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ss Coping Ability and Recovery Resilience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in Medium-Sized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1, 2018년, pp.662 - 671  

배은주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  김가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회복탄력성과 재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G지역과 I시에 위치한 150병상 이상의 5개 중소병원 간호사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8년 5월 19일부터 5월 25일까지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3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은 4점 만점에 $2.55{\pm}0.25$점, 회복탄력성과 재직의도는 5점 만점에 각각 $3.47{\pm}0.49$, $2.59{\pm}0.29$점이었다. 또한 재직의도는 스트레스 대처능력(r=.285, p<.01)과 회복탄력성(r=.457, p<.01)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beta}=.117$, p=.027), 간호직 만족도(${\beta}=.345$, p<.001), 스트레스 대처능력(${\beta}=.142$, p=.008), 회복탄력성(${\beta}=.238$, p<.001)이었으며,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7.8%였다(F=11.686, p<.001).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호만족도,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소병원 내 간호만족도와 유대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 개인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간호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ress coping ability and recovery resilience on nurses' retention intent in medium-sized hospitals. For this descriptiv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5 nurses from 5 medium-sized hospitals with over 150 sickbeds located in G and I provin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 및 재직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구조적이고 조직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 향상을 통한 개인적인 차원에서 방안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회복탄력성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재직의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재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소병원에서의 이직의 사유는 무엇이 나타나는가? 6%로 가장 높았으며, 업무 부적응, 결혼, 출산 및 육아, 개인사정, 질병, 신체적 이유, 진학 및 유학, 불규칙한 근무시간 및 밤 근무, 타 직종으로 전환, 직장 내 인간관계의 어려움 등이었다[2].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서, 간호업무환경, 높은 노동 강도, 낮은 임금, 낮은 조직몰입, 스트레스 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5-8]. 간호사의 이직은 재직하고 있는 간호사의 업무량을 증가시키고 신규 간호사의 상대적 비율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간호업무의 질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9], 환자안전을 위협하고 재원기간과 사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10-11].
중소병원 간호사 이직률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환자에게 안전하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적정수준의 간호인력 확보는 매우 중요하지만, 중소병원은 간호사의 높은 이직으로 인해 간호인력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병원 간호사 이직률은 24.6%로 간호사 평균 이직률(12.4%)과 1,000병상 이상 의료기관 간호사 이직률(7.8%)보다 높았고[2], 6개월 이내 이직의도도 대형병원 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또한 간호 인력난은 규모가 작고 지방으로 갈수록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4].
간호사에게 새로운 스트레스 원인으로는 무엇이 제시되는가?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환자의 생명과 죽음의 과정에서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면서 많은 직업적인 스트레스에 노출된다. 뿐만 아니라 교대근무, 결혼 후의 양육문제, 강도 높은 업무, 간호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부족,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를 요구하는 사회분위기는 간호사에게 새로운 스트레스 원인을 작용하며[14], 개인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조직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15]. 특히, 간호사는 매사에 집중하고 기억해야 하는 직업적 업무 특성과 교대근무 때문에 피로도가 높으며, 피로도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다는 보고가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Korean Hospital Association, List of hospitals, [Internet] Korean Hospital Association, 2017, Available from: http://www.hospitalmaps.or.kr/ 

  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tudy the real state of the hospital nurses arrangement situation, [Internet]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6, Available from: http://khna.or.kr/ 

  3. S. K. Park, Y. G. Jwa, D. U. Kang, Y. J. Lee, Survey on current status of nurse activitie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4. Y. T. Lee, J. D. Kim, Y. H. Lee, D. U. Kang, J. A. Park, Survey on nursing manpower supply and demand and nursing management charge differential system,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8. 

  5. K. N. Kang,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2), 155-165, 2012. DOI: https://dx.doi.org/10.11111/jkana.2012.18.2.155 

  6. G. S. Ka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medical practitioners: Focusing on the nurse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0(.2), 203-223, 2016. 

  7. M. S. An, Y. J. Yi, The predictive factors on leave planning of nurses working at medium-sized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1), 323-334, 2013. 

  8. J. S. Park, J. E. Kim, Y. T. Lee, J. W. Hwang, Y. G. Yoon, H. J. KIM, Management support and policy development project for medium-sized hospital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9. S. Y. Cho, M. H. Sung,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9(4), 503-510, 2012.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2.19.4.503 

  10. P. I. Buerhaus, K. Donelan, B. T. Ulrich, L. Norman, C. DesRoches, R. Dittus, Impact of the nurse shortage on hospital patient care: Comparative perspectives, Health Affairs, 26(3), 853-862, 2007. DOI: https://doi.org/10.1377/hlthaff.26.3.853 

  11. A. E. Tourangeau, D. M. Doran, L. M. Hall, L. O. Pallas, D. Pringle, J. V. Tu, L. A. Cranley, Impact of hospital nursing care on 30 day mortality for acute medical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1), 33-44, 2007.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4084.x 

  12. S. J. Han, M. S. Kwon, O. S. Yoon, M. Y. Moo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public health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2), 314-327, 2012.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314 

  13. E. Strachota, P. Normandin, N. O'Brien, M. Clary, B. Krukow, Reasons registered nurses leave or change employment statu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3(2), 111-117, 2003. DOI: https://dx.doi.org/10.1097/00005110-200302000-00008 

  14. Y. K. Ko, The level of stress of dimensional job stress of hospital nursing staff,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7(3), 227-236, 2009. 

  15. E. Spratley, A. Johnson, J. Sochalski, M. Fritz, W. Spencer, The registered nurse population: Findings from the national sample survey of registered nurse,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ealth Resources and Service Administration, Bureau of Health Professions, Division of Nursing, 2003. 

  16. K. H. Lee, J. Y. Kim, Effect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74-82, 2011. DOI: https://dx.doi.org/10.5807/kjohn.2011.20.1.074 

  17. A. K. Han, O. S. Kim, J. S. Won, A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25-136, 2007. 

  18. T. K. Kim, The effect of job stress for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Chungju National University, 2011. 

  19. M. Mealer, J. Jones, M. Moss, A qualitative study of resil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united states ICU nurses, Intensive Care Med, 38(9), 1445-1451, 2012. DOI: https://doi.org/10.1007/s00134-012-2600-6 

  20. M. K. Kim, Influence of stress coping ability,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21. Y. A. Cho, G. S. Kim, E. S. Kim, H. M. Park, M. Yoo, E. O. Lim, S. G. Hyun, J. Y. Kim, A correlational study on ICU nurses's job stress, the way of coping, and the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129-141, 2009. 

  22. M. M. Park, J. W. Park, Development of resilience scale for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1), 32-41, 2015.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6.23.1.32 

  23. F. Cameron, S. Brownie, Enhancing resilience in registered aged care nurse, Australasian Journal on Ageing, 29(2), 66-71, 2010. DOI: https://doi.org/10.1111/j.1741-6612.2009.00416.x 

  24. K. Ryu, J. K. Kim,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resilience, stress, burnou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hospital nurs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7), 439-450, 2016. DOI: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439 

  25. B. N. Kim, H. S. Oh, Y. S. Park,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2011.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1.20.1.014 

  26. S. Y. Choi, Effects of job embeddednes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intent to stay in clinical nurses, Dongguk University, 2017. 

  27. R. S. Lazarus, S. Folkman,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1984. 

  28. J. S. Han, G. S. Oh, Stressful life events, health symptoms, social support and coping in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3), 414-429, 1990. 

  29. E. H. Lee, K. S. Cho, H. M. Son, A study of hospital nurse's intention to keep nursing job,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 15-27, 2014. DOI: https://dx.doi.org/10.22650/JKCNR.2014.20.1.15 

  30. J. Y. Jeoung, C. G. Kim, Impa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type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early stage of their careers : Focusing on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7(1), 36-47, 2018.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8.27.1.36 

  31. Y. Lee, The work stress and coping type of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i Society, 17(11), 230-235, 2016.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6.17.11.230 

  32. E. H. Koo, Resili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nurses, Ajou University, 2017. 

  33. S. J. Kim, The impa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or emergency room nurses, Eulji University, 2016. 

  34. S. H. Jang, Comparison study on the work stress and the coping method of social workers at the senior care facilities and hospice nurses, Keimyung University, 2006. 

  35. I. H. Moon, S. K. Park, M. J. Jung, Effects of resilience on work engagement and burnout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9(4), 525-535,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525 

  36. G. H. Kim,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stay in hospital nurs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37. S. O. Choi, J. Y. Kim,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nurs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142-152, 2013. DOI: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42 

  38. H. S.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hift work to stress in nurses, Chuncheon University, 2008. 

  39. B. H. Lee, Comparison of job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nurses, Ulsan University, 2014. 

  40. S. H. Chen, C. M. Fu, R. H. Li, J. H. Lou, H. Yu,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professional empowerment, and nursing career development of male nurses: A cross-sectional 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4(7), 862-882, 2012. DOI: https://doi.org/10.1177/0193945910384603 

  41. C. I. Yang, M. L. Gau, S. J. Shiau, W. H. Hu, F. J. Shih, Professional career development for male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6), 642-650, 2004.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3252.x 

  42. H. M. Son, Affecting factors of new nurse's intention to retention in hospital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4(3), 205-216, 2012. DOI: https://doi.org/10.14774/JKIID.2015.24.3.205 

  43. J. M. Lee, Comparative study about the clinical nurse'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nursing care system ward, a general ward, Journal of Social Science, 33(1), 1-48, 2016. 

  44. S. L. Kim,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silience on intention to remai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2008. 

  45. J. H. Kim,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job stress of nurse practitioner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6. 

  46. A. S. Lee, C. K. Yoon, J. K. Park,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3), 283-289, 2012.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2.21.3.283 

  47. J. H. Park, H. Y. Hwang, Predictors of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23(5), 471-482, 2017.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7.23.5.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