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도검 패용 광다회의 제작기법 분석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the KwangDahoe Tying on the Sword in Joseon Dynasty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0 no.3, 2017년, pp.64 - 87  

백지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시대 끈을 일컫는 다회는 우리의 복식사, 문화사, 생활사가 녹아있는 산물로서 지역과 계층을 불문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국내외 다수의 유물이 현존하고 있으나 연구의 주요대상으로 선정되지 못하여 연구가 미흡하고 기법 전승 등에서도 접근성이 낮아 연구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도검의 패용(佩用)을 위해 사용된 광다회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다회의 비파괴적인 제작기법 분석 방안을 마련하고, 다회의 올바른 보존 및 계승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패용 광다회는 물건의 패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끈이며, 매듭을 맺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여 현재는 매듭장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제작원리는 원다회와 동일하고 다회틀 상판의 심지가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작된 다회의 중앙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다회는 3차원적으로 제작되어 제작기법이 복잡하고 현재까지 올의 개수와 배열에 따라 제작되는 다회에 관한 기초자료가 마련되어있지 않아 제작기법의 규명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제작기법의 추정을 위해 올을 해체하는 경우가 존재하지만 제작기법의 규명에는 어려움이 있고,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다회의 비파괴적인 제작기법 분석방안 마련과 실제 유물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의 필요성이 크다. 유물의 제작기법 분석은 다회 제작기법의 DB구축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고, DB구축을 위하여 다회의 도식화 및 복원샘플 제작, 형태적 특징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DB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물의 X-ray CT 촬영으로 분석결과를 뒷받침할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촬영결과는 다회치기기법에 근거하여 제작기법을 해석하였다. 제작기법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한 패용 광다회는 경인미술관 소장 도검(녹칠어피갑금동장별운도, 어피갑금동장곡병환도)의 패용을 위한 것으로 다회의 예술성, 기능성과 상징성을 겸비한 유산이며 광다회가 온전히 남아있어 띠돈을 비롯한 패용장식이 모두 온전한 유물이다. 유물의 제작기법 분석결과를 토대로 짜임형태를 관찰하였고 2점 모두 좌우측면에서 1회 교차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짜임형태 길이비 측정을 통해 20개의 올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X-ray CT 촬영결과 DB의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차후 국내외에 산재되어있는 다회의 분석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미력하게나마 소중한 전통문화의 보존 및 계승,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hoe is a traditional braid in Joseon Dynasty. There are many Dahoe artifacts, which can give us a glimpse of the costume, culture, and life of that era. The study of Dahoe is necessary in various fields, but it is difficult because this manufacturing technique has been passed down from hand to han...

주제어

참고문헌 (21)

  1. 고려대학교박물관.경인미술관, 2008, 칼, 실용과 상징, (주)중앙문화인쇄, pp176-180 

  2. 국립고궁박물관, 2011, 상.폐슬 - 국립고궁박물관 복원.복제 제작기술서 -, 비에이디자인 

  3. 국립민속박물관, 2003, 한국 전통무기 조사 - 도검.화기류 -, 경희정보인쇄(주), pp.17-20 

  4. 국립중앙박물관, 2004, 한국 전통 매듭 - 균형과 질서의 미학 -, 한국박물관회, p.31 

  5. 국방군사연구소, 1994, 한국무기발달사, 군인공제회, pp.256-270 

  6. 김시재.조우현, 2012, 조선시대 조대(條帶)와 끈목 제작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제15집 제3권, 조형디자인학회, pp.43-44 

  7. 김시재, 2008, 조선시대(條帶)의 형태적 특징과 제작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은영, 2003, 김은영 매듭, 문성원색 

  9. 김은영.김혜순, 2001, 매듭, 삼정인쇄공사 

  10. 김희진, 2008, 아름다운 우리매듭, 그라픽네트 

  11. 김희진, 1974, 每緝과 多會 - 매듭과 끈목 -, 광명출판사, p.4 

  12. 민승기, 2004,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13. 박윤미, 2015a, 전통 다회 직기의 형태와 구조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18권 2호, 한복문화학회 

  14. 박윤미, 2015b, 일본에 전래된 다회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18권 3호, 한복문화학회 

  15. 박진영, 2010, 조선시대 공신화상 유소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지선, 2017, 조선시대 도검 패용 광다회의 제작기법 분석 및 복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4-16 

  17. 백지선.정광용, 2015, 오색교사(五色交絲) 제작기법의 복원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V.18 N.4, 한국조형디자인학회, p.318 

  18. 육군박물관, 2013, 조선의 도검, 충을 벼루다, 디자인포스, p.48, 108 

  19. 임금희.조우현, 2009, 고려조 기법의 조선시대 광다회 복원 고찰 한국복식학회 59권 6호 

  20. 임금희, 2008, 조선시대 능조직 광다회의 복원적 연구 :신라조.고려조 기법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최연우.박윤미.김명이, 2016, 조선시대 왕실 예복에 사용된 다회(多繪) 및 망수(網綬) 연구 한국복식학회지 66권 5호, 한국복식학회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