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 침출주의 제조와 숙성 중 아미그달린(amygdalin) 함량과 특성 변화
Changes in amygdalin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6, 2018년, pp.697 - 700  

조정원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김병용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정진부 (국립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김현석 (경기대학교 융합과학대학 바이오융합학부 식품생물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을 담금 소주에 침출하는 동안과 3개월 침출이 완료된 후 숙성하는 동안 매실 침출주 내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추적하였다. 침출 1개월 차에 아미그달린은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침출기간 2개월까지 변화가 없었으나, 침출 3개월 차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침출이 완료된 후 매실 침출주는 매실을 포함시켜 숙성하거나, 매실을 회수하여 씨를 제거한 후 다시 매실 침출주에 포함시켜 숙성하거나, 매실을 제거한 후 매실 침출주 만을 숙성하였을 때, 매실과 매실과육을 포함시켜 숙성하는 것이 매실을 제거하여 숙성하는 것보다 아미그달린이 빠르게 감소하였다. 또한 매실보다는 매실과육만을 포함시켜 숙성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었다. 매실 침출주들의 숙성 중 품질인자들의 변화와 관련하여, 알코올 함량은 매실과 매실과육을 포함하여 숙성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매실을 제거한 경우에는 숙성 초기에 비해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H와 적정산도는 숙성기간에 따른 현저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색은 숙성기간이 연장되면서 어두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매실 침출주를 오랜 기간 동안 숙성할수록 아미그달린과 관련된 독성 안전성에 대한 이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며, 매실 침출주를 숙성 시 매실이나 매실과육과 함께 숙성하는 것이 아미그달린의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amygdalin of maesil liqueurs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and their qualities during ripening. Maesil was leached at $24^{\circ}C$ for 3 months in a commercial soju (30% alcohol). During leaching, amygdalin contents dramatically increased by 1 month, r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준비된 청매실은 담금 소주와 1:1의 중량비율로 살균된 담금통(20L)에 넣어 상온 (~25oC)에서 3개월 동안 침출시켰다. 3개월 후 매실을 제거하지 않은(ML1), 매실로부터 씨를 제거한 후 매실과육을 재투입한 (ML2), 매실을 제거한(ML3) 매실 침출주들을 상온(~25oC)에서 3 개월 동안 숙성하였다. 매실 침출주는 침출부터 숙성까지 1개월 간격으로 취하여 −20oC에서 저장하면서 분석에 활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매실의 알코올 침출 중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침출이 완료된 매실주에 매실(과육과 씨)과 매실과육을 포함시키거나 매실을 제거한 후 숙성 중 아미그달린 함량의 변화와 이들 매실주의 품질요인들을 비교분석하였다.
  • 매실 침출주는 액체 시료용 큐벳(cuvette)에 넣고 색차계(JC801, Color Techno Syste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매실 와인의 색 특성을 Hunter의 색 체계에 따라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b, yellowness)를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색차계의 표준백판은 L=98.
  • 매실 침출주는 처리조건에 따라 각각 3회 반복하여 제조하였으며, 처리조건별 반복하여 제조된 각각의 시료들의 아미그달린 함량과 특성들은 3회 반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들은 일 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후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 매실 침출주는 침출부터 숙성까지 1개월 간격으로 취하여 −20oC에서 저장하면서 분석에 활용하였다.
  • 매실 침출주의 아미그달린 함량은 UV/Vis 검출기가 장착된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Shimadzu prominence, Shimadzu, Kyoto,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매실 침출주의 침출부터 저장까지 1개월 간격으로 채취한 시료액을 PTFE syringe filter (0.
  • 매실을 담금 소주에 침출하는 동안과 3개월 침출이 완료된 후 숙성하는 동안 매실 침출주 내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추적하였다. 침출 1개월 차에 아미그달린은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침출기간 2개월까지 변화가 없었으나, 침출 3개월 차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 매실을 담금주에서 3개월간 침출하여 제조된 매실 침출주를 매실을 포함시켜(ML1), 매실을 회수하여 씨를 제거하고 다시 매실 침출주에 포함시켜(ML2), 매실을 완전히 분리하여(ML3) 숙성하면서 매실 침출주의 아미그달린 함량을 조사하였다(Fig. 1B). 매실 침출주의 아미그달린 함량은 숙성기간이 0개월에서 3개월로 증가하면서 ML1은 413.

대상 데이터

  • 2017년 6월 초순경에 수확한 청매실을 슬로푸드 (주)농업회사 법인(Hadong, Gyeongsangnam, Korea)으로부터 공급받아 매실 침출주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담금 소주(30%)는 롯데칠성음료(Seoul, Korea)의 시판 제품을 시중에서 구입하였다.
  • 2017년 6월 초순경에 수확한 청매실을 슬로푸드 (주)농업회사 법인(Hadong, Gyeongsangnam, Korea)으로부터 공급받아 매실 침출주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담금 소주(30%)는 롯데칠성음료(Seoul, Korea)의 시판 제품을 시중에서 구입하였다. 아미그달린(amygdalin, ≥99%, from apricot kernels)과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99.
  • 아미그달린(amygdalin, ≥99%, from apricot kernels)과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99.9%, HPLC grade)은 각각 Sigma-Aldrich, Inc. (St. Louis, MO, USA) 와 J.T. Baker Chemical Co. (Phillipsburg, NJ, USA)에서 구입하였다.
  • , Seoul, Korea) 에 주입하여 25oC에서 이동상을 1 mL/min의 속도로 흘려주면서 215 nm에서 아미그달린을 분리하였다. 이동상은 탈이온수와 아세토나이트릴을 부피비로 80:20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아미그달린 함량은 아미그달린의 농도(10-500 ppm)에 따른 해당 농도의 피크면적의 선형회기식(피크면적=15,741×아미그달린 농도+25,044, r2=0.

데이터처리

  • 분석된 결과들은 일 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후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매실 침출주 특성들의 평균값들에 있어 처리군들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신뢰수준 95%에서 던컨의 다중범위 검정에 의해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계산과 분석 은 SPSS Statistics 23 (IBM Corp.
  • 분석된 결과들은 일 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한 후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 아미그달린 함량은 아미그달린의 농도(10-500 ppm)에 따른 해당 농도의 피크면적의 선형회기식(피크면적=15,741×아미그달린 농도+25,044, r2=0.9999)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론/모형

  • 매실 침출주는 청매실을 수확 후 3일내에 슬로푸드 (주)농업회 사법인의 제조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청매실의 꼭지를 제거한 후 세척하고 페이퍼타올로 표면수분을 제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실의 효능은?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광양, 순천과 하동 등의 남부지방에서 국내 매실 생산량의 약 6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Kim 등, 2002). 매실은 유기산, 당분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항산화, 항암성, 항혈전, 간기능 개선 효능과 피로회복, 노화예방, 변비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 등, 1999; Kang 등, 1999; Park 등, 2007; Shim 등, 1989). 이와 같은 생리적 기능성을 보이는 매실은 수확기간이 짧고 수확 후 3~5일 내에 황색으로 변하며 조직이 연화되어 (Cha 등, 1999) 생과로 섭취가 적절치 않아 국내 생산량의 전체가 매실청, 매실주, 매실장아찌 등의 매실 가공제품의 원료로 예로부터 활용되어 오고 있다(Kang 등, 1999).
매실을 가공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이유는? 매실은 유기산, 당분과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항산화, 항암성, 항혈전, 간기능 개선 효능과 피로회복, 노화예방, 변비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a 등, 1999; Kang 등, 1999; Park 등, 2007; Shim 등, 1989). 이와 같은 생리적 기능성을 보이는 매실은 수확기간이 짧고 수확 후 3~5일 내에 황색으로 변하며 조직이 연화되어 (Cha 등, 1999) 생과로 섭취가 적절치 않아 국내 생산량의 전체가 매실청, 매실주, 매실장아찌 등의 매실 가공제품의 원료로 예로부터 활용되어 오고 있다(Kang 등, 1999).
매실 속 시안배당체인 아미그달린이 시안화수소산을 생성하는 과정은? 매실은 시안배당체인 아미그달린(amygdalin)을 씨에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wang 등, 2009; Kim 등, 2002; Kim 등, 2010). 아미그달린은 베타글루코사이드 가수분해효소(β- glucosidase)에 의해 프루나신(prunasin)과 만델로나이트릴(mandelonitrile) 으로 가수분해되고 계속해서 포도당, 벤즈알데하이드 (benzaldehyde)와 시안화수소산(HCN)을 생성한다(Kim 등, 2010). 이 때 생성된 시안화수소산은 세포의 ATP 생성과 산소이용을 저해하며, 독성이 강하여 급성 중독과 Konzo (중추신경학적 장애)와 같은 만성 질환을 유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Francisco와 Pinotti, 2000; Kim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SJ, Choi HW, Kim SY, Kim BY, Kim HS. Amygdalin contents of maesil and maesil-based products (abstract no. P-65). In: Abstracts: 2017 Fall Conference and Symposium of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November 2, Lakai Sandfine Resort Convention Center, Gangneung, Korea.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Anseong, Korea (2017) 

  2.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Jo JS.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1999) 

  3. Chae MH, Park LY, Lee SH. Effect of temperature on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5: 311-316 (2008) 

  4. Francisco IA, Pinotti MHP. Cyanogenic glycosides in plants. Braz. Arch. Biol. Techn. 43: 487-492 (2000) 

  5. Hwang LH, Kim AK, Park KA, Kim JY, Hwang IS, Chae YZ. The effect of raw material, alcohol content, and trans-resveratrol on the formation of ethyl carbamate in plum wine. J. Fd. Hyg. Safety 24: 194-199 (2009) 

  6. Kang MY, Jeong YH, Eun JB.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34-1439 (1999) 

  7. Kim YD, Kang SK, Hyun KH. Contents of cyanogenic glucosides in processed foods and during ripening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Korean J. Food Preserv. 9: 42-45 (2002) 

  8. Kim EJ, Lee HJ, Jang JW, Kim IY, Kim DH, Kim HA, Lee SM, Jang HW, Kim SY, Jang YM, Im DK, Lee SH. Analytical determination of cyanide in maesil (Prunus mum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30-135 (2010) 

  9. Kim JY, Yi YH.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Technol. 42: 727-732 (2010) 

  10. Lee SH, Park LY, Chae MH. Effect of alcohol concentration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4: 552-556 (2007) 

  11. Park LY, Chae MH, Lee SH. Effect of ratio of maesil (Prunus mume) and alcohol on quality chages of measil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Korean J. Food Preserv. 14: 645-649 (2007) 

  12.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18: 101-108 (1989) 

  13. Son SJ, Jeong YJ, Kim SY, Choi JH, Kim NY, Lee HS, Bae JM, Kim SI, Lee HS, Shin JS, Han JS. Analysis of amygdalin of content Prunus mume by variety, harvest time, and fermentation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6: 721-72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