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관련 건강행동에 대한 구조적 관계의 탐색: 다차원 건강통제소재, 지각된 취약성과 심각성 및 건강행동의도를 중심으로
Exploration of Structural Relations on Health Behavior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Focused on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and Health Behavioral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1, 2017년, pp.413 - 421  

주지혁 (극동대학교 미디어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각해지는 대기 중 미세먼지 현실에 따라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세먼지 관련 건강 인식과 행동에 대해 탐색하였다. 개인 위생적 차원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과 건강행동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개인의 건강 인식과 관련 있는 다차원 건강통제소재, 질병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 및 건강행동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차원 건강통제소재의 3가지 성향 중 내적 성향을 제외한 우연성향과 타인의존성향이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두 변인은 다시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예방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미세먼지 관련 질병 예방행동을 장려하기 위해 정확한 정보를 시의성 있게 제공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여 미세먼지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이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내적 통제소재화를 자극할 수 있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안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of Korean relevant to particulate matter(PM) as PM in the atmosphere getting wor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in the personal hygiene dimension, we analys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ulti-dimensional health lo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통제소재는 건강과 관련된 심리학적 연구에서 개인의 차이를 측정하는 변수로 측정되고 있기 때문에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개인의 건강통제소재의 차이에 따라 미세먼지에 대한 반응이 상이한 행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건강통제소재는 미세먼지에 대한 개인위생 차원의 미시적 접근을 지향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타당한 개념이다.
  • 두 개념들의 상관관계를 탐색한 국내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건강통제소재와 지각된 위협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지만[23] 두 개념 사이의 인과관계를 검정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변인의 인과관계 탐색하고자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가설 1과 2을 설정하고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미세먼지와 관련하여 건강통제소재의 차이에 따라 개인의 건강에 대한 행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해 볼 수 있다.
  • 미세먼지에 대한 실제적인 심각성이 증가하고 사람들의 우려와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가 정책 차원의 거시적 접근과 개인 위생 차원의 미시적 접근이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 위생적 차원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과 건강행동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개인의 건강 인식과 관련 있는 건강통제소재, 질병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 및 건강행동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날로 심각해지는 대기 중 미세먼지 현실에 따라 우리나라 사람들의 미세먼지 관련 건강 인식과 행동에 대한 개인위생적 차원의 미시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미세먼지는 장기간 흡입할 경우 심각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는 건강 위해(危害) 물질이기 때문 언론을 통해 전달되는 관련 정보가 양적으로 급증하고 있고 질적으로 내용의 심각성이 높아지고 있다.
  • 미세먼지가 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국가 정책 차원의 거시적 접근과 함께 개인위생 차원의 미시적 접근을 통해 미세먼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강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의 두 가지 접근 중 개인 위생적 차원에서 미세먼지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건강행동 사이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즉 개인의 건강 인식과 관련있는 건강통제소재, 질병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 및 건강행동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다.
  • 구체적으로 미세먼지라는 맥락에서 다차원 건강통제소재를 구성하는 내적 성향, 우연 성향 및 타인의존 성향이 건강신념모형의 지각된 취약성 및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리고 건강신념모형의 두 변인이 건강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PLS 경로모형분석(PLS path modeling)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미세먼지와 관련된 개인위생 차원의 미시적인 대책을 마련하는데 유의미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05)를 예측하고 있었다. 가설 2는 전통적인 건강신념모형의 경로들로 구성되고 있는데. 가설 H2-1의 민감성(β=0.
  • 연구가설 1: 미세먼지와 관련된 건강통제소재는 건강과 관련된 지각된 위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미세먼지와 관련된 지각된 위협은 건강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가늘고 작은 입자의 먼지를 말하는 것으로 미세먼지 PM10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분진 중 직경이 10μm(μm=0.001cm) 이하를 이르는 말이다.
입자 직경에 따른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은?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은 자연적인 원인과 인위적인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PM10은 보일러나 자동차, 발전시설 등의 연소, 그리고 공사장, 도로 등에서 비산되는 먼지, 고기 굽기, 복사기 사용 등을 통한 생활 속 배출 등, 인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 1차 오염물질이다. 2차 오염물질인 초미세먼지 PM2.5는 대부분 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어 배출되거나 대기에서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황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등 이온 성분과 금속화합물, 탄소화합물 등 유해물질로 구성되어 있다[1,2].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1차 오염 물질과 2차 오염물질의 혼합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세먼지를 장기간 흡입할 경우, 천식이나 폐질환을 일으킬 수 있고 조기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1,3].
통제소재란? 사람들은 개인에게 일어난 일에 대하여 개인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일반적 기대인 통제소재(locus of control)에 의해 특정한 행동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건강행동도 자신의 건강이 무엇에의해 좌우되는지에 대한 기대인 건강통제소재(health locus of control)에 따라 자신의 건강에 대한 지각과 행동에 영향을 받는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Kim, H. Lee, H. Lee, Y. Jang, "A Study of the Public's Perception and Opinion Formation On Particulate Matter Risk: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Perceptions toward Promotional News and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 72, pp. 52-91, 2015. 

  2. Y. P. Kim, "Air Pollution in Seoul Caused by Aeros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2, No. 5, pp. 535-553, 2006. 

  3. J. Park, J. Ahn, M. Seong, C. J., H. Kim, J. Oh, H. Jeon, J. Lim, Y. Hong, J. Han, Easy to Understand Particulate Matter (PM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4. Korean Social Trends 2014,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2014. 

  5. Y. Kim, H. Lee, Y. Jang, H. Lee, "How does media construct particulate matter risks? A news frame and source analysis on particulate matte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9, No. 2, pp. 121-154, 2015. 

  6. Y. Kim, H. Lee, Y. Jang, H. Lee, "A cluster analysis on the risk of particulate matter: Focusing on differences of risk perceptions and risk-related behavior based on public segmentation," Journal of Public Relations, Vol. 20, No. 3, pp. 201-234, 2016. 

  7. D. P. Cha, "The impacts of mas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to health related message on public's risk perception," Journal of the Humanities, No. 58, pp. 647-674, 2010. 

  8. J. B. Rotter, social Learning and Clinic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54. 

  9. B. S. Wallston, K. A. Wallston, G. D. Kaplan, S. A. Maid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HLC)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44, No. 4, pp. 580-585, 1976. 

  10. Y. W.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havior of residents in Choong Nam 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18, No. 2, pp. 118-127, 1988. 

  11. M. Arakelian, "An assessment and nursing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locus of control," Advances in Nursing Science, Vol. 3, No. 1, pp. 25-42, 1980. 

  12. K. A. Wallston, B. S. Wallston, R. De Vellis, "Development of th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Health Education Monographs, No. 6, pp. 160-170, 1978. 

  13. P. Bennett, L. Moore, A. Smith, S. Murphy, C. Smith, "Health locus of control and value for health as predictors of dietary behavior," Psychology and Health, Vol. 10, No. 1, pp. 41-54, 1994. 

  14. C. J. Armitage, P. Norman, M. Conner, "Ca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mediate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7, No. 3, pp. 299-316, 2002. 

  15. M. A. Nemcek, "Health Beliefs and Preventive Behavior a Review of Research Literature," Aaohn Journal, Vol. 38, No. 3, pp. 127-138, 1990. 

  16. J. P. Kirscht, "Preventive health behavior: A review of research and issues," Health Psychology, Vol. 2, No. 3, pp. 277-301, 1983. 

  17. J. Jung, D. Lee, "A Study on Frame Effect in Elaboration Likelihood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ancer Related New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6, No. 6, pp. 278-309, 2012. 

  18. M. H. Becker, L. A. Maiman, "Strategies for enhancing patient compliance," Journal of Community Health, Vol. 6, No. 2, pp. 113-775, 1980. 

  19. M. I. Choi, K. H. Kim, J. H. Joo, "The Effect of Media Exposure as a Cue to Action on Purchase Intention of U.S. Beef: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Severi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3, No. 6, pp. 50-65, 2009. 

  20. P. Sheeran, C. Abraham, "The health belief model," Predicting Health Behaviour: Research and Practice with Social Cognition Models (2nd Ed.), M. Conner, P. Norman, eds., pp. 29-80, Berkshire,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2005. 

  21. M. Vassallo, A. Saba, A. Arvola, M. Dean, F. Messina, M. Winkelmann, E. Claupein, L. Lahteenmaki, R. Shepherd, "Willingness to use functional breads.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across four European countries," Appetite, Vol. 52, No. 2, pp. 452-460, 2009. 

  22. R. B. Schafer, E. Schafer, G. L. Bultena, E. O. Hoiberg, "Food safety: An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Vol. 25, No. 1, pp. 17-24, 1993. 

  23. J. S. Moon,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young adult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15, pp. 25-46, 1997. 

  24. C. Ringle, S. Wende, A. Will, "SmartPLS 2.0 M3," University of Hamburg, 2005. 

  25. D. Gefen, D. W. Straub, "Consumer trust in B2C e-Commerce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presence: experiments in e-Products and e-Services," Omega, Vol. 32, No. 6, pp. 407-424, 2004. 

  26. J. Joo, "Understanding Korean College students' social commerce behavior through an integrated model of technology readines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7, pp. 99-107, 2015. 

  27. J. Joo, "Exploring Korean collegians' smartphone game behavior: Focusing on Concise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flow, and intent to u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 pp. 379-386, 2016. 

  28. M. Hajli, "An integrated model for e-commerce adoption at the customer level with the impact of social commerc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and Management (IJISM), Vol. 16, No. special issue, pp. 77-97, 2012. 

  29. D. Gefen, D. Straub, M.-C. Boudreau,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regression: Guidelines for research practic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4, No. 1, Article 7, 2000. 

  30. W. W. Chin, "Commentary: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Vol. 22, No. 14, pp. vii-xvi, 1998. 

  31. D. Gefen, D. Straub,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l validit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16, No. 1, pp. 91-109, 2005. 

  32. P. Chwelos, I. Benbasat, A. S. Dexter, "Empirical test of an EDI adoption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2, No. 3, pp. 304-321,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