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07 - 114  

이은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봉은주 (조선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lf-leadership,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190 nursing coll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같은 일반적 특성, 셀프리더십, 학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교수-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자기주도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정도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정도를 확인하고, 일반적 특성으로 포함하여 이러한 변수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4.
  • 특히 촉진자 및 상담자로써 교수자의 역할은 교육의 질적인 측면으로, 최근 급격한 간호대학생 정원 증가로 인한 학생 수 증가와 연구나 교육에만 집중할 수 없는 현재 우리나라의 간호교육 환경 속에서는 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자기주도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확인되지 못했지만, 두 변수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적인 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자기주도학습과 전혀 무관한 요인으로서 배제하기보다, 자기주도학습의 환경적인 요소로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으로 해석할 수 있다.
  •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기주도학습 관련 선행연구들은 자기주도학습, 비판적 사고나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5], 자기주도학습이 셀프리더십 등에 미치는 영향[8], 학습스타일이나 시간 관리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25] 및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26] 등으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과 관련된 개인적인 특성들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나 전공만족도와 같은 일반적 특성, 셀프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학습과 관련된 특성과 함께, 추가적으로 학습의 환경적 측면인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포함한 요인들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강조되는 이유와 이로 인한 영향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6]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졸업 후 2∼3년이 지난 시점의 간호사가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간호사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여기에는 통합적 간호적용 능력, 핵심기본 간호술,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과 협력능력, 윤리적 책임 인식 능력, 리더십능력, 연구능력 등을 포함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의 많은 양의 지식을 제공하고 지식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주입식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한계를 인정하고, 보다 학습자 스스로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자율적인 방식으로 정하고 습득하도록 하는 문제중심학습, 근거중심간호, 사례기반학습, 시뮬레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교수학습법을 적용하는 움직임을 증가시켰다. 즉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법 적용의 요구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의 장점은? 물적 자원을 밝히고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하여 적용시키며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2]. 자기주도학습의 결과는 단순히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하는 차원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생동안 학습능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3].
자기주도학습이란? 자기주도학습은 이러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어린이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연령의 학습자에게 바람직한 학습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1]. 자기주도학습은 성인교육의 핵심개념으로 교수의 도움이 있건 없건 간에 스스로 학습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학습의 필요성을 진단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도움이 될 만한 인적. 물적 자원을 밝히고 적절한 학습전략을 선택하여 적용시키며 학습의 결과를 평가하는 모든 과정을 의미한다[2]. 자기주도학습의 결과는 단순히 많은 양의 지식을 습득하는 차원이 아니라,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생동안 학습능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ong HB. Resources related to overcoming resistance to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Brockett & Hiemstra(eds.). Overcoming resistance to elf-direction in learning. SanFrancisco, CA: Jossey-BassPublishers;1994. pp.13-22. 

  2. Knowles M.S. Self directed learning: a guideline for learners and teacher. Follett Publishing, Chicago, IL;1975.pp.45-50. 

  3. O'Shea. Self direct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3(1):62-88. 

  4. Oh WO.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2;32(5):684-693. 

  5. Cho HS.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2007;32(2):57-72. 

  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es Core Competencies and Nursing Education Learning Outcomes. 2012.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20121127132143.pdf. 

  7. Neck CP, Stewart GW & Manz CC. Thought self-leadership as a framework for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performance apprais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1995; 31(3);278-302. 

  8. Lee SY, Kim Y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2016;14(3):309-318. http://dx.doi.org/10.14400/JDC.2016.14.3.309 

  9. Kim EJ.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of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4;14(2):303-326. 

  10. Lee KE, Choi E H. Differences of pre-post simulation training on problem solving, performance confidence and critical thinking skill in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degree of self-leadership.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7;23(1):66-75. http://dx.doi.org/10.5977/jkasne.2017.23.1.66 

  11. Manz CC, Manz KP. Strategies for facilitating self-directed learning : a process for enhanc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aly. 1991;2(1):3-12. http://dx.doi.org/10.1002/hrdq.3920020103 

  12.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Prentice-Hall, 1986. 

  13. Choi IS, Joo EJ.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self-directed learning perceived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3;20(10):169-206. 

  14. Joo HJ.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1;11(2):237-259. 

  15. Brookfield S. The power of critical theory: liberating adult learning and teach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5. 

  16. Houghton JD & Neck CP.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2;17(8):672-691. 

  17. Shin YK, Kim MS, Han YS.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009;6(3):313-340. 

  18. Kim AY & Park IY.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01;39(1):95-123. 

  19. Fisher GL. Comparing writing with interviews and exams as assessment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derivative.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001. 

  20. Chi LE. & Kim SS. Comparing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2004;20(2):83-101. 

  21. Han SY. The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physical self-efficacy and dance ability achievement [master's thesis]. Jukjeon:Dankook University;2009. 

  22. Lee SJ, Chang YK, Lee HN, Park K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03. 

  23. Lee JC.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 ability [dissertation]. seoul:Chung-Ang University;2013. 

  24. Lee O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9):6036-6043.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036 

  25. Kim IK, Seong JA. Learning style,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 16(7):4621-4631.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621 

  26. Kim YJ, Yoo HN, Park MJ. Effect of motive for major selection on major satisfaction, campus-lif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10):261-270.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0.261 

  27. Ryan G. Student perceptions about self-directed learning in a professional course implementing problem-based learning. Studies in Higher Education. 1993;18(1):53-63. 

  28. Choi BK, Rhee BS. The influences of student engagement, institutional mission, and cooperative learning climate on the generic competency development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Higher Education. 2014;67(1):1-18 

  29. Cha NH, Kim YK. Effects of self study circle activit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4;20(4):659-666.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4.659 

  30. Avdal EU.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f student nurses on success in Turkey. Nurse Education Today. 2013;33:838-841. http://dx.doi.org/10.1016/j.nedt.2012.0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