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의 공간 및 사회적 특성 - 경상남도 김해시를 중심으로 -
The Spat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 Focusing on Gimhae City in Gyeongsangnamdo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4 no.1, 2018년, pp.99 - 111  

이승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  이유직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implications by observing the chang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with Gimhae city, Gyeongsangnam-do as the subjec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examined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의 변화양상과 특성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지역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농지감소지역의 토지이용과 커뮤니티 측면에서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 나아가 혼재(混在)·혼주(混住)의 무질서한 공간에서 도농(都農)이 상생(相生)하고 공생(共生)하는 공간으로 전환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의 변화양상과 토지이용 및 커뮤니티 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역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의 변화양상과 특성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지역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농지감소지역의 토지이용과 커뮤니티 측면에서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이 가진 성격이 무엇인가요? 그러나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은 도시적 특성과 농촌적 특성이 뒤섞여 있어 마치 생태계의 추이대(ecotone)와 같은 성격을 지닌다. 또한 인근지역에 비해 토지이용, 인구 구성, 산업 활동이 다양하여 상호작용을 통해 지역 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과 기회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관련 연구들을 종합했을 때 농지감소지역은 무엇인가? 관련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도시주변 ‘농지감소지역’ 은 일반적인 농촌지역과는 달리 생산 공간(농업)으로서의 기능보다는 농민들의 삶의 터전인 생활공간이자 도시민을 위한 어메니티를 제공하는 복합적인 공간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지역은 도시적 관점에서는 도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전원 생활, 여가 및 휴양, 농업활동 등 어메니티를 통해 서로 교류하는 공간으로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난개발 문제, 편법적인 용도변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김해시가 추진하는 제도적 장치는 무엇인가요? 그러므로 농업관련 시설의 용도변경 범위에 대한 기준과 더불어 임야의 개별 입지로 얻는 이익을 상쇄할 수 있는 유인책을 계획입지 지역에 도입하고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 김해시는 2017년 11월부터 난개발정비종합대책, 도시계획조례 개정, 개발행위허가 운영지침 제정 등 법규 정비를 통해 난개발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예방에 집중하고 있어 이미 난개발로 인한 토지이용, 경관, 커뮤니티 문제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회복 및 사후관리에 대한 방안 마련 또한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im, Jeong-Youn et al., 2014,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 Based on the Eup and 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6(1): 27-44. 

  2. Kim, Jeong-Ho, 2006, A Study on the Urban-Rural Linked Development of the Rural Area in the Fringe of Small and Medium Sized City,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Local Government, 3(14): 89-98. 

  3. Kim, Chang-Hyeon et al.,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 and policy implications in at era of urban rural interchang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4. Murase Akira, 1983, Space model of the Ruban Community, Journal of Jap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1): 27-35. 

  5. Seong, Ju-in et al., 2016, Survey on Actual Changes of Rural Villages in Major Citi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6. Son, Yong-Hoon et al., 2014, Landscape changes in suburban villages resulting from plant lo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 13-26. 

  7. Yamamoto Masayuki, 2006, Regional revitalization with agricultural living : Agri renaissance, Hanul Publishing Group. 

  8. Lee, Da-Ye and Lee, Hee-Yeon, 2016, Region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Promoting Area-specific Policies,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2(2): 15-29. 

  9. Lee, Byung-ki and Kim, Chang-Shik, 2004, A Study on the Urbanization process in the overlapping area of Metropolitan fringe -Focused on Gumdan Area located between Incheon and Seoul.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7(1): 3-20. 

  10.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2009, Rurban Design, Purungil Publishing Group. 

  11. Yim, Seok-Hoi, 2005, An Analysis of Regional Types of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1(2): 211-232. 

  12. Jang, Seong-Jun, 2010, A Study on the Typology and Evolution of Villages and Houses in Rural Areas - Case Study of 13 Villages between the 1980s and 2010,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7): 63-74. 

  13. Jo, Yeong-jae et al., 2010, The Actual Situation and Planned Tasks of Urban and Suburban Rural Areas,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14. Choe, Yeol et al., 2003, A Study for a Change of the Residential Characteristic in Urbanizing the Small Town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Urban Affairs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14: 67-76. 

  15. Tom, Daniels, 2006, When City and Country Collide : Managing Growth in the Metropolitan Fringe, Hanul Publishing Grou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