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재활치료 - 인지 재활과 연하 재활을 중심으로: 사례연구
Occupational Therapy in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Patient by Suicidal Attempt: Case Report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1, 2018년, pp.11 - 26  

이의연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사례연구는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특징적 증상과 신경학적 회복 양상을 고려한 인지 및 연하 재활 중심의 작업치료 중재를 소개하고 중재 효과로 인한 회복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을 진단받은 32세 남성으로 치료기간은 2016년 9월 8일부터 12월 6일까지이며, 주 5회 하루 한 번 재활치료를 받았다. 작업치료는 신경학적 기전으로 인한 저산소 허혈성 뇌손상의 특징과 자살이라는 정신 건강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이루어 졌으며, 인지와 연화 재활 중심의 프로그램이었다. 인지기능은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MMSE-K),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일상생활활동 수준은 Korean-Modified Barthel Index(K-MBI), 연하기능은 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VDS), 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s Measurements System (ASHA-NOMS)로 평가하였다. 결과 :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지연성 뇌손상 기전에 따라 인지기능 평가인 MMSE-K, CNT와 일상생활활동 수준을 평가하는 K-MBI, 연하기능을 평가하는 VDS, ASHA NOMS 결과에서 초기 평가 결과에 비해 모든 기능에서 저하가 나타났으나 회복 기전과 함께 재활 치료가 병행되며 모든 기능이 회복되어 초기 평가 수준으로 호전되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자살시도로 인한 심리적 요인과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한 인지 및 연하적 요인을 고려한 일반적인 작업치료 프로그램은 환자에게 긍정적 회복 양상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한 지연성 뇌손상이 발생한 환자에게 작업치료의 개입은 필요한 부분이며, 정신건강과 인지 및 연하기능의 중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case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swallowing rehabilitation on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patient by Suicidal Attempt. Methods : The subject was a 32-year old Hypoxic-ischemic brain injury patient by suicidal attempt. He received treatment once a 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에게 작업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없었고, 이와 관련된 인지 치료를 적용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사례 연구를 통해 자살 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과 작업치료실에서 주로 실시한 평가와 치료와 함께 전반적인 기능이 호전되는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
  • 감정 표현에 소극적이고, 질문에 단답형으로 대답하는 양상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열린 질문을 통해 긴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여, 감정 표현하는 방법을 연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연구 환자에게는“주말 잘 보냈어요?”라는‘예’, 아니요’등단답형으로 답변하는 닫힌 질문보다는“주말에 병원에서 뭐하시면서 어떻게 보냈어요?”라는 열린 질문을 하여 열린 대답을 유도하여 대화를 이어나가도록 하였다.
  • 고려사항에는 친근감이 형성되기 전까지 자살에 대한 직접 적인 질문은 하지 않도록 하며, 자살 시도 후에는 다양한 감정들을 시도자는 느낄 수 있어 양가감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 삶과 재활에 대해 동기 강화가 중요한 부분이었다. 또한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함께 있는 경우 보호자에 대한 접근과 상담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지속적으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정신건강의학과 상담과 치료에 대한 필요성과 유익한 점에 대해서 소개하고 권유하도록 하였다.
  • 본 사례연구는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인지, 연하 장애를 평가하고 재활치료인 작업치료를 실시하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을 입은 32세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2016년 9월 8일부터 12월 16일까지 약 4개월 간의 병원 입원기간 동안 인지 재활과 연하 재활 치료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 상으로 신체 기능 장애, 인지기능 장애, 연하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일반적인 재활치료 중 인지 재활과 연하 재활 치료의 적용에 따른 회복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자살시도로 인한 초기의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과 함께 지연성 신경학적 후유증의 기전인 명료 기간 후 의식 저하 기간, 다시 의식 회복되어 명료해지는 기간의 시간 변화에 따라 인지기능, 연하기능에 저하가 나타난 후 다시 향상되는 패턴으로 인지기능과 연하기능 평가 점수의 변화가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자살시도로 인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으로 진단받고 지연성 뇌손상 기전에 따라 신체·인지·연하 장애를 경험하는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과 동반된 지연성 신경 학적 후유증의 기전에 따른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실에서 시행하는 재활 치료인 인지 재활과 연하 재활 치료를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능이 호전되는 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기본적인 인지기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Folstein, Folstain과 McHugh(1975)가 제작한 것을 Kwon과 Park(1989)에 의해 한국판 번역 및 표준화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 평가를 위해 사용하였다. Modified Barthel Index(MBI)는 1965년 Barthel 등이 개발한 Barthel Index(Mahoney, 1965)의 개정판으로 일상 생활 동작을 10개의 세부 항목(개인위생, 목욕, 식사, 화장실 사용, 계단 이동, 옷 입기, 대·소변조절, 보행, 의자 이동 등)으로 도움의 정도에 따라 5단계로 점수화하여 총점이 100점인 검사도구이다(식사하 기는 10점 만점, 보행은 15점 만점).
  • 본 연구에서는 음식의 식이 단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본 평가도구는 미국언어청각협회(American Speech-Language-Hearing Association)에서 개발된 연하 척도로 7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튜브를 이용하는 비구강 영양을 시행하는 1단계부터 연하기능에 제한이 없어 정상 식이가 가능한 7단계로 나누어진다(Wesling et al.
  •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 하였다. 컴퓨터를 사용한 인지기능과 관련이 있는 기억력, 집중력, 어휘력, 시공간 구성능력 등을 평가 이다(Ha et al.
  •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연하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Han, Paik, Park과 Kwon (2008)에의해 개발된 비디오투시 영상(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연하기능을 평가하는 도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에서 바라보는 자살이란 무엇인가? 자살은 4대 사망의 원인으로, 전 인류의 정신건강을 위해 필히 해결해야할 과제로 규정하고 있다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전 세계적으로 매년 100만 여명이 자살로 인해 사망하고 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가 최근 발표한‘OECD Health Data 2017’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10만 명 당 자살자 수는 28.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해 뇌의 어느 부분에 가장 큰 손상이 일어나는가?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해 발생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은 자기 공명 T2 영상에서는 백질 변성(T2 weighted hyperintensities)이 흔하고, 대부분 기저핵(basal ganglia), 창백핵(globus pallidus)에서 이상 반응이 관찰된다(Hopkins & Bigler, 2012). 특히 뇌량(corpus callosum)과 뇌 혈류량 저하에 매우 민감한 부분으로 기억력에 중요한 해마(hippocampus) 에 가장 큰 손상이 발생한다(Pulsipher, Hopkins, & Weaver, 2006). 따라서 저산소성 허혈성 뇌손상 환자의 50%이상에서 인지기능 저하가 발생하며, 특히 기억장애가 가장 두드러지고, 주의 집중과 집행 기능의 저하가 발생한다(FitzGerald, Aditya, Prior, McNeill, & Pentland, 2010).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시도 시 어떤 환경변화가 일어나는가? 9%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번개탄을 이용한 자살시도는 번개탄 연소로 실내 산소 부족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불완전 연소가 되어 일산화탄소가 생성된다 (Zhang & Piantadosi, 1992). 생성된 일산화탄소는 인체의 헤모글로빈과 급격하게 결합하여 일산화탄 소헤모글로빈(HbCO)이 되어 인체 세포의 저산소증을 유발한다(Thom,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대한작업치료사협회. (2002). 작업치료정의. Retrieved from https://www.kaot.org/start.asp 

  2. 중앙자살예방센터. (2011). 자살률과 OECD 자살률 추이. Retrieved from http://www.spckorea.or.kr/index.php 

  3. 한국자살예방협회. (2012). 자살시도자 사후관리를 위한 매뉴얼. http://suicideprevention.or.kr/new2/contents/sub0604.php 

  4. Ahn, P. T. (2008).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Suicide Metho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5. Choi, S. (1983). Delayed neurologic sequelae in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Archives of neurology, 40(7), 433-435. 

  6. FitzGerald, A., Aditya, H., Prior, A., McNeill, E., & Pentland, B. (2010). Anoxic brain injury: Clinical patterns and functional outcomes. A study of 93 cases. Brain Injury, 24(11), 1311-1323. 

  7. Freed, M., Christian, M. O., Beytas, E. M., Tucker, H., & Kotton, B. (2001).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neck: a new effective treatment for dysphagia. Respiratory care, 46, 466-474. 

  8.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9. Gorman, D. F., Clayton, D., Gilligan, J. E., & Webb, R. K. (1992). A longitudinal study of 100 consecutive admissions for carbon monoxide poisoning to the Royal Adelaide Hospital.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20(3), 311-316. 

  10. Ha, K. S., Kwon, J. S., Lyoo, I. K., Kong, S. W., Lee, D. W., & Youn, T. (2002).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process, and factor analysis of the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system for Korea adult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3), 551-562. 

  11. Han, T. R., Paik, N. J., Park, J. W., & Kwon, B. S. (2008). The prediction of persistent dysphagia beyond six months after stroke. Dysphagia, 23(1), 59-64. 

  12. Henry, C. R., Satran, D., Lindgren, B., Adkinson, C., Nicholson, C. I., & Henry, T. D. (2006). Myocardial injury and long-term mortality following moderate to severe carbon monoxide poisoning. Jama, 295(4), 398-402. 

  13. Hopkins, R. O., & Bigler, E. D. (2012). Neuroimaging of anoxic injury: implications for neuro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31(3), 319-329. doi: http://dx.doi.org/10.3233/NRE-2012-0799 

  14. Jung, H. Y., Park, B. K., Shin, H. S., Kang, Y. K., Pyun, S. B., Paik, N. J., ... & Han, T. R. (2007).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multi-center study for subjec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1(3), 283-297. 

  15. Kang, Y., Na, D. L., & Hahn, S. (1997).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MMSE) in dementia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5(2), 300-308. 

  16. Kii, Y., & Mizuma, M. (2014). Rehabilitation approaches to dysphagia that was developed for a patient who attempted to commit suicide by hanging: a case report. European journal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50(2), 185-188. 

  17. Kim, C. K., & Yeo, I. S. (2009).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to de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revent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9), 111-124. 

  18. Kim, D. H., Choi, K. H., Kim, H. M., Koo, J. H., Kim, B. R., Kim, T. W., ... & Park, J. W. (2012). Inter-rater reliability of 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6(6), 791-796. 

  19. Kim, J. H., Chang, K. H., Song, I. C., Kim, K. H., Kwon, B. J., Kim, H. C., ... & Han, M. H. (2003). Delayed encephalopathy of acute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diffusivity of cerebral white matter lesions.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24(8), 1592-1597. 

  20. Kim, Y. G. (2011). The effects of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oTras) for the cognition and ADL in stro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3), 75-88. 

  21. Khot, S., & Tirschwell, D. L. (2006). Long-term neurological complications after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Seminars in neurology, 26(4), 422-431. 

  22. Kwon, Y. C., & Park, J. H.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Part I: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23. Lee, T., Lee, A. R., Ahn, M. H., Jeong, S. Y., & Hong, J. P. (2014). Overview of suicide by charcoal burning and prevention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3(1), 1-7. 

  24. Lee, J. S., Kang, D. H., & Park, S. H. (2016). Effects of a Small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Adolescents at Risk of Suicide: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39-52. 

  25. Leigh, J. H., & Oh, B. M. (2014). NeuroRehabilitation after Hypoxic-ischemic Encephalopathy. Brain & NeuroRehabilitation. 7(1), 16-20. 

  26. Lim, Y. G., Jeong, H. H., Park, E. J., Min, Y. G., & Choi, S. C. (2016). Characteristics of suicidal attempters with acute poisoning who discharged against psychiatric medical advice and emergency department admission as an acute inter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7(1), 75-81. 

  27. Mahoney, F. I.,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28. Middelkamp, W., Moulaert, V. R., Verbunt, J. A., van Heugten, C. M., Bakx, W. G., & Wade, D. T. (2007). Life after survival: long-term daily life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hypoxic brain injury as a result of a cardiac arrest. Clinical rehabilitation, 21(5), 425-431. 

  29. Moulaert, V. R., Verbunt, J. A., van Heugten, C. M., & Wade, D. T. (2009). Cognitive impairments in survivor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Resuscitation, 80(3), 297-305. doi: http://dx.doi.org/10.1016/j.resuscitation.2008.10.034 

  30. Moulaert, V. R., van Haastregt, J. C., Wade, D. T., van Heugten, C. M., & Verbunt, J. A. (2014). 'Stand still..., and move on', an early neurologically-focused follow-up for cardiac arrest survivors and their caregivers: a process evaluation.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4(1), 34. 

  31. Park, J. H., Kim H. B. (2017).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omprehensive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6(1), 55-69. 

  32. Parkinson, R. B., Hopkins, R. O., Cleavinger, H. B., Weaver, L. K., Victoroff, J., Foley, J. F., & Bigler, E. D. (2002).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and neuropsychological outcome following carbon monoxide poisoning. Neurology, 58(10), 1525-1532. doi: http://dx.doi.org/ 10.1212/WNL.58.10.1525 

  33. Pulsipher, D. T., Hopkins, R. O., & Weaver, L. K. (2006). Basal ganglia volumes following CO poisoning: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Undersea & Hyperbaric Medicine, 33(4), 245. 

  34. Sohn, Y. H., Jeong, Y., Kim, H. S., Im, J. H., & Kim, J. S. (2000). The brain lesion responsible for parkinsonism after carbon monoxide poisoning. Archives of Neurology, 57(8), 1214-1218. doi:10.1001/archneur.57.8.1214 

  35. Thom, S. R. (1992). Dehydrogenase conversion to oxidase and lipid peroxidation in brain after carbon monoxide poisoning.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3(4), 1584-1589. 

  36. Weaver, L. K., Hopkins, R. O., Churchill, S. K., & Deru, K. (2008). Neurological outcomes 6 years after acute carbon monoxide poisoning. Retrieved from http://dspace.rubicon-foundation.org/xmlui/handle/123456789/7823 

  37. Weaver, L. K. (2009). Carbon monoxide poisoning.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0(12), 1217-1225. 

  38. Wesling, M., Brady, S., Jensen, M., Nickell, M., Statkus, D., & Escobar, N. (2003). Dysphagia outcomes in patients with brain tumors undergoing inpatient rehabilitation. Dysphagia, 18(3), 203-210. 

  39.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2013). Suicide prevention. Retrieved from: http://www.who.int/mental_health/prevention/suicide/suicideprevent/en/. 

  40. Yun, S. H., Jung, H. M., Kang, H. S., Kim, J. H., Han, S. B., Kim, J. S., & Paik, J. H. (2013). A Case of Delayed Carbon Monoxide Encephalopat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11(1), 41-45. 

  41. Zhang, J., & Piantadosi, C. A. (1992). Mitochondrial oxidative stress after carbon monoxide hypoxia in the rat brain.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90(4), 1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