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손위생 지식, 인식 및 자가 보고 손위생 수행률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f Nurses' Hand Hygiene Knowledge, Perception and Hand Hygiene Performance Rate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1, 2018년, pp.101 - 109  

차경숙 (선문대학교) ,  고지운 (선문대학교) ,  한시현 (단국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감염관리팀) ,  정경희 (단국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감염관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knowledge, perception and hand hygiene performance rate of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any correlation between them. Method :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in Chungcheong-do. A self-report survey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지식, 인식 및 손위생 수행률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인식, 손위생 수행률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손위생 수행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손위생에 대한 인식과 근무기간이 손위생 수행률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따라서 손위생에 대한 지식 및 인식 정도와 손위생 수행률 간의 관계성을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적인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손위생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손위생에 대한 지식과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과 인식 정도의 차이와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효율적인 손위생 수행률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수립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손위생 수행률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때 어떤 간호사를 중점을 두어 교육해야 하는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손위생 수행률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손위생에 대한 인식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의 근무기간을 고려하여 임상경력이 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집중교육이 좀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직접관찰법으로 손위생 수행률을 확인하지 못하고 자가 보고형식으로 손위생 수행률을 측정하였다는 것이다.
손위생이란? 전체 의료관련감염의 약 20%는 다른 환자 혹은 의료인에 의한 외인성 감염이며(Haley, Quade, Freeman, & Bennett, 1980),이는 의료 환경을 철저히 관리하고 올바른 감염예방지침을 이행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Jeoung & Kim,2013). 특히 물과 비누로 손을 씻거나 물 없이 손 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을 문지르는 손위생은 손에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행위로 적절히 시행할 경우 의료관련 감염 예방의 기초가 된다(Lee & Shin, 2017; Pittet,2000; WHO, 2009a). 간호사의 경우 역할의 특성상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침습적인 처치를 하는 경우가 많아 간호사의 손위생은 의료관련감염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Jeoung & Kim, 2013).
손위생에 대한 기본 지식의 습득과 손위생의 중요성은? 특히 손위생에 대한 기본 지식의 습득과 손위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손위생 수행 증진을 통한 감염예방에 중요한 요소로 설명되고 있으며(Hwang & Park,2016; Lee & Kang, 2007; Pittet, 2000; Ryu, 2013),손위생 수행률과 손위생 관련 지식 및 인식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손위생 관련 지식을 향상시켜 손위생 수행률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워크숍, 강의, 캠페인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Kwe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M. (2002). Handwashing related factors of handwashing practice by nursing personal in crictical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 Allegranzi, B., & Pittet, D. (2009). Role of hand hygiene in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preven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73, 305-315. 

  3. Boyce, J. M., & Pittet, D. (2002).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 51. 1-45. 

  4. De Wandel, D., Maes, L., Labeau, S., Vereecken, C., & Blot, S. (2010). Behavioral determinants of hand hygiene compliance in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es, 19 (3), 230-239. 

  5. Erasmus, V., Daha, T. J., Brug, H., Richardus, J. H., Behrendt, M. D., Vos, M. C., & van Beeck, E. F. (2010).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guidelines in hospital care.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1(3), 283-294. 

  6. Gould, D. J., Drey, N. S., Moralejo, D. Grimshaw, J., & Chudleigh, J. (2008). Interventions to improve hand hygiene compliance in patient car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68, 193-202. 

  7. Haley, R. W., Quade, D., Freeman, H. E., & Bennett, J. V. (1980). The SENIC project study on the efficacy of nosocomial infection contorol (SENIC project): Summary of study desig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1 (5), 472-485. 

  8. Her, S., Kim, I. S., & Kim, K. H. (2008). Factors affecting on the level of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mong operating room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 (3), 375-385. 

  9. Hwang, E. S., & Park, J. H. (2016). The effect of a scenario based hand hygiene education program on hand hygiene knowledge, hand hygiene perception, hand hygiene compliance and hand hygiene method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 (2), 194-203. 

  10. Jang, J., Moore, C., Rotondo, J., & Green, K. (2010). Focus group study of hand hygiene practice among healthcare workers in a teaching hospital in Toronto, Canada.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31 (2), 144-150. 

  11. Jeoung, S. Y., & Kim, O. (2013). Knowledge and beliefs about hand hygiene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3), 198-207. 

  12. Kim, G. R. (2015). Effects of hand washing educa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1 (1), 1-23. 

  13. Kim, M. K. (2015).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care workers' hand hygiene compliance: Focusing on intention and identif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im, H., & Kim, N. (2017). A study of the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 (11), 457-471. 

  15. Kweon, O. M., Park, E., Lee, D., Lee, J. H., Ha, E, J., Yong, D.,...Lee, K. (2017). A three-year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hand-hygiene protocol implementation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17(2), 53-60. 

  16. Lee, M. H., & Kang, H. S. (2007). A comparative study on professional-specific handwashing practices of ICU health care provi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3), 297-305. 

  17. Lee, S. S., Park, S. J., Chung, M. J., Lee, J. H., Kang, H. J., Lee, J., & Kim, Y. K. (2014). Improved hand hygiene compliance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perception toward hand hygiene among medical personnel. Infection & Chemotherapy, 46 (3), 165-171. 

  18. Lee, M. R., So, H. Y., & Cho, M. K. (2005). Determinants of nurses handwashing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7(2), 268-275. 

  19. Lee, Y., & Shin, H. (2017). A feasibility study of hand hygiene status in Korea hospital.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23 (3), 9-17. 

  20. Moret, L., Tequi, B., & Lombrail, P. (2004). Should self-assessment methods be used to measure compliance with handwashing recommendations? A study carried out in a French university hospital.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2 (7), 384-390. 

  21. Pittet, D. (2000). Improving compliance with hand hygiene in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Hospital Epidemiology, 58 (1), 1-13. 

  22. Ryu, S. M. (2013).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on the hand washing of health care rela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8), 3916-3924. 

  23. Sax, H., Uckay, I., Richer, H., Allegranzi, B., & Pittet, D. (2007). Determinants of good adherence to hand hygiene among healthcare workers who have extensive exposure to hand hygiene campaigns. Infections Control Hospital Epidemiology, 28 (11), 1267-1274. 

  24. Song, J. Y., & Jung, I. S. (2015). The hawthorne effect on the adherence to hand hygien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 (1), 7-13. 

  25. Yang, N. Y., & Choi, J. S. (2009). Influenza A (H1N1) regional hospital nurse's knowledge,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1(6), 593-602.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a). A guid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WHO multimodal hand hygiene improvement strategy. Retrieved from http://www.who.int/gpsc/5may/Guide_to_Implementation.pdf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b). Hand hygiene knowledge questionnaire for health-care workers. Retrieved from http://www.who.int/infection-prevention/tools/hand-hygiene/evaluation_feedback/en/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c). Hand hygiene perception survey for health-care workers. Retrieved from http://www.who.int/infection-prevention/tools/hand-hygiene /evaluation_feedback/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