 (우리술 품질보증팀) ,  강지은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최한석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김찬우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  정석태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휘발성 성분과 향미 묘사용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화학 성분은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알코올,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휘발성 성분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ethyl myristate의 함량이 2.4배 낮게 나타났다(p<0.05). 전체 15종 생막걸리의 묘사용어는 총 24개(외관2개, 향 10개, 맛 8개, 질감 4개)의 용어가 개발되었다. 입상주의 관능적 특성은 단내, 배향, 요구르트향, 알코올향, 알코올 향미, 탄산감이 주로 발현되었으며, 구수한 향/향미, 누룩향은 적게 나타났다. 생막걸리에 함유된 휘발성 성분과 묘사 용어 중 향에 관한 항목과의 상관분석 결과, ethyl lactate가 복분자향(r=0.840), 배향(r=0.723)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본 연구에서 도출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이화학 특성과 관능적 특성(단내, 복분자향, 배향, 요구르트향 등)이 생막걸리의 품질특성에 잘 반영된다면 막걸리의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makgeolli. Fifteen samples of 4 award winning makgeolli and 11 samples of non-award winning makgeolli in a Korea liquors contest were examined. Physicochemical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lcoh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막걸리를 대표할 수 있는 ‘대한민국 우리 술 품평회’에 출품되었던 생막걸리를 대상으로 이화학 성분과 향미 성분을 조사하였다. 대회에서 입상한 막걸리와 입상하지 않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비교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이화학 성분의 범위를 알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들이 생막걸리의 외관, 맛, 향, 질감에 대해 느끼는 관능적 특성을 도출하고, 그 중 향 항목과 향미성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막걸리의 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파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국내 막걸리를 대표할 수 있는 ‘대한민국 우리 술 품평회’에 출품되었던 생막걸리를 대상으로 이화학 성분과 향미 성분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 시판 생막걸리의 이화학 성분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휘발성 성분과 향미 묘사용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화학 성분은 우리술 품평회에서 입상한 생막걸리의 알코올,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p<0.

가설 설정

  • 1) Values are mean±S.D. (n=3), different letters within the same row differ significantly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에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막걸리는 쌀을 원료로 하는 전통주로, 누룩 곰팡이의 효소에 의해서 당화가 이루어지고, 분해된 당은 효모에 의해 알코올로 전환되는 병행복발효주이다(Kim KS 2000). 막걸리는 당질, 식이섬유, 비타민 B군 및 단백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금 후에도 누룩 미생물에 의한 지속적인 효소작용으로 다량의 당분, 아미노산 및 유기산 등의 맛 성분과 효모, 젖산균 등의 미생물에 의한 알코올 발효로 휘발성 성분들이 생성된다(Huh CK 등 2012).
막걸리 담금 후 휘발성 성분이 생성되는 이유는? 막걸리는 당질, 식이섬유, 비타민 B군 및 단백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담금 후에도 누룩 미생물에 의한 지속적인 효소작용으로 다량의 당분, 아미노산 및 유기산 등의 맛 성분과 효모, 젖산균 등의 미생물에 의한 알코올 발효로 휘발성 성분들이 생성된다(Huh CK 등 2012). 최근 연구결과 막걸리에서 항암성분이 발견(Ha JH 등 2014) 되며, 저도주 선호현상과 함께 다양한 맛의 막걸리가 등장 (Lee DP 2006; Baek CH 등 2013; Seo GU 등 2013)하여 젊은 연령층의 소비자들이 막걸리를 많이 찾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막걸리란? 막걸리는 쌀을 원료로 하는 전통주로, 누룩 곰팡이의 효소에 의해서 당화가 이루어지고, 분해된 당은 효모에 의해 알코올로 전환되는 병행복발효주이다(Kim KS 2000). 막걸리는 당질, 식이섬유, 비타민 B군 및 단백질 등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dam R (2015) Proof: The Science of Booze. MID, Seoul, Korea. pp 209-246. 

  2. Bae SM (2008) Cheongju Manufacturing Technology. Ugok Publication, Seoul, Korea. p 272. 

  3.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2): 168-175. 

  4. Brewing Society of Japan (1999) Component of The Alcoholic Beverages. Shin Nippon Printing Co. Ltd., Tokyo, Japan. pp 50-62. 

  5. Choi JH, Kim KP, Chung SJ (2013) Relative sweetness and sweetness quality of low calorie sweeteners in milk and coffee model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5(6): 754-762. 

  6. Choi KW, Lee JK, Jo HJ, Lee KJ, Yoon JA, An JH, Chun KH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6): 975-982. 

  7. Choi SK (2006)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Paju, Korea. pp 374-375. 

  8. Fleet GH (1993)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Harwood Academic Publishers, Philadelphia, USA. pp 400-401. 

  9. Ha JH, Shim YS, Cho YS, Seo DW, Jang HW, Jang HJ (2014) Analysis of E,E-farnesol and squalene in makgeolli using stir bar sorptive extraction coupled with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27(1): 60-65. 

  10. Huh CK, Lee JW, Kim YD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rice wine seed mash with lactic acid concentration. Korean Food Preserve 19(6): 933-938. 

  11. Jeon KS, Park SI (2014) A survey of preference for commercial makgeolli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4): 115-126. 

  12.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3): 444-449. 

  13. Jeong SJ, Noh BS, Ju JC, Lee MH, Park SY (2011)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sensory attributes of commercial milk preserved at different temperature. Korean J Dairy Sci Technol 29(2): 25-35. 

  14. Jeong ST, Kwak HJ, Kim SM (2013) Quality characterisitcs and biogenic amine production of makeolli brewed with commerci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5(6): 727-734. 

  15. Jung EK, Kim Js, Joo N (2011)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evaluation of takju among consumers ages 20 to 29. J Korean Diet Assoc 17(1): 1225-9861. 

  16. Kang JE, Choi HS, Choi jh, Yeo SH, Jeong ST (201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non-sterilized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Living Science 25(3): 363-372. 

  17. Kim KS (2000) Studies on fungal isolated collec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p 60. 

  18. Kim YJ, Song KC, Lee YH, Janb GH, Jeong ST, Cheong C (2012) Fruit Wine Spirits; Science and Application. Suhaksa, Seoul, Korea. p 174. 

  19. Lee DP (2006) Policy issu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e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1(2): 1-9. 

  20. Lee JG, Moon SH, Bae KH, Kim JH, Choi HS, Kim TW, Cheong C (2015) Distilled Spirits. Gwangmunkag, Seoul, Korea. pp 367-425. 

  21. Lee JS, Lee TS, Choi JY, Lee DS (1996)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nonglutinous rice takju during fer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39(4): 249-254. 

  22. Lee SB, Ko GH, Yang JY, Oh SH (2001) Food Fermentation. Hyoil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17-218. 

  23. Lee SB,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ural Science 12: 71-79. 

  24. Lee SJ, Kim JH, Jung YH,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R,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 206-212. 

  25. Lee TS, Choi JY (2005)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37(6): 944-950. 

  2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Korean Food Standards Codex. 5-27-1. 

  27. Monica LK, Paterson A, Piggott JR, Greame DR (2000) Perception of whisky flavor reference compounds by Scottish distiller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rewing 106: 203-208. 

  28.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2012) Criteria of alcohol quality certification. http://www.naqs.go. kr/notice/notice_08_tot_list.jsp. Accessed on 13. July. 2012. 

  29. National Tax Service (2009) Analysis of Liquor. Sejong, Korea. pp 41-42. 

  30. National Tax Service (2014) http://www.index.go.kr/potal/main/ EachDtlPageDetail.do?idx_cd2465. Accessed on 29. June. 2017. 

  31. Nykanen L, Suomalainen H (1983) Aroma of Beer, Wine and Distilled Alcoholic Beverag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Holland. pp 173-175. 

  32. Park CW, Park EJ, Yeo SH, Kim OM, Jeong YJ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akgeolli type in South Korea. Korean J Food Preserve 18(6): 884- 890. 

  33. Seo GU, Choi SY, Kim TW, Ryu SG, Park JH, Lee SC (2013) Functional activities of makgeolli by-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4): 505-511. 

  34. Seo SH, Park SE, Yoo SA, Son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pineapp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8): 1283-1288. 

  35. Shin JH, Choi DJ, Sung NJ (2004) Nutritional properties of yakju brewed with natural plants. Korean J Food Nutr 17 (1): 18-24. 

  36. So MH (1995) Aptitudes for takju brewing of wheat flournuluks made with different mold species. Korean J Food Nutr 8(1): 6-12. 

  37.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 895-900. 

  38.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Archived (2009) https://en.wikipedia. org/wiki/Ethyl_lactate. Accessed on 2. July. 2017. 

  39. Yang JE, Choi JB, Chun L (2014) Cross-cultural comparison of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by Japanese and Korean panel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5): 529-5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