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3, 2018년, pp.164 - 172  

이경민 (수성대학교 간호학과) ,  안은선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전원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well-being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ment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64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s,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 수준을 측정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대학생의 정신적 웰빙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 수준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정신적 웰빙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고, 정신적 웰빙은 중간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의 정도 및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간호대학생의 정신적 웰빙을 조사하고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간호학적 의의가 있다. 교육적 측면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 웰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학생들의 건강관리나 정신적 웰빙 증진을 위한 교육과 지도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정신적웰빙 수준을 조사하고,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신적 웰빙에 대한 구체적인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 시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학생 시기는 발달단계 상 성인으로서의 인생전환의 과업을 완수해 나가는 시기로서 어떤 연령층에서보다 많은 환경변화에 노출되며 학업, 대인관계, 진로문제 등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내, 외적 혼돈을 경험하게 된다[1]. 특히, 간호대학생은 일반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이외에도 임상실습이나 간호사 면허증 취득을 위한 국가시험 준비 등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트레스는 간호대학생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2] 분노와 같은 정신건강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건강증진행위의 운동 영역과 건강책임 영역의 점수가 낮은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간호대학생들은 임상실습 현장에서 다양한 대상자들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고 교육과정에서 팀별 활동과 팀 과제가 많아 동기생들과 팀워크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대인관계역량을 증진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15,28]. 반면,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을 잘 하지 않고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는 민감성은 매우 낮아 건강상태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나 자신의 건강문제를 전문가와 상의하는 등의 건강책임 행동은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29].
정신적 웰빙의 하위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정신적 웰빙은 긍정적 정신건강을 의미하며, 정신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면서도 서로 구분되는 특성이 있어 정신장애에 이환되지 않아도 주관적 안녕감을 갖지 못하는 경우 정신적으로 완전히 건강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접근한다[8]. 정신적 웰빙은 정서, 심리, 사회적 웰빙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서적 웰빙은 삶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을 평가하고,심리적 웰빙은 개인이 잠재력을 개발하고 온전히 기능하는지를 평가하며, 사회적 웰빙은 개인이 속한 사회의 기능에 대한 주관적 평가이다[9]. 선행연구에서 정신적 웰빙은 자살행동과 같은 심각한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고[6], 스트레스 대처와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ong M. The influence of anger, alienation on alcohol addiction, and internet addiction: behavioral activation as mediator. Forum for Youth Culture. 2013;36(1):60-83. 

  2. Lee MS, Kim KS, Cho MK, Ahn JW, Kim S. Study of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4;21(2):125-134. https://doi.org/10.5953/JMJH.2014.21.2.125 

  3. Jun WH, Lee G. Comparing anger, anger expression,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between Korean female nursing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7;73:2914-2922. https://doi.org/10.1111/jan.13354 

  4. Lee SH, Kim JK. Impact of self-esteem and test anxiety on mental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registered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0;16(2):177-185.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2.177 

  5. Kim YS, Lee KS.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5):509-522.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5.33 

  6. Noh S, Cho Y. The relationship of mental health to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based on the complete mental health model.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5;34(4):1059-1078. https://doi.org/10.15842/kjcp.2015.34.4.009 

  7. Cho Y.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n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trauma-exposed individuals: medi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5;34(4):1059-1078. 

  8. Lim YJ, Ko YG, Shin HC, Cho YR.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outh Korea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012;31(2):369-386. 

  9. Keyes CLM, Wissing M, Potgieter J, Temane M, Kruger A, van Rooy S. Evaluat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MHC-SF) in Swetsana-speaking South African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2008;15(3):181-192. https://doi.org/10.1002/cpp.572 

  10. Eo YS, Kim MS. Mental health level and ways of cop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SN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015;27(6):1532-1545. https://doi.org/10.13000/JFMSE.2015.27.6.1532 

  11. Jeong GC. Relationships among mental health, self-forgive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2):360-372.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360 

  12. Lee SY, Han M. The relationships among dispositional gratitude, gratitude expression, and ment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16;29(3):53-73. 

  13. Koh EH, Lee Y. Relationship among lnterpersonal competence, strengths use, academic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12):271-282. https://doi.org/10.14257/AJMAHS.2016.12.54 

  14. Chung JE. The relationship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n sport club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8;13(2):315-327. https://doi.org/10.21097/ksw.2018.05.13.2.315 

  15. Kim E, Suk MH.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health allied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3):463-473. https://doi.org/10.5932/JKPHN.2015.29.3.463 

  16. Han SY.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college students-application of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18(8):781-801.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8.781 

  17. Kim SO. The relationships between body mass index, nutrition knowledge an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6;18(2):87-93. https://doi.org/10.7586/jkbns.2016.18.2.87 

  18. Seo YO.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rdiness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6;2(1):119-134. 

  19. Lee SM.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ymptom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university students by the type of resid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9):447-457. http://dx.doi.org/10.5762/KAIS.2016.17.9.447 

  20. Park DY, Kim MJ. The effects of family function, health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6):561-57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6.561 

  21. Lee SM.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9):6120-6129. https://doi.org/10.5762/KAIS.2015.16.9.6120 

  22. Lee OS, Park SH.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who use the life gy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8):327-334. https://doi.org/10.5762/KAIS.2016.17.8.327 

  23. Seong NB, Cheong KJ. Mediated effect of the energy and mind homeostasis on relations with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ind and body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6;11(3):23-34. https://doi.org/10.21097/ksw.2016.08.11.3.23 

  24. Moon IO, Park SK, Kim EG.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5;29(2):231-243. https://doi.org/10.5932/JKPHN.2015.29.2.231 

  25.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s://doi.org/10.3758/brm.41.4.1149 

  26.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https://doi.org/10.1097/00006199-198703000-00002 

  27. Oak JW. The effects of perceived family health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2):611-619.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2.85 

  28. Yang NY, Moon SY. The impact of health statu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ocial problem ability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1):33-42.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1.33 

  29. Jeong YH, Song MS. Health belief, social support,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8;25(1):5-14. https://doi.org/10.22705/jkashcn.2018.25.1.005 

  30. Ko YJ, Son Hong GR. Lived experiences toward harmful work environment among clinical nurses: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8;24(3):173-181.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3.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