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활 교육 추구 성향에 따른 식생활 적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서울·경기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
Effects of Dietary Life Application according to Preferred Dietary Life Education Type on Quality of Life - Focus on Participants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3, 2017년, pp.268 - 279  

박숙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etary life application according to preferred dietary life education type on quality of life of participants in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enhance dietary life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모든 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가정 내 식생활 교육과 가족의 건강을 책임지는 주부들에 대한 식생활 교육은 물론 식생활 교육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사항과 교육 후 가정 내에서의 실생활 활용정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 교육의 기본이 되는 가정을 대표하는 교육수강생들이 이론과 실습으로 이루어지는 식생활 교육을 통해 추구하는 성향과 식생활 교육 후 가정 내 적용 및 이를 통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 지식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은 적극적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체험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은 적극적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건강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은 적극적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지식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은 감성적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체험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은 감성적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건강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은 감성적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적극적 적용 유형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감성적 적용 유형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트스트래핑이란? 구조방정식 분석에서 직접효과에 대해서는 표준화계수와 CR값 등을 통해 유의성을 알 수 있지만,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따로 제공해 주지 않아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경로의 간접효과 유의성을 분석해 보았다. 부트스트래핑은 대표적으로 다변량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없는 매개모형의 간접효과 신뢰구간과 이를 통한 유의성 검정에 이용하는 안정적인 모수추정 방법(Heo J 2013)으로 부트스트랩 횟수 500번, 신뢰구간 95%로 수행한 결과는 Table 10과 같다.
첨단 기술과 더불어 세계화의 물결과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한 식생활의 변화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우리 사회는 첨단 기술과 더불어 세계화의 물결과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식생활 또한 점점 서구화 되어가고 있다. 균형 잡힌 우수한 전통한식 대신, 고열량․고지방의 패스트푸드나 간편식이 우리의 식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맞벌이 가족과 일인가구 증가로 인해 불규칙한 식사와 결식이 잦아지고 있다(Lee HW 등 2016). 과거의 식생활은 부족한 영양을 보충하는 것이 전부였고, 먹는다는 것 자체가 인간생활의 표현이었으나, 현대사회에서의 균형 잡힌 음식은 인간으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나아가, 자아실현의 욕구충족 수단이 되고 있어(Choi JE & Kim YG 2012), 식생활을 통한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만족 욕구가 증가되고 있다.
올바른 식생활을 위해 변화시켜야 할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올바른 식생활과 식행동을 만들기 위한 식생활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올바른 식생활을 위해서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이 매우 중요하며, 보다 우수한 식생활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식행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인 요인과 육체적인 요인, 정신적인 요인, 건강상태,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 등의 요인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식생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Lee IO & Na JK 2014). 이에 학교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부, 국민의 먹거리를 관리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소비자활동연합회과 같은 민간단체와 ‘먹방’, ‘쿡방’이라고 소개되는 여러 방송 프로그램들까지 우리 사회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관심과 우려의 목소리를 보내고 있다(Kim HJ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i JE, Kim Y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dietary habits and menu choice behavior. J Foodserv Manag 15(6): 249-275. 

  2. Han JS, Kim SS, Go NA (2015) Influences of dietary education activ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respect. Korea J Culin Res 21(4): 236-250. 

  3. Heo J (2013) Heo Jun's Easily Follow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s. pp 104-111. in : Hannarae Publishing Co. Seoul, Korea. 

  4. Her ES (2013)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f the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eungnam province. Korean J of Community Nutr 18(1): 11-24. 

  5. Hong SK (2011) A study on processed food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rban housewives' food-related lifestyle. Doctoral Degree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 pp 73-126. 

  6. Hair J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Tatham R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pp 72-104. In : Upper Saddle Ricer, NJ: Pearson Education, Lewiston, NY, USA. 

  7. Kang MH (2012) Activation method and actual condi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in household.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7-44. 

  8. Kim ES, Cho HY, Kim YH (2015) A study of relationship of green dietary educa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tudents. J Korean Home Econo Educ 27(7): 63-77. 

  9. Kim KY, Ko MA (2012) Effects of knowledge about dietary life education on dietary life attitude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ternational J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 26(5): 183-197. 

  10. Kim MJ (2006) Characteristics of ordinary diets in present - Problems and solutions -. Fam Environ Res 44(8): 151-152. 

  11. Kim SH (2013) A study for the effects of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of cooking class on happiness of personal and family. Master's Degree Thesis Woosong University, Daejeon. pp 83-88. 

  12. Kim YH (2010) A study on the needs of dietary edu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Home Econo Educ 22(4): 77-90. 

  13. Kim YH (2012) A survey on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J Korean Home Econo Educ 24(1): 21-36. 

  14. Kim HJ (2015) 21C Dietary life education, What should we do? J Korean Pract Arts Educ pp 133-139. 

  15. Lee IO, Na JK (2014) Effects of food-related lifestyle on consumer nutrition attitude and food preference - Focused on a married woman with young children -. Journal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7(2): 201-227. 

  16. Lee KA (2015) Current status of out-of-school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 J Korean Pract Arts Educ 28(4): 305-326. 

  17. Lee SM (2013) Effects of a healthly diet lifestyle and the desire to improve one's health on the demand for healingexperience.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78-83. 

  18. Lee YK (2007) A study on food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wives' food relate life style - Focused on soy sauce products. Master's Degree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pp 22-66. 

  19. Lee JS, Kim KS (1999) A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 of the house wives in Pusan by nutrition knowledge, purpose value of meals and monthly food expenditure. Korean J Food & Nutr 3: 300-305. 

  20. Lee HJ (2011) Current cooking classes at community centers and promotional plans for the cooking classes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62-68. 

  21. Lee HW, Na YS, Cho MS (201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slow life in school children. J Korean Soc Food Cult 31(2): 111-120. 

  22. Park YM, Ahn YK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nutrition knowledge, foodhabit, diet-guidance for early chilhood and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foodhabit. Wonkwang Journal of Humanities 13(1): 67-91. 

  23. Park YS, Chung YS (2002) Characteristic and pattern of food and cultural background. J Korean Soc Food Cult 17(4): 435-445. 

  24. Shin KO, Yoon JA, Lee JS, Chung KH (2010)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etary asswssment and knowledge of (Fulltime) housewives and working (Job-holding) housewiv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 1-10. 

  25. Sim KH (2011)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Korean J Culin Res 17(4): 39-58. 

  26. Shim BS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HMR customer's selection attribute on expenditure and purchasing frequency. Master's Degree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pp 1-64. 

  27. Song BG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home education programs for correcting unbalanced vegetable diet. Major in Traditional Dietary Life Foo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p 27-65. 

  28. Woo JP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s and Understanding. pp 154-176, pp 360-367 in : Hannarae Publishing Co.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