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상대습도에 저장된 건조분말 식품의 미생물적 품질 변화
Microbiological Quality of Dried and Powdered Foods Stored at Various Relative Humiditi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5, 2017년, pp.576 - 582  

김지연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영민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현정은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미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본부) ,  김종찬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유통연구본부) ,  이선영 (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 상승에 대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미생물적인 품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건조분말 시료를 고온 및 다양한 상대습도에서 저장하며 총균수,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를 측정한 결과 높은 상대습도에서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균수와 진균류가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균류는 저장 기간 동안 건조분말식품의 수분활성도의 증가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건조분말 식품의 보관 시 가장 관리가 필요한 미생물 군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상대습도 85% 이하에서는 미생물의 높은 생육이 관찰되지 않아 건조분말 식품의 보관에서 저장 중 상대습도의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건조분말 식품은 낮은 수분활성도로 인하여 개봉 후에도 주로 상온에 장기간 보관하는 식품이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로부터 높은 상대습도는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와 미생물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개봉된 건조분말 식품은 밀봉하거나, 냉장 보관하는 등 저장 시 온도 및 습도를 철저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microbial quality of dried and powdered foods during storage with increased humidity because of climate change. Five types of dried and powdered foods (dried shredded squid, wheat flour, Sunsik, red pepper powder, and roasted sesame seed) were stored at different relative h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및 습도 상승에 대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미생물적인 품질 변화를 평가하였다. 건조분말 시료를 고온 및 다양한 상대습도에서 저장하며 총균수, 대장균군, 효모 및 곰팡이를 측정한 결과 높은 상대습도에서 건조분말 식품의 수분활성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균수와 진균류가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하지만 이러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저장 온도와 습도에 따른 미생물의 품질을 평가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저장 온도와 습도의 상승에 대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미생물 증식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높은 온도(35℃)에서 여러 상대습도에 저장된 다양한 건조분말 식품에서의 수분활성도의 변화와 미생물적인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와 식중독의 관계는? 특히 이러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식중독의 증가는 여름철 급성식중독의 주요 원인인 병원성 세균 등 생물학적 위해요인과 관련된 식중독의 증가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 식품에 오염된 병원성 세균은 일정 농도로 증식하여 섭취되었을 때 식중독을 일으키며, 또한 이러한 온도와 습도의 상승은 식품에 오염된 곰팡이의 증식을 초래하여 곰팡이 독소로 인한 식중독을 야기시킬 수 있다. 실제로 국외에서도 향후 기후변화로 비브리오(Vibrio sp.
기후변화란? 기후변화란 현재의 기후가 자연적 요인(대기, 해양, 육지, 설빙, 태양활동의 변화 등)과 인위적 요인(이산화탄소 양, 지구온난화 등)에 의해 점차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기후변화는 인류의 관련된 모든 분야에 다양하면서 광범위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다(Lee HJ & Kim YS 2016).
기후변화가 식품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이러한 기후변화는 인류의 관련된 모든 분야에 다양하면서 광범위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다(Lee HJ & Kim YS 2016). 특히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 습도, 강수량 등의 변화는 식중독의 원인인 생물 및 화학적 위해인자의 식품으로의 오염을 증가시키고, 미생물의 생육을 증가시켜 식중독 발생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는 이미 국제적 기후변화의 수준을 넘어(2009) 급속적인 기후변화가 전망됨에 따라 관련 식중독 사고의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uchat LR, Komitopoulou E, Beckers H, Betts RP, Bourdichon F, Fanning S, Ter Kuile BH (2013) Low-water activity foods: Increased concern as vehicles of foodborne pathogens. J Food Prot 76(1): 150-172. 

  2. Byun MW, Yook HS, Kwon JH, Kim JO (1996)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and long-term storage of dried red pepper by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3): 482-489. 

  3.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0): 1414-1421. 

  4. Christensen CM (1946)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olds in flour. Cereal Chem 23: 322-329. 

  5. Daftary RD, Pomeranz Y, Sauer DB (1970) Changes in wheat flour damaged by mold during storage. Effects on lipid, lipoprotein, and protein. J Agric Food Chem 18(4): 613-616. 

  6. Diener UL, Davis ND (1967) Limiting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for growth and production of aflatoxin and free fatty acids by Aspergillus flavus in sterile peanuts. J Am Oil Chemists Soc 44(4): 259-263. 

  7. Farkas J (2007) Physical Methods of Food Preservation. pp 685-712. In: Doyle P, Beuchat LR, Montville TJ (eds). ASM Press, Washington, DC, USA. 

  8. Gourama H, Bullerman LB (1995) Relationship between aflatoxin production and mold growth as measured by ergosterol and plate count. Lebensm Wiss Technol 28(2): 185-189. 

  9. Hesseltine CW, Graves RR (1966) Microbiology of flours. Econ 20(2): 156-168. 

  10. Hwang SY, An YH, Shin GM (2001)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Nutr 14 (5): 424-428. 

  11. Jeong MS, Ahn JJ, Akram K, Kim GR, Im, JG, Kwon JH (2013)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zation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s. J Fd Hyg Saf 28(1): 1-6. 

  12. Kim JH, Lee YK, Yang JY (2011) Analysis on hazard microorganisms in raw materials and processing environment for Sunsik manufacture. J Fd Hyg Saf 26(4): 410-416. 

  13. Ko JW, Lee WY, Lee JH, Ha YS, Choi YH (1999) Absorption characterist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 128-137.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3) http://www.mfds. go.kr Accessed on 11. 9. 2017. 

  1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9) http://www.kihasa.re.kr Accessed on 11. 9. 2017. 

  16.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9) http://www.kma.go.kr Accessed on 11. 9. 2017. 

  17.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07) http://www.kma.go.kr Accessed on 11. 9. 2017. 

  18. Lee HJ, Kim YS (2016) Simulation studies and targeting surveillance of food safety hazards linked to climate change. J Fd Hyg Saf 11(1): 3-11. 

  19. Northolt MD, Van Egmond HP, Paulsch WE (1979) Ochratoxin A production by some fungal species in relation to water activity and temperature. J Food Prot 42(6): 485-490. 

  20. Park SH, Lee JH, Koo HJ, Cho JS, Lim HS, Yoo JH, Hwang SY, Sihn EH, Park YH (2003) The physicochemical changes during storage of red pepper powder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 876-881. 

  21. Rhee C, Cho SY (1991) Effect of dextrin on sorp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vacuum frying dried carrot. Korean J Food Sci Technol 23(2): 241-247. 

  22. Wu XB, Kim EK, Ra HN, Byeon YS, Kim HY (2016) Antioxidant activity, sensor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safety of Sunsik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2(5): 600-6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