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 대학생의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융합 연구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 술기 능력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Program Applying Clinical Scenario in Nursing College Students -Centered Self efficacy, Communication Skill, Nursing Skil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1, 2018년, pp.479 - 489  

백경화 (경북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하은희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종경 (단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술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며,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35명과 대조군 46명의 2학년 간호 대학생이었다.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적용 후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 술기 능력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06, p=.042). 의사소통능력은 실험군에서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28, p=.778). 간호 술기 능력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약간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46 4, p=.016). 이에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은 학생들의 임상 상황의 이해를 돕고 간호 술기 능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self efficacy, communication skill, and nursing skill on their application of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program with clinical scenario.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se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을 받는 2학년 간호 대학생들에게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 술기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 목표를 준비하고 지도자의 시범과 설명을 통한 재시범, 그리고 피드백을 반영한 술기 연습을 하는 체계적인 모형[4]에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임상 실습 전인 2학년 간호 대학생들의 기술습득이나 경험 부족으로 인한 임상 실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대상자와의 상호작용과정에서 의사소통의 중요성 인식과 의사소통능력을 익힘으로써 간호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간호 술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체계적인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먼저 실험군과 대조군에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 술기 능력을 측정한 후 대조군에는 기존의 기본 간호실습을 수행한 후 사후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에는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실습 처치 후 사후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2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실습교육에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간호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간호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post test design)이다. Fig.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을 받는 2학년 간호 대학생들에게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 술기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일 대학의 2학년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간호 술기를 익히도록 함으로써 기술과 경험이 부족한 간호 대학생들에게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증진되고, 간호 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기본간호학실습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으며 도출된 논의 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임상 실습 전인 간호대학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 시나리오를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간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 술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임상 수행과 관련된 실제적인 기본간호 실습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은 실험군에서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제 1 가설: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제 2 가설: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높을 것이다.
  • 제 3 가설: 임상 시나리오를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간호 술기 능력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이란? 간호학은 간호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실무 중심의 학문으로 인구 고령화 및 의료기기의 다양성에 따른 의료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기본 교육과정으로 이론교육과 함께 실습교육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임상 현장을 반영하고 있다[1]. 그러나 현재 의료 환경은 환자의 안전관리 및 개인의 권리 보호 측면이 대두되면서 대부분 임상 현장에서는 간단한 간호행위나 관찰 위주로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학생들이 임상 실습을 하여 술기 능력을 습득하거나 자신감을 느끼기 어렵고, 이런 경험 부족은 실제 임상에서의 수행능력 저하를 가져온다[2].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학에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다양한 인간관계에서 필요한 의사소통능력은 직접적인 임상 실습교육을 통한 대상자와의 관계 경험 부족으로 이론적인 지식을 실제 상황에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정확한 의사전달이 되지 못한다[3].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학은 숙련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대상자와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의사소통능력이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간호사 교육에 포함되어 있고 학생들의 이론적인 지식과 자신감 향상에 기여하며[4], 의료진 간 대상자의 결과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의 환자안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5].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간호 대학생에게 교수자 중심의 일 방향적인 강의보다는 학생들의 동기유발을 통해 학습을 촉진하고 의사소통능력을 고려하는 실습교육이 위주가 되어야 한다[6,7].
현재 간호학 실습의 한계는? 간호학은 간호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실무 중심의 학문으로 인구 고령화 및 의료기기의 다양성에 따른 의료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기본 교육과정으로 이론교육과 함께 실습교육을 통하여 지식을 습득하고 임상 현장을 반영하고 있다[1]. 그러나 현재 의료 환경은 환자의 안전관리 및 개인의 권리 보호 측면이 대두되면서 대부분 임상 현장에서는 간단한 간호행위나 관찰 위주로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학생들이 임상 실습을 하여 술기 능력을 습득하거나 자신감을 느끼기 어렵고, 이런 경험 부족은 실제 임상에서의 수행능력 저하를 가져온다[2]. 임상 현장의 인간관계는 의료인뿐만 아니라 환자 및 보호자 등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Y. I. Park et al. (2013).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63-674.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663 

  2. M. R. Song, E. M. Kim & S. J. Yu. (2012). A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6), 390-401. http://dx.doi.org/10.5392/JKCA.2012.12.06.390 

  3. C. Thomas, E. Bertram, & D. Johnson. (2009 ).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ator, 34(4), 176-180. http://dx.doi.org/10.1097/NNE.0b013e3181aaba54 

  4. J. M. Lee.(2015). Effects of a STEPS Model-Based Nursing Skill Training Program o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Je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5. E. M. Kim, M. Yu & J. W. Ko. (2015). Development of Nurse's Handover Standards between Hospital Units using SBA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127-142. 

  6. L. Hofler. (2008). Nursing education and transition to the work environment: A synthesis of National repor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 5-12. http://dx.doi.org/10.3928/01484834-20080101-06 

  7. B. Kooker, J. Shoultz & E. Codier. (2007). Identifying emotional intelligence in professional nursing practie.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3(1), 30-36. http://dx.doi.org/10.1016/j.profnurs.2006.12.004 

  8. J. Y. Choi, K. S. Jang, S. H. Choi & M. S. Hong. (2008).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83-91. 

  9. M. Y. Jho. (2014).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Self - efficacy,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3), 292-301. http://dx.doi.org/10.7739/jkafn.2014.21.3.292 

  10. M. Y. Kim, S. H. Park & J. S. Won. (2016).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Anxiety during Simulation Training on Personal Satisfaction of Simulati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4), 411-418. http://dx.doi.org/10.7739/jkafn.2016.23.4.411 

  11. J. H. Kim, E. O. Park. (2012).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2), 134-144. http://dx.doi.org/10.5807/kjohn.2012.21.2.134 

  12. Y. S. Byeon. (2005).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The Journal of Kore 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169-176. 

  13. I. S. Kown & Y. M. Seo.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25-33.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25 

  14. K. O. Park, Y. M. Ahn, N. R. Kang, M. J. Lee & M. Shon. (2013).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and Student Nurse Stress Index Using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 Modules for Asthma and Type 1 Diabetes. Korean Academy of Chind Health Nursing, 19(2), 85-93. http://dx.doi.org/10.4094/chnr.2013.19.2.85 

  15. H. S. Kim, H. R. Park & E. H. Park.(2014). Empowerment on Clinical Nursing Skills Core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2), 589-599.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2.589 

  16. K. J. Im, B. S. Yang & Y. L. Kim. (2018). Development and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03-213. http://doi.org/10.14400/JDC. 2018.16.2.203 

  17. S. J. Lee, Y. M. Park & S. M. Noh. (2013). "The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With Hybrid Mod el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nd Self Confidence.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25(2), 170-182. http://dx.doi.org/10.7475/kjan.2013.25.1.170 

  18. I. H. Cho & M. R. Park. (2017). Comparis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degree of communic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7), 397-404. http://dx.doi.org/10.14257/ajmahs.2017.0 7.38 

  19. M. Y. Jung. (2016). Needs o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0. E. Erdfelder, F. Faul & A. Buchner.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28, 1-11. 

  21. D. Bandura & H. Schunk. (1981). Cultivating Co 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586-598. http://dx.doi.org/10.1037/0022-3514.41.3.586 

  22. M. sherer, J. Maddux, B. Mcrcandante, S. Prentic-Dunn, B. Jacobs & R. Rogers.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2),663-671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3. J. H. Lee. (1998). A Study on the Forecasting Factors for Health Promotion of a Hospital nurs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4. S. Trenholm & A. Jensen. (2000). Interpersonal communication. NY: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5. S. J. Lee, U. K. Jang, H. M. Lee & G. Y. Park.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6. W. S. Lee, K. C. Cho, S. H. Yang, Y. S. Roh & G. Y. Lee.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16(1), 64-72. 

  27. J. H. Kim & Y. S. Park. (2015).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Self-efficacy on Psychosocial Stress of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 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1(1), 111-121.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1.111 

  28. H. K. Cho & I. S. Jung (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25-32. 

  29. W. J. Kim & S. Y. Kim. (2016).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using SBAR on Nursing Students' Self-expressive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Abilities to Think Criticall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9), 457-472. http://dx.doi.org/10.22251/jlcci.2016.16.9.457 

  30. Y. R. Park, S. H. Park & M. J. Park. (2015).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on Clinical Practicum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3), 1711-1724. 

  31. C. Y. Jeong & Y. S. Seo. (2017). Effect of Convergenc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Communication self efficacy, Communicat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5), 271-280. https://doi.org/10.14400/JDC.2017.15.5.271 

  32. Y. H. Song. (2017).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47-152.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3.025 

  33. M. R. Eom, H. S. Kim, E. K. Kim & K. Y. Seong. (2010).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Korean Academy of Nursing, 40(2), 151-16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