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도시 외연부 녹지 활용 사례연구 - 베를린, 밀라노, 서울을 대상으로 -
Green Spaces in the Urban Peripheries of Metropole Reg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Focused on Berlin, Milano and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1, 2018년, pp.72 - 85  

허윤경 (랏츠앤파트너 도시조경사무소) ,  채진해 (서울시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도시 외연부 녹지를 활용한 해외사례에 주목하였다. 그 대상으로 서울의 외연부 녹지와 입지적 형태적 상황이 유사한 독일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광역공원화 사례와 이탈리아 밀라노의 방사형 녹지축 사례를 선정 및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로 기존 인프라 접근성 및 연계, 재활용, 협력적 관리를 세웠다. 사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외연부 녹지의 생태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 된 공간 전략이 지속가능한 발전 계획의 토대로 이용되었다. 둘째, 도시 중심에서 외곽으로 이어지는 물리적 연계가 생태적, 환경적 가치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경제적 가치 향상과 연결되어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였다. 셋째, 도시 외연부에 걸쳐있는 녹지의 통합적인 협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행정관리 주체의 다원화와 다양한 이해관계자 사이의 갈등을 유기적인 조절을 통해 지속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현재 서울 외연부는 녹지가 분산되어 있고 연속적인 산지가 이루어져 있으나, 전체 경관이 획일적이기 때문에, 도시 외연부 녹지 경관의 정체성을 재정립한 차별화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주변부산지와 도심지 녹지를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생태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창출을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도심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도시 외연부에 위치한 녹지의 대부분이 여러 행정경계 상에 위치하여 녹지관리주체가 파편화 되어있는 현 실정을 해소하기 위한 통합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도심 중심의 도시 발전 관점에서 벗어나 도시 외연부 녹지의 접근성 및 연계, 활용 및 관리로부터 이루어지는 도심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cases that le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organic greenery systems linking green spaces of urban peripheries with metropolitan areas. To that end, Berlin - Brandenburg's regional parks in Germany and Milan's Raggi Verdi, a radial 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외연 부를 도심과 연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미흡한 이유는 무엇이 있는가? 그 이유 중 하나로 Lee et al.(2007)은 우리나라의 도시주변부가 개발압력이 매우 높고 녹지로서 상징적 가치가 매우 커서 이해관계나 갈등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심지어 2015년 5월에 공표된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대한 권한 이양과 2020년 시행 예정인 도시공원 일몰제로 인해 도시 외연부 상의 도시공원에 대한 가치 감소가 예측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Chae, 2016).
도시 외연 부의 정의는 무엇인가? Mumford(1961)는 도시 외연부를 독립된 공간으로 인식하고, 도시 속에서도 자연공간을 구축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이는 도시 지역의 녹지대(green belt), 녹지 쐐기(green wedges), 녹지 회랑(green corridors) 등이라고 하였다. 반면에 도시 외연 부를 Moltimore and Wilson(1965)은 고밀도 도심지와 저밀도배후지 사이에 고유한 특성을 보이는 도시 외연부 고밀도 주거지(Peri-Urban)로 정의하기도 하였으며, Garreau(1991)는 도시 외연부에 주거지뿐만 아니라, 주요 쇼핑센터와 엔터테인먼트 등이 형성된 엣지도시(Edge City)라고 하는 등 다양한 견해가 있어 왔다. 이러한 논의 속에 Schoebel(2003)은 도시 외연 부는 녹지정책을 통해 녹지의 양적 확대 및 도심 확산 방지 등의 기능이 아닌 질적 측면에서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도심의 지나친 확장은 어떤 논의를 불러왔는가?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도시화가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도시공간은 확장(Urban Sprawl)되었다. 도심의 지나친 확장은 도시에 인접한 주변부 환경과의 조화를 고민하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발전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Lee, 2002). 20세기 전원도시론자들은 Howard(1898)가 제안한 전원도시(Garden City) 이론을 계승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