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붉은곰팡이 감염 벼와 건전 벼의 독성 곰팡이와 제랄레논 발생
Occurrence of Toxigenic Fusarium spp. and Zearalenone in Scabby Rice Grains and Healthy One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4 no.4, 2018년, pp.308 - 312  

장자영 (국립농업과학원유해생물팀) ,  김소수 (국립농업과학원유해생물팀) ,  진현숙 (국립농업과학원유해생물팀) ,  백슬기 (국립농업과학원유해생물팀) ,  오수진 (거창군농업기술센터항노화산업과) ,  김규태 (거창군농업기술센터항노화산업과) ,  김점순 (국립농업과학원유해생물팀) ,  이데레사 (국립농업과학원유해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산 붉은곰팡이 감염 벼시료의 곰팡이 발생을 분석한 결과 Fusarium 속의 발생빈도가 가장 높았다. Fusarium 속 중에서는 Fusarium asiaticum-니발레놀 형이 79%로 우점하였다. 곰팡이독소 중에서는 제랄레논이 1117 ng/g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데옥시니발레놀(163 ng/g), 15-아세틸 데옥시니발레놀(155 ng/g), 니발레놀(110 ng/g)의 순으로 높았다. 2015년산 벼시료를 붉은곰팡이 감염벼와 건전벼로 구분한 후 곰팡이독소 수준을 분석한 결과 두 시료는 모두 제랄레논으로 오염되었다. 그러나 이들 시료 간 제랄레논의 수준차이는 5배 이상이었으며 감염벼는 1400-2370 ng/g, 건전벼는 240-430 ng/g이었다. 이 결과는 벼의 제랄레논 독소 저감화를 위해 벼 수확 시 붉은곰팡이 감염종자의 제거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d rice sample with scab (collected in 2017) for fungal occurrence and found that frequency of Fusarium spp. was the highest among fungal genera. Within Fusarium, Fusarium asiaticum-nivalenol type dominated as 79%. Among mycotoxins, zearalenone was the highest toxin detected (1117 ng/g), f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곡류 중에는 보리와 밀 뿐 아니라 벼와 옥수수에도 발생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다(Chung, 1975; Lee 등, 1986; Lee 등, 2010a; Park 등, 1992). 이 연구에서는 붉은곰팡이에 감염된 벼 시료에서 병원균을 분리, 동정하고 시료의 곰팡이독소 오염수준을 분석하는 한편, 시료 중 육안상 감염 낟알과 건전한 낟알을 구분하여 감염정도, 곰팡이 발생과 곰팡이독소 오염수준의 연관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붉은곰팡이병이란? 붉은곰팡이병(Fusarium head blight)은 곡류에 발생하는 주요 곰팡이 병의 하나로 개화기에 잦은 강우 등 습한 환경이 지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이 병은 작물에 병해를 일으켜 수량감소와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곰팡이독소를 분비하여 감염된 종자를 섭취하는 인축에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붉은곰팡이병의 피해는? 붉은곰팡이병(Fusarium head blight)은 곡류에 발생하는 주요 곰팡이 병의 하나로 개화기에 잦은 강우 등 습한 환경이 지속될 때 많이 발생한다. 이 병은 작물에 병해를 일으켜 수량감소와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곰팡이독소를 분비하여 감염된 종자를 섭취하는 인축에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대표적인 붉은곰팡이 독소는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니발레놀(nivalenol, NIV), 제랄레논(zearalenone, ZEA), T-2독소로 이들은 소화기 장애, 생식기질환, 피부병을 일으키거나 면역저하를 초래한다(Desjardins, 2006; Placinta 등, 1999).
붉은곰팡이의 독소의 종류와 그 위험성은? 이 병은 작물에 병해를 일으켜 수량감소와 품질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곰팡이독소를 분비하여 감염된 종자를 섭취하는 인축에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대표적인 붉은곰팡이 독소는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DON), 니발레놀(nivalenol, NIV), 제랄레논(zearalenone, ZEA), T-2독소로 이들은 소화기 장애, 생식기질환, 피부병을 일으키거나 면역저하를 초래한다(Desjardins, 2006; Placinta 등, 1999). 병원균인 붉은곰팡이는 다수의 종으로 구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con, C., Porter, J., Norred, W. and Leslie, J. 1996. Production of fusaric acid by Fusarium species. Appl. Environ. Microbiol. 62: 4039-4043. 

  2. Chung, H. S. 1975. Cereal scab causing mycotoxicoses in Korea and present status of mycotoxin researches. Korean J. Mycol. 3: 31-36. 

  3. Desjardins, A. E. 2006. Fusarium mycotoxins: chemistry, genetics and biology. APS Press, St. Paul, MN, USA. 260 pp. 

  4. Ferre, F. S. 2016. Worldwide occurrence of mycotoxins in rice. Food Control 62: 291-298. 

  5. Ham, H., Baek, J., Lee, M., Lee, T., Hong, S.-K. and Lee, S. 2017. Change of fungi and mycotoxin in hulled barley under differenc conditions and period. Korean J. Food Preserv. 24: 857-864. 

  6. Jensen, B., Knudsen, I. M. B. and Jensen, D. F. 2000. Biological seed treatment of cereals with fresh and long-term stored formulations of Clonostachys rosea: biocontrol efficacy against Fusarium culmorum. Eur. J. Plant Pathol. 106: 233-242. 

  7. Kaushik, G. 2015. Effect of processing on mycotoxin content in grains. Crit. Rev. Food Sci. Nutr. 55: 1672-1683. 

  8. Kosawang, C., Karlsson, M., Velez, H., Rasmussen, P. H., Collinge, D. B., Jensen, B. et al. 2014. Zearalenone detoxification by zearalenone hydrolase is important for the antagonistic ability of Clonostachys rosea against mycotoxigenic Fusarium graminearum. Fungal Biol. 118: 364-373. 

  9. Lee, J., Chang, I. Y., Kim, H., Yun, S. H., Leslie, J. F. and Lee, Y. W. 2009. Genetic diversity and fitness of Fusarium graminearum populations from rice in Korea. Appl. Environ. Microbiol. 75: 3289-3295. 

  10. Lee, S., Lee, T., Kim, M., Yu, O., Im, H. and Ryu, J.-G. 2013. Survey on contamination of Fusarium mycotoxins in 2011-harvested rice and its by-products from rice processing complexes in Korea. Res. Plant Dis. 19: 259-264. 

  11. Lee, S.-H., Lee, J., Nam, Y. J., Lee, S., Ryu, J.-G. and Lee, T. 2010a. Population structure of Fusarium graminearum from maize and rice in 2009 in Korea. Plant Pathol. J. 26: 321-327. 

  12. Lee, S.-H., Son, S. W., Nam, Y. J., Shin, J. Y., Lee, S., Kim, M. et al. 2010b.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in field-collected maize and rice in Korea in 2009. Res. Plant. Dis. 16: 306-311. (In Korean) 

  13. Lee, T., Lee, S.-H., Lee, S.-H., Shin, J. Y., Yun, J.-C., Lee, Y.-W. et al. 2011.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in rice and its milling byproducts in Korea. J. Food Prot. 74: 1169-1174. 

  14. Lee, T., Paek, J.-S., Lee, K. A., Lee, S., Choi, J.-H., Ham, H. et al. 2016. Occurrence of toxigenic Fusarium vorosii among small grain cereals in Korea. Plant Pathol. J. 32: 407-413. 

  15. Lee, U.-S., Jang, H.-S., Tanaka, T., Hasegawa, A., Oh, Y.-J., Cho, C.-M. et al. 1986. Further survey on the Fuarium mycotoxins in Korea cereals. Food Addit. Contam. 3: 253-261. 

  16. Lee, Y.-W., Kim, J. G., Chung, D. H., Roh, P. U. and Pestka, J. J. 1991. Natural occurrence of zearalenone in rice and soybean produced in Korea. Mycotoxin Res. 7: 69-72. 

  17. Park, J. W., Choi, S.-Y., Hwang, H.-J. and Kum, Y.-B. 2005. Fungal mycoflora and mycotoxins in Korean polished rice destined for humans. Int. J. Food Microbiol. 103: 305-314. 

  18. Park, K.-J., Park, A.-R. and Lee, Y.-W. 1992.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of the 1990 barley crop in Korea. Food Addit. Contam. 9: 639-645. 

  19. Placinta, C. M., D'Mello, J. P. F. and Macdonald, A. M. C. 1999. A review of worldwide contamination of cereal grains and animal feed with Fusarium mycotoxins. Anim. Feed Sci. Technol. 78: 21-37. 

  20. Schaarschmidt, S. and Fauhl-Hassek, C. 2018. The fate of mycotoxins during the processing of wheat for human consumption.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7: 556-5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