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도분만 시행 여부에 따른 임산부의 분만진행과정, 분만결과, 분만만족도
Pregnant Women's Labor Progress, Childbirth Outcome, and Childbirth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abor Inductio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1, 2018년, pp.58 - 70  

정윤아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  정재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induced labor and find strategies to enhance women's childbirth satisfac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pregnant women expected to have normal vaginal delivery. A total of 113 women with induced labor and 61 women with spontaneous labor were surveyed.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유도분만 여부에 따른 임산부의 분만진행과정과 분만결과 뿐만 아니라 분만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임산부에게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 정서적 문제를 파악하여 임부와 그 보호자에게 유도분만 전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도분만이 임부에게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유도분만이 임부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제왕절개 분만율의 증가[4,5], 자궁의 과도한 수축과 태아 심장 박동 수 이상이 동반되는 자궁과자극[6], 산후출혈[7]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도분만 과정으로 인한 여러 가지 의료적 처치와 자연분만에 비하여 긴 입원기간은 의료비 증가로 이어진다[8,9].
유도분만의 빈도는 어떠한가? 유도분만이란 자발적인 분만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임신을 종결시키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자궁경부를 숙화 시키고 자궁수축을 일으키는 것을 말하며, 원칙적으로 유도분만으로 인한 임부나 태아의 이득이 임신을 지속하는 경우의 위험성보다 큰 경우에 시행된다[1]. 유도분만은 전체 임신의 약 20%에서 이루어질 정도로[2] 국내 산과영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시행되는 술기이다. 적절한 유도분만은 지연임신, 만삭 조기 양막 파열, 앙수 과소증, 태아발육제한 및 일부 선천성 기형 등의 경우 태아와 신생아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모체의 심질환, 전자 간증 또는 자간증 등에서 모체의 이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3].
유도분만을 산모 스스로 결정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최근에는 의학적 적응증 이외에 의료진 또는 임부의 편의에 의하여 유도분만이 시행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임부와 그 보호자는 유도분만에 대한 충분한 지식없이 의료진의 권유와 자신의 편의에 의해 그 과정을 따르게 된다[12,13]. 분만에 대한 산모의 개인적인 통제감 및 조절력은 긍정적인 분만경험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14] 비록 분만에 대해 기대하는 바가 전부 충족되지는 않더라도, 분만과정에 있어 여성 스스로가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분만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ozurkewich E, Chilimigras J, Koepke E, Keeton K, King VJ. Indications for induction of labour: a best-evidence review.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9;116 (5):626-636. https://doi.org/10.1111/j.1471-0528.2008.02065.x 

  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umber of induced, normal, or cesarean deliveries [Internet]. Seoul: Author; 2006 [cited 2006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38000000&brdScnBltNo4&brdBltNo12004&pageIndex1 

  3. Rayburn WF, Zhang J. Rising rates of labor induction: Present concerns and future strategies. Obstetrics & Gynecology. 2002; 100(1):164-167. https://doi.org/10.1016/S0029-7844(02)02047-1 

  4. Eom JM. Effect of labor induction on cesarean delivery rates in term pregnancie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of Ulsan; 2011. p. 1-25. 

  5. Choi YS, Park HK, Choi SR, Yang SC, Lee YW.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duction of labor in nullipara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7;50(12):1650-1656. 

  6. Kelly AJ, Kavanagh J, Thomas J. Vaginal prostaglandin (Prostaglandin E2 and PGF2a) for induction of labour at term. Cochrane Database Systematic Reviews. 2003;4.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3101 

  7. Lee BI. A clinical study on the risk factors responsible for postpartum hemorrhage (PPH) in vaginal delivery. Inje Medical Journal. 1991;12(1):41-42. 

  8. Kaufman KE, Bailit JL, Grobman W. Elective induction: An analysis of economic and health consequenc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2;187(4):858-863. https://doi.org/10.1067/mob.2002.127147 

  9. Maslow AS, Sweeny AL. Elective induction of labor as a risk factor for cesarean delivery among low risk women at term. Obstetrics & Gynecology. 2000;95(6):917-922. https://doi.org/10.1016/S0029-7844(00)00794-8 

  10. Lee HS, Cwon GH, Kim JD. Clinical study on the oxytocin effect on neonate.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1986;29(7):942-949. 

  11. Choi H, Kim BR, Lee HK. The management of post-term pregnancy: a comparative clinical study between the induced labor and the spontaneous labor.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1984;27(15):2108-2114. 

  12. Simpson KR, Atterbury J. Trends and issues in labor induction in the United States: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3;32(6):767-779. https://doi.org/10.1177/0884217503258528 

  13. Smith GCS, Pell JP, Dobbie RP. Cesarean section and risk of unexplained stillbirth in subsequent pregnancy. The Lancet. 2003; 362(9398):1779-1784. https://doi.org/10.1016/S0140-6736(03)14896-9 

  14. McCrea BH, Wright ME. Satisfaction in childbirth and perception of personal control in pain relief during labo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29(4):877-884.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9.00961.x 

  15. Hauck Y, Fenwick J, Downie J, Butt J. The influence of childbirth expectations on Western Australian women's perceptions of their birth experience. Midwifery. 2007;23(3):235-247. https://doi.org/10.1016/j.midw.2006.02.002 

  16. Nichols FH, Humenick SS. Childbirth education: Practice, research and theory,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0. 

  17. Yeh P, Emary K, Impey L. The relationship between umbilical cord arterial pH and serious adverse neonatal outcome: Analysis of 51519 consecutive validated samples.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 Gyanecology. 2012;119(7):824-831. https://doi.org/10.1111/j.1471-0528.2012.03335.x 

  18. Hodnett ED, Simmons-Tropea DA. The Labour Agentry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an instrument measuring control during childbirth.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7;10(5): 301-310. https://doi.org/10.1002/nur.4770100503 

  19. Fraser M, Maunsell E, Hodnett E, Moutquin J.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 prenatal vaginal birth after cesarean section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7;176(2):419-425. https://doi.org/10.1016/S0002-9378(97)70509-X 

  20. Kim DY, Chung SM, Song CH, Chung HB, Shin JH, Hong SY, et al. Original article: A clinical study on the elective induction of labor.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1998;41(12):2990-2996. 

  21. Cammu H, Martens G, Ruyssinck G, Amy JJ. Outcome after elective labor induction in nulliparous women: A matched cohort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2;186(2):240-244. https://doi.org/10.1067/mob.2002.119643 

  22. van Gemund N, Hardeman A, Scherjon SA, Kanhai HHH. Intervention rates after elective induction of labor compared to labor with a spontaneous onset. Gynecologic and Obstetric Investigation. 2003;56(3):133-138. https://doi.org/10.1159/000073771 

  23. Porreco RP, Clark SL, Belfort MA, Dildy GA, Meyers JA. The changing specter of uterine ruptur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09:200(3):269.e1-269.e4. https://doi.org/10.1016/j.ajog.2008.09.874 

  24. Briggs GG, Wan SR. Drug therapy during labor and delivery, part 2.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6; 63(12):1131-1139. https://doi.org/10.2146/ajhp050265.p2. 

  25. Nicholson JM, Stenson MH, Kellar LC, Caughey AB, Macones GA. Active management of risk in nulliparous pregnancy at term: Association between a higher preventive labor induction rate and improved birth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09;200(3):254.e1-254.e13. https://doi.org/10.1016/j.ajog.2008.08.052 

  26. Ashalatha S, Rhona B, Pat R, Allan T. Women's perceptions,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with induced labour-A questionnaire-based study.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005;123(1):56-61. https://doi.org/10.1016/j.ejogrb.2005.03.004 

  27. Chun N. The effects of childbirth education on primiparas' childbirth experience and postpartum maternal adaptation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p.1-29. 

  28. Henderson J, Redshaw M. Women's experience of induction of labor: a mixed methods study.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Scandinavica. 2013;92(10):1159-1167. https://doi.org/10.1111/aogs.12211 

  29. Jun HR, Park JH, Park SW, Huh CK, Hwang SG. Decisionmaking process and satisfaction of pregnant women for delivery method.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8;31(4):751-76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