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합생산량분석법에 의한 한국 서해 어획대상 잠재생산량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otential yield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using the holistic production method (HPM)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4 no.1, 2018년, pp.38 - 53  

김현아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서영일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차형기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강희중 (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장창익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potential yield (PY) for Korean west coast fisheries using the holistic production method (HPM). HPM involves the use of surplus production models to apply input data of catch and standardized fishing efforts. HPM compared the estimated parameters of the sur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어획대상 어종에 대한 자원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우선적으로 서해 연근해 어업의 자원관리를 위한 자원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첫째, 현재까지 개발된 잉여생산량 모델들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서해의 어획대상 어종에 대한 어획대상 잠재생산량을 추정하였다. 둘째, 각 방법 별 추정치를 비교·분석하여 가장 합리적인 잠재생산량 추정치를 선정하고, 셋째, 추정방법과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해 연근해 어선어업의 어획대상 수산자원에 대한 어획대상 잠재생산량과 환경수용량을 추정하였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자원관리용 생태계 구분 기준(NFRDI, 2015)을 사용하여 서해 행정구역인 인천광역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의 1967~2013년간 연도별 시도별 어획량 및 어획노력량 자료를 수집하였다(KOSIS, 2015).
  • 수산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는 대상자원의 자원량 변동을 파악하고, 대상 자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취할 수 있는 최대 어획량인 최대지속적생산량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을 알아내는 것이다. 또한 자원의 어획이전 상태인 환경수용량과 MSY는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Gulland, 1971), 대상자원의 자원량 변동과 MSY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어획대상 환경수용량을 파악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주요 자원생물은 남·북한뿐만 아니라 중국 사이를 왕래하는 경계왕래자원으로 구성되어 주인이 없는 자원이라는 인식이 낳은 결과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서해는 남북한과 중국에 의해 둘러싸인 반 폐쇄해로서 약 6억에 이르는 연안 인구가 의존하고 있는 이용도가 매우 높은 해역이다. 황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의 주요 자원생물은 남·북한뿐만 아니라 중국 사이를 왕래하는 경계왕래자원으로 구성되어 있어 수산자원의 이용은 주인이 없는 자원이라는 인식 하에서 경쟁적으로 이루어져 왔고, 그 결과로 황해의 수산자원 중대부분의 주요 어종들은 고갈상태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hang et al., 1993).
최대지속적생산량이란 무엇인가? 수산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는 대상자원의 자원량 변동을 파악하고, 대상 자원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취할 수 있는 최대 어획량인 최대지속적생산량 (Maximum Sustainable Yield, MSY)을 알아내는 것이다. 또한 자원의 어획이전 상태인 환경수용량과 MSY는연관되어 있기 때문에(Gulland, 1971), 대상자원의 자원량 변동과 MSY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어획대상 환경수용량을 파악해야 한다.
황해의 수산자원 중대부분의 주요 어종들은 고갈상태에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첫째, 인구 및 소득 증가에 따른 식량 수요의 증가로 수산물의 수요가 증가했고, 둘째,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른 각종 어획기술의 획기적 발달이 어획량의 남획을 뒷받침했으며, 셋째, 수산자원은 소유권적 특성상 개방자원이나 공유자원의 성질을 지니기 때문에 개인에 의한 자유로운 자원채취는 자원의 남용을 필수적으로 가져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Kim and Kwon,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pman DG, Myhre RJ and Southward GM. 1962. Utilization of Pacific halibut stocks: estimation of maximum sustainable yield 1960. Rep Int Pacifi Halibut Comm No. 31, 1-35. 

  2. Clark RP, Yoshimoto SS and Pooley SG. 1992. A bioeconomic analysis of the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lobster fishery. Marine Resource Economics 7, 115-140. 

  3. Cushing DH. 1981. Fisheries biology: a study in population dynamics. 2nded Univ Wisconsin Press Madison Wisconsin, 1-200. 

  4.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1. World Capture Fisheries. Rome, FAO, 1-26. 

  5. Fox WW Jr. 1974. An overview of production modeling. Working document submitted to the workshop on population dynamics of Tuna, sponsored by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s, and held at Nantes, France, WTPD-Nantes/74/13, 143-156. 

  6. Fitzpatrick J. 1996. Technology and Fisheries Legislation.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No. 350 Part 2, 191-200. 

  7. Golan A, Judge G and Karp L. 1996a. A maximum entropy approach to estimation and inference in dynamic models or counting fish in the sea using maximum entropy.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20, 559-582. 

  8. Golan A, Judge G and Miller D. 1996b. A maximum entropy econometrics. John Wiley & Sons Ltd, 24-25. 

  9. Gulland JA. 1971. The Fish Resources of the Ocean. Fishing News (Books). West Byfleet, 1-255. 

  10. ICCAT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s). 2008. Report of the 2007 ICCAT Bigeye tuna stock assessment session. Vol Sci Pap ICCAT 62, 1-143. 

  11. ICCAT (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nservation of Atlantic Tunas). 2009. Report of the 2009 Atlantic swordfish stock assessment session. SCRS/2009/016-SWO ATL Stock Assessment, 1-78. 

  12. IOTC (Indian Ocean Tuna Commission). 2009. Report of the Twelfth Session of the Scientific Committee. 

  13. Kim GC and Kwon OS. 2000. Estimating the biological growth function of Korean anchovy: A maximum entropy approach.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ol. 9, 285-309. 

  14.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 Survey on fishery production of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Fishery production survey. http://kosis.kr (accessed September 25, 2015). 

  15. Kwon YJ, Zhang CI, Pyo HD and Seo YI. 2013. Comparison of models for estimation surplus productions and methods for estimating their parameters. J Korean Soc Fish Technol 49(1), 18-28. 

  16.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5.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and potential yield for Korean fisheries. NFRDI, 1-96. 

  17.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Guideline for decrease project of offshore fishing boats of the 2017.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1-87. 

  18. Pella JJ and Tomlinson PK. 1969. A generalized stock production model. Inter Am Trop Tuna Comm Bull 13, 419-496. 

  19. Prager MH. 1992a. ASPIC: A surplus-production model incorporating covariates. ICCAT Collected Volume of Scientific Papers 28, 218-229. 

  20. Prager MH. 1992b. Recent Developments in Extending the ASPIC Production Model. ICCAT Working Document SCRS/92/127, 1-10. 

  21. Prager MH. 2005. User's Manual for ASPIC: A Stock-Production Model Incorporating Covariates (ver. 5) and Auxiliary Program.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Beaufort Laboratory Document BL-2004-01, 1-27. 

  22. Prager MH. 2011. User's Manual for ASPIC: A Stock-Production Model Incorporating Covariates (ver. 5) and Auxiliary Program, 1-26. 

  23. Pyo HD. 2006. A comparative analysis of surplus production models and a maximum entropy model for estimating the anchovy's stock in Korea. J Fish Mar Sci Edu 18, 19-30. 

  24. Ricker WE. 1946.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fish population. Ecol Monogr 16, 379-391. 

  25. chaefer MB. 1954.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commercial marine fisheries. Inter Am Trop Tuna Comm Bull 1, 25-56. 

  26. Schaefer MB. 1957. A study of the dynamics of the fishery for yellowfin tuna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Ocean. Inter Am Trop Tuna Comm Bull 2, 245-285. 

  27. Zhang CI. 1989. An analysis of MSY as a fisheries management objective. Ocean Research 11(2), 59-67. 

  28. Zhang CI. 1991. Fisheries Resource Ecology. Usung Publ Co Seoul Korea, 1-399. 

  29. Zhang CI, Yoo SJ and Sohn MH. 1993. Changes in fisheries resources and future research need for the Yellow Sea ecosystem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Yellow Sea ecosystem. Bull Mar Res Ins Vol 17, 69-83. 

  30. Zhang CI. 2010. Marine Fisheries Resource Ecology. Sejong Publ Co Busan Korea, 1-5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