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OMPSAT-2/3 위성을 활용한 강원도 인제군 소양강 상류지역의 가뭄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Drought in the Upstream Area of Soyang River, Inje-Gun, Kangwon-do Using KOMPSAT-2/3 Satellite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4 no.6 pt.3, 2018년, pp.1319 - 1327  

박성재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이창욱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수량이 집중되고, 지하수 유출량이 크기 때문에 가뭄에 취약한 지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해서 정량화된 가뭄지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주로 강수량을 분석한 가뭄지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가뭄을 모니터링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소양강 상류지역의 가뭄 모니터링을 위하여 KOMPSAT-2/3 영상을 이용하여 수계면적을 산출하고 가뭄지수와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공위성영상에서 산출된 수계면적 변화의 경향성과 가뭄지수와의 경향성이 비슷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추후 이 연구는 가뭄을 판단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 has a terrain vulnerable to drought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recipitation in summer and the large amount of groundwater discharge. Quantified drought indices are used to determine these droughts. Among these, drought index is mainly used for analysis of precipitation, and recently, researc...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에서는 소양강 상류 지역의 가뭄 모니터링을 위하여 KOMPSAT-2/3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하여 영상 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계면적을 산출하였다. 또한 산출된 수계 면적과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통해 인공위성영상의 가뭄 모니터링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영상은 가뭄 시기와 가뭄 전/후 시기에 획득된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감독 분류인 ANN, SVM 알고리즘과 무감독 분류인 ISO data 알고리즘으로 적용하여 영상을 분류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가뭄이 발생한 소양강 상류 지역에 대하여 가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KOMPSAT-2와 KOMPSAT-3 영상을 활용하여 수계면적 변화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 영상에서 수계 면적을 산출하기 위해 사용한 분류 알고리즘은? 영상으로부터 수계 면적을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한 분류 방법은 감독분류방법인 ANN 알고리즘과 SVM 알고리즘과, 무감독분류 방법인 ISOdata 알고리즘이다. ANN 알고리즘은 머신러닝의 한 종류로 하나 이상의 입력 레이어, 숨김 레이어, 출력 레이어 순의 연결 순서를 가지며, 각 레이어는 뉴런이라는 비선형 처리단위로 구성되며, 연속된 레이어의 뉴런 사이의 연결에 가중치가 부여된다(Xiu and Liu, 2003).
지속적인 가뭄 분석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는? 특히 현재 계속되는 사회의 발전으로 용수의 수요 증가와 국제적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강수량 감소가 가뭄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Kim and Park, 2015). 하지만 가뭄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의 부재로 인해 가뭄의 심각성을 추산하는 것이 어려우며 정책 결정자들의 판단의 혼란을 야기해 효과적인 조치의 시기를 놓치는 경향이 있다(Lee et al., 2017).
우리나라가 가뭄에 취약한 이유는? , 2003).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강우량이 집중되는 기상학적 요인과 대수층이 발달하지 못한 지형학적 요인에 의해 가뭄에 취약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 강수량이 감소하였으며 2015년 1월부터 6월까지 중부지방의 강수량은 평년대비 절반수준 밖에 미치지 못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e, D. H., K. H. Son, and H. Kim, 2013. Derivation & evaluation of drought threshold level considering hydro-meteorological data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3): 287-299. 

  2. Gwak, Y. S., J. P. Cho, I. G. Jung, D. W. Kim, and S. M. Jang, 2018. Projection of Future Changes in Drought Characteristics in Korea Peninsula Using Effective Drought Index,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9(1): 31-45. 

  3. Irvin, B. J., S. J. Ventura, and B. K. Slater, 1997. Fuzzy and isodata classification of landform elements from digital terrain data in Pleasant Valley, Wisconsin, Geoderma, 77(2-4): 137-154. 

  4. Kadavi, P. R. and C. W. Lee, 2018. Land cover classification analysis of volcanic island in Aleutian Arc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from Landsat imagery, Geosciences Journal, 2018: 1-13. 

  5. Kim, D. W., H. R. Byun, and K. S. Choi, 2009. Evaluation,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Effective Drought Index to 200-Year drought climatology of Seoul, Korea. Journal of Hydrology, 378(1-2): 1-12. 

  6. Kim. T. W. and D. H. Park, 2015. Extreme Drought Response and Improvement - Focusing on 2015 Drough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3(9):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Y. W. and C. S. Shim, 2017. Towards an Integrated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 satellite Data Products Over Korean Peninsular,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6-1): 993-10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J. H., J. W. Seo, and C. J. Kim, 2012. Analysis on Trends, Periodicities and Frequencies of Korean Drought Using Drought Indice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 75-89. 

  9. Lee, S. B., Y. Kim, J. Kim, and Y. Park, 2017. Detection of Alteration in River Area Using Landsat Satellite,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17(3): 391-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cKee, T. B., N. J. Doesken, and J. Kleist,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Proc. of th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Boston, MA, Jan. 17-22, vol. 17, pp. 179-183. 

  11. Park, E. J., J. C. Seong, and C. S. Hwang, 2003. A Study of Drought Susceptibility on Cropland Using landsat ETM+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19(2): 107-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Park, J. S. and K. T. Kim, 2009. Evaluation of MODIS NDVI for drought monitoring: Focused 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7(1): 117-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Park, J. Y., J. Y. Yoo, M. Lee, and T. W. Kim, 2012. Assessment of drought risk in Korea: Focused on data-based drought risk ma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4B): 203-211. 

  14. Park, M., S. Jang, and S. Kim, 2015. Analysis of 2015 Drought in Korea Using Real-Time Drough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6): 451-4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Rhee, J. and J. Cho, 2016. Future changes in drought characteristics: regional analysis for South Korea under CMIP5 projectio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17(1): 437-4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Shin, H. J., M. J. Park, E. H. Hwang, H. S. Chae, and S. J. PARK, 2015. A Study of Spring Drought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For the Soyanggang 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 145-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Xiu, L. N. and X. N. Liu, 2003.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processing in remote sen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and Application, 18(5): 339-3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