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를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지열에너지 연관 데이터를 중심으로-
Utilizing public data to promote renewable energy supply -Focusing on geothermal energy related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1, 2018년, pp.253 - 262  

김유승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  류형규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  최승혁 (대한기계설비산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에너지 산업은 에너지사용량 감축을 위해 신 재생에너지 공급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한 지열에너지 시스템 공급 촉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 가능성 평가 방법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 가능성 평가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여 전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였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열정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지역 환경평가 기준을 정립하고, 다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energy industry is implementing renewable energy supply policy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database that can help promote the supply of geothermal energy system to prepare for the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demand and to develop a method to 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표는 건축물의 부하산정, 지열에너지 시스템 용량산정,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환경 평가와 연관된 이론과 정보를 활용한 지열에너지 시스템설치 평가 방법을 개발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관련 데이터 수집 및 전용 데이터베이스 구축, 데이터베이스 활용 방안 개발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공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함으로써 연구 결과에 신뢰성을 보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관에서 제공하는 신뢰도 높은 전국 건축물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 가능성 평가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와 관련 배경이론을 활용한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 가능성 평가 방법을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열에너지 설치 가능성 평가를 위한 설치예상 지역의 정보를 포함하여 지열정 설치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선정하여 지역 환경평가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는 건축물의 부하산정, 지열에너지 시스템 용량산정,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치환경 평가와 연관된 이론과 정보를 활용한 지열에너지 시스템설치 평가 방법을 개발하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 기온과 지면온도 등의 환경 변수를 갱신되지 않은 대푯값을 사용하여 과대한 결과로 계산을 하는 현재의 지열에너지 시스템 설계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갱신된 최신 정보, 계산공식, 국내기준 등을 적용하여 적절한 수준의 설계를 예측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연구한 데이터베이스와 적용이론을 프로그램에 탑재하여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해당 기본 계획의 특징은 폐기물 비중을 축소하고 비교적 보급 비중이 낮은 신·재생에너지원을 육성하는 것으로 지열에너지의 경우 2012년 0.7%의 보급 비중에서 2035년 8.5%로 보급 비중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현재 국내 에너지 산업 영역에서는 다양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기술개발과 정부계획수립 등 관련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책 브리핑을 통해 전력수요관리, Energy Storage System(ESS), 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등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형 산업인 ‘에너지 신산업’[1]을 언급하였고, 2017년 12월 20일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통해 2030년 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 목표로 하고 있음을 발표[2]하였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 계획의 목표는 무엇인가? 현재 국내 에너지 산업 영역에서는 다양한 에너지 사용량 감축 기술개발과 정부계획수립 등 관련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책 브리핑을 통해 전력수요관리, Energy Storage System(ESS), 전기자동차, 스마트그리드 등 에너지 분야의 주요 현안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문제 해결형 산업인 ‘에너지 신산업’[1]을 언급하였고, 2017년 12월 20일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통해 2030년 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 목표로 하고 있음을 발표[2]하였다.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특징과 목표는 무엇인가? 산업통상자원부가 2014년에 발표한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3]에서는 주요 신·재생에너지의 1차 에너지 기준 원별 비중 목표를 제시하였다. 해당 기본 계획의 특징은 폐기물 비중을 축소하고 비교적 보급 비중이 낮은 신·재생에너지원을 육성하는 것으로 지열에너지의 경우 2012년 0.7%의 보급 비중에서 2035년 8.5%로 보급 비중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급 활성화 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각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효율적인 공급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Briefing.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omepage. http://www.motie.go.kr 

  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7). Press Releases.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omepage. http://www.motie.go.kr 

  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4). The 4th Renewable Energy Basic Plan. Sejong : MOTIE. 

  4. H. S. Byeon. (2017). The Status and Suggestions for Big Data Adaptation i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Agenc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13-25. 

  5. J. W. Lee & J. S. Yang. (2018). Backcasting of Future Energy Service Industry based on Energy-A ICBM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33-40. 

  6. J. W. Won & D. S. Song. (2015). Analysis of the domestic standard for air-conditioning system sizing-KS C 9306. SAREK Conference Proceedings, 194-197. 

  7. T. J. Park & D. S. Song. (2014). Effect of the residential building performance code on cooling system capacity. SAREK Conference Proceedings, 283-286. 

  8. B. K. Oh, B. S. Ryu, G. T. Lee, T. Y. Jun & W. S. Kim. (2014). According to standard building design load of the equipment capacity research. SAREK Conference Proceedings, 324-325. 

  9. S. Y. Yoo & K. H. Han. (2010). A Study on Prediction of Hourly Cooling Load Using Building Area.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22(11), 798-804. 

  10. S. G. Yong, J. H. Kim, Y. S. Gim, J. H. Kim, J. K. Cho, H. K. Hong & J. M. Koo. (2016). Impacts of building envelope design factors upon energy loads and their optimization in US standard climate zones using experimental design. SAREK Conference Proceedings, 82-83. 

  11. S. H. Choi. (2017). Study on Heating and Cooling Load Standard per Building Area I (Apartment). Seoul : KRIMFI 

  12. H. W. Yun, S. H. Choi & H. K. Ryu. (2017). “Study on the Annual Building Load Predicting Method using a Polynomial Function.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of Geothermal Energy Engineers, 13(1), 7-13. 

  13. H. K. Ryu, S. H. Choi, H. W. Yun & Y. S. Gim. (2017). Study on the Capacity Design Tool Development for Open-loop Ground Heat Exchanger. Transactions of the Korea society of Geothermal Energy Engineers, 13(2), 9-15. 

  14. H. J. Kong, J. M. Park & S. K. Kwon. (2017). A Study on the Standing Column Well Heat Pump System by Analysis and Improvement of Geothermal Energy Assessment Report. SAREK Conference Proceedings, 725-729. 

  15. J. S. Hahn, H. S. Han, C. Hahn & H. S. Kim. (2007). Estimate the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Geothermal well(1) (Hydrological geological aspect). Korea Journal of geothermal energy, 3(2), 60-68. 

  16. J. S. Hahn, H. S. Han, C. Hahn & H. S. Kim. (2008). Estimate the appropriate distance between Geothermal well(2). Korea Journal of geothermal energy, 4(1), 62-70. 

  17. S. J. You, J. Y. Kim, W. H. Hong & C. H. Ahn. (2007). Research on the Temperature Recovery Time in Well of Geothermal System Using Standing Column Well in Case of Cooling. KIAEBS Conference Proceeding, 285-288. 

  18. W. H. Lee, J. Y. Kim, W. H. Hong & C. H. Ahn. (2008). A Study on Recovery Time of Ground Water Temperature of Small Scale GWHP Using Standing Column Well in Case of Heat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7), 223-230. 

  19. Y. S. Jeong. (2018). Linking Algorithm between IoT devices for smart factory environment of SM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2), 233-238. 

  20. J. T. Kim, J. S. Han. (2017). Agricultural Management Innovation through the Adoption of Internet of Things : Case of Smart Far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3), 65-7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