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주는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1, 2017년, pp.564 - 572  

장은주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  조혜선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의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를 수강한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수업 탐색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 29명은 2017-1학기 영유아교수법 과목에서 모의수업을 시연하였고 유아교과교재 및 연구법과목에서는 수업시연을 위한 교과교재 제작을 하였으며, 연구자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스터디 그룹별 학습과정 저널과 개인 수업 포트폴리오,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균형 잡힌 두 교과목의 연계로 효율적인 수업 집중이 가능함을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시행착오를 통한 교구 제작과 수업 준비로 연계지식을 구성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의 중요성을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 중에 인식한 것이다. 넷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연계한 그룹 조원들과의 상호 유대감 증진의 소중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서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 경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lectures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S' university who took the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examine its in-depth meaning. The 29 study participants demonstrated a mock class during the Early Childhood Teaching Method cours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1 + 1”의 합이 2 이상의 결과를 산출하는 시너지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교직과목과 유아교육과 전공의 연계보다는 유아교육과 전공교과목 간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강의를 경험하는 것이 예비유아교사의 실무 능력과 수업 실천적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된다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여러 경험어려움들을 정리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에 대한 근본적인 목적을 되묻는 활동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란?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학 문화 풍토상 국내 대학의 문화적, 사회적, 학문적 특성을 고려할 때 전공 안에서의 교과목 연계 강좌형 방식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7].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는 두 개 이상의 전공교과가 연계하여 수업의 내용과 결과 등을 공유하여 운영하는 형태이다. 전공이론과목+전공실기과목 또는 전공 기초교과+전공심화교과를 연계한 후, 다양한 학습 내용과 결과를 소집단 형태로 공유하고 발표하는 형식으로 운영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고 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능력은? 지식 생산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지식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개별적인 차원을 넘어서는 협력적인 지식 창출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2].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창의성과 환경을 통합하여 새로운 지식과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대학은 이에 대비하는 교육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하는 시점이다.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대학생의 창의적인 학습역량강화를 위해 스터디 그룹과 같은 교육 시스템이 요구되는 이유는? 최근에는 대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대학생의 창의적인 학습역량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유형의 ‘스터디 그룹(study group)’이나 ‘튜터링(tutoring)’과 같이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습 모임이 형성되고 있다[5]. 개별적 강의로 이루어지는 추상적 인지학습보다는 현장 중심의 경험학습, 실제 또는 실천적이고 협력적인 지식 창출을 위한 ‘스터디 그룹’과 같은 학습 환경의 교육 시스템이 요구되어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aum Encyclopedia,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1XXXXX21678, 2017. 

  2. P. F. Drucker.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pp. 17-20. HarperCollins Publishers Inc, 2001. 

  3. J. H. Sung. T. I. Kim, "A Case Study of Students' Construction of Concept Map with Reflective Journal for Understanding Connec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ing Professional Subjec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9, no. 4, pp. 177-205, 2012. DOI: https://doi.org/10.24211/tjkte.2012.29.4.177 

  4. S. W. Park,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 Issues and Possible Direction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vol. 24, no. 2, pp. 145-173, 2007. 

  5. E. Y. Kim, A. Kim,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n college students: Focused on continuous participants of the Study group progr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3, no. 5, pp. 91-119, 2013. 

  6. Rogers, D. L., & Babinski, L. M. From Isolation to Conversation: Supporting New Teachers' Develop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7. S. I. Na, C. B. Lim, M. Y. Lee, E. G. Lee, J. S. Kim, "A Model for Building the Learning Community in Linked Courses of College",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vol. 37, no. 4, pp. 303-318, 2005. 

  8. J. M. Seo,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Linkages between Liberal Arts, Major and Convergence-based Subjects", Culture and Convergence, vol. 35. pp. 129-143, December. 2013. 

  9. H. J. Lee, J. S. Kang, "A Study on Learning Community Management for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ol. 9, pp. 1-23, 2005. 

  10. Shapiro, N. S., & Levine, J. H.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 ; A practical guide to winning support, organizing for change, and implementing programs. San Francisco: Jossey-Bass, 1999. 

  11. Minkler, J. E. The Efficacy of Learning Communities at Two Community Colleges. U. S., Idaho; Ph. D. dissertation, College of Graduate Studies University of Idaho, 2000. 

  12. S. W. Choi, "Exploring ways to revitalize learning communities in universitie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vol. 7, no. 2, pp. 71-91, 2004. 

  13. M. E. Graue, D. J. Walsh,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 Ethics, p. 224-227, Sage Publications, Inc, 1998. DOI: http://dx.doi.org/10.4135/9781452243153 

  14. J. S. Park, "Investigat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making teaching materials",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6, pp. 418-430,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6.418 

  15. H. J. Cho, D. G. Lee, "Meaning of simulated instruction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vol. 13, no. 3, pp. 567-587, 2012. 

  16. J. H. Sung, T. I. Kim, "Analysis of Experience of Kindergarten Pre-Teachers' Lesson Plan Wri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17, no. 6, pp. 449-47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