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 변화와 관련요인

Changes i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of Surgical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370 - 379  

최향숙 (충북보건과학대학교 보건행정과) ,  강영미 (충남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질환특성화연구센터) ,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전광역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 이비인후과에서 2013년 7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갑상선암 진단을 받고 갑상선절제수술을 받은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변수를 산출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수술 전과 후 1개월까지의 삶의 질 변화에서는 성별, 암 병력, 피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수술 후 3개월까지의 삶의 질 변화에서는 병기, 암 병력, 불안, 통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회귀분석 결과 조사시기별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술 전과 후 1개월에서는 우울과 피로였으며, 수술 후 3개월에서는 불안이었고, 수술 후 6개월에서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수술 전과 후 1개월 시기에 우울과 피로 증상을 관리하여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수술 후 3개월에서는 불안 증상을 관리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건강관리 시스템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공중보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other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of thyroid cancer surgical patients and 2)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and symptom management program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ose patients. A t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갑상선암 환자의 조사시기별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살펴보고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위한 증상관리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 진단을 받고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환자가 수술전후로 삶의 질이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진료 받은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3년 7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조사하였으며, 갑상선절제술을 받기 위해 입원한 날 1차 조사를 하였으며, 수술이후 약 1, 3, 6개월 시기에 각각 2차, 3차, 4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를 살펴보고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위한 증상관리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치료기간에 따른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상관리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과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갑상선암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동안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있었지만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국가 암 관리의 기초자료로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여 이들의 삶의 질 향상, 증상관리 및 암관리 정책에 도움을 주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의 치료기간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치료기간에 따른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상관리 개입 필요성과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별에 따른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 변화는? 수술 전과 후 1개월까지의 삶의 질 변화에서는 성별, 암 병력, 피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는데 Taieb[17]의 연구에서 성별, 피로가 유의한 변화가 있다는 연구결과와 같았다.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삶의 질 변화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술 전 남자의 삶의 질 점수가 여자보다 높았기 때문에 변화도 더 큰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 이후 삶의 질 변화는 점차로 감소하였지만 여성보다 남성의 삶의 질이 더 천천히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은? 불안은 우울과 공존하는 증상[9]으로 불특정적이며, 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위협에 대한 긴장, 우려, 두려움 등의 정서적 반응으로 여러 가지 유형의 두려운 행동과 감정이 혼합되어 있으며, 암 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불안과 우울정도가 2배 가까이 높고[10], 수술직후에 매우 높다고[11] 알려져 있다. 따라서 수술 이후 높은 불안감과 환자의 일상생활에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영향으로 인해 불안에 대한 조사 또한 필요하다.
암 환자 관리에서 중요한 목표는? 암 환자 관리에서 중요한 목표는 암 환자들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최근에는 암 질환의 치료방법을 선택하거나 중단을 결정할 때 암 환자가 경험하는 삶의 질을 주요 지표로 활용하기도 하며, 암치료 경과 및 치료성과 측정치로서 삶의 질을 함께 평가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T. Wang, M. Jiang, Y. Ren, Q. Liu, G. Zhao, C. Cao, H. Wa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thyroid cancer survivors in Hangzhou, China", Thyroid, Vol. 28, No. 8, pp. 1013-1023, 2018. DOI: https://doi.org/10.1089/thy.2017.0213 

  2. H. Duan, E. Gamper, A. Becherer, M. Hoffmann, "Quality of life aspects in the management of thyroid cancer", Oral Oncol, Vol. 51, No. 6, pp. S1-S5, 2015. DOI: https://doi.org/10.1016/j.oraloncology.2015.03.008 

  3. MK. Applewhite, BC. James, SP. Kaplan, P. Angelos, EL. Kaplan, RH. Grogan, B. Aschebrook-kilfoy,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is Similar to That of Other Cancers with Worse Survival", World J Surg, Vol. 40, No. 3, pp. 551-561, 2016. DOI: https://doi.org/10.1007/s00268-015-3300-5 

  4. RH. Grogan, B. Aschebrook-Kilfoy, "Angelos. Interventions to improve thyroid cancer survivors' quality of life", Future Oncol, Vol. 12, No. 11, pp. 1309-1311, 2016. DOI: https://doi.org/10.2217/fon-2016-0052 

  5. HJ. Abrahams, MF. Fielissen, IC. Schmits, CA. Verhagen, MM. Rovers, H. Knoop, "Risk factors, prevalence, and course of severe fatigue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a meta-analysis involving 12327 breast cancer survivors", Ann Oncol, Vol. 27, No. 6, pp. 965-974, 2016. DOI: https://doi.org/10.1093/annonc/mdw099 

  6. JE. Bower, "Treating cancer-related fatigue: the search for interventions that target those most in need". J Clin Oncol, Vol. 30, No. 36, pp. 4449-4450, 2012. DOI: https://doi.org/10.1200/JCO.2012.46.0436 

  7. JA. Scott, KE. Lasch, AM. Barsevick, E. Piault-Louis, "Patients' experiences with cancer-related fatigue: a review and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Oncol Nurs Forum, Vol. 38, No. 3, pp. 191-203, 2011. DOI: https://doi.org/10.1188/11.ONF.E191-E203 

  8. S. Tagay, S. Herpertz, M. Langkafel, Y. Erim, L. Freudenberg, N. Schopp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xiety and depression in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 short-term hypothyroidism and TSH-suppressive levothyroxine treatment", Eur Journal of Endocrinol, Vol. 153, No. 6, pp. 755-763, 2005. DOI: https://doi.org/10.1530/eje.1.02047 

  9. TJ. Craig, PA. VanNatta, "Current medication use and symptom of depression in a general population", Am Journal of Psychiatry, Vol. 135, pp. 1036-1039, 1978. DOI: https://doi.org/10.1176/ajp.135.9.1036 

  10. A. Hinz, O. Krauss, JP. Hauss, M. Hockel, RD. Kortmann, JU. Stolzenburg,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Eur Journal of Cancer Care(Engl), Vol. 19, No. 4, pp. 522-529, 2010. DOI: https://doi.org/10.1111/j.1365-2354.2009.01088 

  11. J. I. Lee, S. H. Kim, A. H. Tan, H. K. Kim, H. W. Jang, K. Y. Hur, "Decreas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ease-free survivor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n Korea" Health Qual Life Outcomes, Vol. 8, pp. 101, 2010. DOI: https://doi.org/10.1186/1477-7525-8-101 

  12. N. Dieudonne, A. Gomola, P. Bonnichon, YM. Ozier, "Prevention of postoperative pain after thyroid surgery: A double-blind randomized study of bilateral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s", Anesth Analg, Vol. 92, No. 6, pp. 1538-1542, 2001. DOI: https://doi.org/10.1097/00000539-200106000-00038 

  13. L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Vol. 1, pp. 385-401, 1977. DOI: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14. D. Cella, D. Tulsky, G. Gray, B. Sarafian, E. Linn, A. Bonomi,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 Oncol, Vol. 11, pp. 570-579, 1993. DOI: https://doi.org/10.1200/JCO.1993.11.3.570 

  15. J. Y. Kim, D. K. Shin,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Vol. 21, No. 11, pp. 69-75, 1978. 

  16. D. Cella, D. Tulsky, G. Gray, B. Sarafian, E. Linn, A. Bonomi,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 Oncol, Vol. 11, pp. 570-579, 1993. DOI: https://doi.org/10.1200/JCO.1993.11.3.570 

  17. D. Taieb, F. Sebag, M. Cherenko, K. Baumstarck-Barrau, C. Fortanier, B. Farman-Ara, "Quality of life changes and clinical out-comes in thyroid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oiodine remnant ablation(RRA) with recombinant human TSH (rhTSH):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Clin Endocrinol(Oxf), Vol. 71, No. 1, pp. 115-123, 2009. DOI: https://doi.org/10.1111/j.1365-2265.2008.03424.x 

  18. J. H. Jin,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thyroidectom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5. 

  19. PN. Schultz, C. Stava, R. Vassiloppoulou-Sellin, "Health profiles and quality of life of 518 survivors of thyroid cancer", Head Neck, Vol. 25, No. 5, pp. 349-356, 2003. DOI: https://doi.org/10.1002/hed.10217 

  20. J. S. Jeong, I. S. Kim, E. S. Le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patients after thyroidectom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442-5451, 2015.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5.16.8.5442 

  21. J. Y. Yang, M. S. Yi,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Thyroidectomy", Asian Oncology Nursing, Vol. 15, No. 2, pp. 59-66, 2015. DOI: http://dx.doi.org/10.5388/aon.2015.15.2.59 

  22. J. Easley, B. Miedema, L. Robinson, "It's the "Good" Cancer, So Who Cares? Perceived Lack of Support Among Young Thyroid Cancer Survivors", Oncol Nurs Forum, Vol. 40, No. 6, pp. 596-600, 2013. DOI: https://doi.org/10.1188/13.ONF.596-600 

  23. S. H. Yoo, K. S. Choi, "Changes i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Radioactive Iodine Remnant Ablation", Journal of Korean Acad Nurs, Vol. 43, No. 6, pp. 801-811,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801 

  24. JD. Harrison, JM. Young, MA. Price, PN. Butow, MJ. Solomon, "What are the unmet supportive care needs of people with cancer? A systematic review", Support Care Cancer, Vol. 17, pp. 1117-1128, 2009. 

  25. J. Angst, A. Gamma, W. Rossler, V. Ajdacic, DN. Klein, "Long-term depression versus episodic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the prospective Zurich study of a community sample", Journal of Affect Disord, Vol. 115, pp. 112-121, 2009. DOI: https://doi.org/10.1016/j.jad.2008.09.023 

  26. PB. Jacobsen, HS. Jim,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anxiety and depression in adult cancer patient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Journal of Clin Oncol, Vol. 58, pp. 214-230, 2008. DOI: https://doi.org/10.3322/CA.2008.0003 

  27. EM. Richardson, JL. Scott, N. Schuz, K. Sanderson, B. Schuz, "Qualitatively Comparing the Support Needs of People with Cancer Based on Their History of Anxiety/Depression", Onco Targets Ther, Vol. 5, No. 1, pp. 41-51, 2017. DOI: https://doi.org/10.2337/dc07-S096 

  28. J. E. Kim, Impact of fatigue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after total thyroidectomy: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