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4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여성건강 관련 연구의 동향(2013~2017년)
Trend Analysi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from 2013 to 2017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1, 2018년, pp.90 - 103  

이영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서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강샘이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강유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정희연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원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analyze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from 2013 to 2017 to determine the latest research trends and understand how 2013 Korea Women's Health Statistics were reflected in journal articles. Methods: A total of 130 studies were analyzed. Research desig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이 2007년부터 2009년에 게재된 논문과 비교했을 때 논문의 유형, 연구의 이론적 기틀의 사용, 연구대상자, 연구방법, 주요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최근 질적 연구의 대상자별 연구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국여성 건강통계 결과가 현재 여성건강 관련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 앞으로 여성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 중 하나는 2013년 발표된 한국여성 건강통계 결과가 현재 여성건강 관련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함이었다. 대상자별 연구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주요개념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통해 각각의 대상자별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 여성 건강통계에서 청소년의 증가된 성경험과 성 건강문제, 성교육의 부재를 제기하였으나 현재 청소년의 성과 관련된 연구는 성적자기주장에 대한 연구만 1편 이루어졌다.
  • 나아가 최근 질적 연구의 대상자별 연구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한국여성 건강통계 결과가 현재 여성건강 관련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함으로 앞으로 여성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여성건강간호를 대표하는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가장 최근 논문을 분석하여 이전의 논문분석 결과와 비교하고 한국여성의 건강통계 결과를 현재 여성건강 간호연구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 결과 연구방법이 이전보다 다양해졌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4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구방법과 게재된 논문의 유형 및 이론적 기틀의 유무, 연구대상자의 특성,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의 특성, 주요어를 분석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분석한 논문의 결과와 비교하고, 2013년 한국여성 건강통계에서 제시한 여성건강 이슈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앞으로 여성건강간호를 위한 연구의 나아갈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 논문분석연구와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연구 8편, 개념분석 연구 2편, 질 평가 연구 2편, 전자 간호기록을 이용하여 간호과정의 연계를 확인한 논문 1편을 제외하였으며 2차 자료분석 연구는 연구대상자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생애 주기별 건강 연구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보고서의 생애주기 기준을 참고하여, 청소년기, 가임기, 임신 및 출산기, 폐경기, 노년기로 분류하였다[11].
  • 본 연구의 목적 중 하나는 2013년 발표된 한국여성 건강통계 결과가 현재 여성건강 관련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함이었다. 대상자별 연구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주요개념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통해 각각의 대상자별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 9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최근 4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여성건강의 연구동향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국여성 건강통계의 결과가 현재 여성건강연구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 여성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최근 4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연구방법과 게재된 논문의 유형 및 이론적 기틀의 유무, 연구대상자의 특성, 양적 연구 및 질적 연구의 특성, 주요어를 분석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분석한 논문의 결과와 비교하고, 2013년 한국여성 건강통계에서 제시한 여성건강 이슈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파악하여 앞으로 여성건강간호를 위한 연구의 나아갈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 논문분석연구와 비교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여성을 돌보고 여성건강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간호대상자인 여성의 건강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이 2007년부터 2009년에 게재된 논문과 비교했을 때 논문의 유형, 연구의 이론적 기틀의 사용, 연구대상자, 연구방법, 주요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나아가 최근 질적 연구의 대상자별 연구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gender)건강에 기초한 여성건강 관점에서 여성건강문제를 바라보고자 하는 경향이 생긴 배경은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임신과 출산이 여성건강에 대한 고유한 연구주제로 여겨졌으나 성평등에 대한 사회 인식의 진전으로 고학력 여성과 경제 활동을 하는 여성이 많아짐으로 인해 출산율 저하, 만혼 및 비혼이 사회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1,2]. 이로써 성(gender)건강에 기초한 여성건강 관점에서 여성건강문제를 바라보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3,4].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는 언제, 무엇을 위해 창설되었는가?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는 1994년 여성건강증진을 목적으로 창설되어 연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1995년부터 여성건강간호학회지(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JWHN)를 공식 학회지로 출간한 이후, 2009년까지 학술지의 내용과 질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논문 분석을 수행하였다[6,7].
국내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는 2003년 이후 처음 수행된 조사로 최근 10년 동안의 여성건강의 변화와 국내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문제를 파악함으로 여성건강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국여성 건강통계에 의해 드러난 국내 여성의 주요 건강문제는 청소년 성관계 경험의 증가, 청소년의 낮은 피임과 성교육의 부족과 관련된 청소년의 성 건강 문제, 여성 대상의 성폭력 증가, 출산력 감소, 고령출산의 증가로 인한 모성 사망비의 증가, 여성의 우울증 증가와 높은 스트레스 인지, 여성의 알코올 섭취 및 흡연의 증가, 여성의 신체활동 부족 등이다[5]. 이는 임신 출산 중심의 가족중심 관점에서의 모성건강에서 벗어나 젠더 중심의 여성건강 실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a L. Female labour force participation and second birth rates in South Korea. Journal of Population Research. 2016;33(2): 173-195. https://doi.org/10.1007/s12546-016-9166-z 

  2. Lee SY, Hwang MJ. A trend analysis on non-married persons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attainment: Comparison between Gangnam and Gangbuk in Seoul areas.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4;25(1):15-34. https://doi.org/10.16881/jss.2014.01.25.1.15 

  3. Song MY, Lim WY, Kim J-I. Gender based health inequality and impacting facto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2):150-159. https://doi.org/10.4069/kjwhn.2015.21.2.150 

  4. Kim NS. Women's health indicators: A glance through women' s health STATS and FACT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6 May;235:6-14. 

  5. Kim NS, Park EJ, Jun J, Choi JH, Kim MH, Kim SW, et al. Korean women's health statistic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Report No.: 2013E6300200. Sponsor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6. Kim JI, Park SM, Park HS, Chung CW, Ahn SH. Analysis of published papers and their keyword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2006).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1):51-59. 

  7. Kim JI, Lee EH, Kang HS, Oh HE, Lee EJ, Jun EM, et al. Analysis of published papers by keywords and research method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2009).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307-316. https://doi.org/10.4069/kjwhn.2010.16.3.307 

  8. Kim M, Cheon S-H, Jun E-M, Kim S, Song J-E, Ahn S, et al. The quality of reporting of intervention studie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JWHN): Based on the TREND guidelin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 19(4):306-317. https://doi.org/10.4069/kjwhn.2013.19.4.306 

  9. Kim S, Oh H-E, Song J-E, Kim M, Ahn S, Lee E-J, et al. Analysis of reports on observational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based on the STROBE guidelin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20(4):287-296. https://doi.org/10.4069/kjwhn.2014.20.4.287 

  10. Akhtar-Danesh N, Baumann A, Cordingley L. Q-methodology in nursing research: A promising method for the study of subjectivit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8;30(6):759-773. https://doi.org/10.1177/0193945907312979 

  11. Cho HN, Choi E, Seo DH, Suh M, Lee H-Y, Park B, et al. The Korean study of women's health-related issues (K-Stori): Rationale and study design. BMC Public Health. 2017;17(1):609. https://doi.org/10.1186/s12889-017-4531-1 

  12. Creswell J.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nd ed. Choi HS. et al, translator. Seoul: Hakjisa; 2010. 515 p. 

  13. Han NK, Kim S, Kim MS, Kim JG, Kim CH, Choi SH.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for 5 years (2010-2014): Focused on usage of nursing theori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5):527-536. https://doi.org/10.7475/kjan.2015.27.5.527 

  14. Lee Y. Daily smoking girls' tobacco use, health behaviors and family factors: Analysis of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5): 377-384. https://doi.org/10.14400/jdc.2016.14.5.377 

  15. Lee J. Factors affecting contraceptive use among adolescent girls in South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 (3):259-267. https://doi.org/10.4094/chnr.2017.23.3.259 

  16. Cho HC. A meta-analysis on the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s' alcohol use: From 1990 to 2012.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6):191-221. 

  17. Kim S-Y, Sok S.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older Korean women living alone. Contemporary Nurse. 2013; 44(1):111-119. https://doi.org/10.5172/conu.2013.44.1.111 

  18. Carroll AJ, Baron SR, Carroll RA. Couple-based treatment for sexual problems following breast cancer: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literature.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6;24(8): 3651-3659. https://doi.org/10.1007/s00520-016-3218-y 

  19. Ayebare E, Mwebaza E, Mwizerwa J, Namutebi E, Kinengyere AA, Smyth R. Interventions for male involvement in pregnancy and labour: A systematic review. African Journal of Midwifery and Women's Health. 2015;9(1):23-28. https://doi.org/10.12968/ajmw.2015.9.1.23 

  20. Choe MA, Kim NC, Kim KM, Kim SJ, Park KS, Byeon YS, et al. Trends in nursing research in Korea: Research trends for studies published from the inaugural issue to 2010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nd the journals published by member societies under Korean academy of nursing sc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5):484-494. https://doi.org/10.4040/jkan.2014.44.5.484 

  21. Choe M. Perspectives on bionursing scien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2;9. 

  22. Morris JL, Rushwan H. Adolescent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The global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Gynecology & Obstetrics. 2015;131(S1). https://doi.org/10.1016/j.ijgo.2015.02.006 

  23. Frederiksen Y, Farver-Vestergaard I, Skovgard NG, Ingerslev HJ, Zachariae R. Efficacy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psychological and pregnancy outcomes in infertile women and 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open. 2015; 5(1):e006592. https://doi.org/10.1136/bmjopen-2014-006592 

  24. Yehuda R, Meaney MJ. Relevance of psychological symptoms in pregnancy to intergenerational effects of preconception trauma. Biological Psychiatry. 2018;83(2):94-96. https://doi.org/10.1016/j.biopsych.2017.10.027 

  25. Seng JS, Sperlich M, Low LK, Ronis DL, Muzik M, Liberzon I. Childhood abuse history,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ostpartum mental health, and bonding: A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3;58(1): 57-68. https://doi.org/10.1111/j.1542-2011.2012.00237.x 

  26. Jackson KT, Mantler T. Examining the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lated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antenatal, intrapartum and postpartum women: A scoping review. Journal of Family Violence. 2017;32(1):25-38. https://doi.org/10.1007/s10896-016-9849-4 

  27. Halim N, Beard J, Mesic A, Patel A, Henderson D, Hibberd P. Intimate partner violence during pregnancy and perinatal mental disorders in low and lower middle 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1990-2017.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7. https://doi.org/10.1016/j.cpr.2017.11.004 

  28. Hatcher AM, Woollett N, Pallitto CC, Garcia-Moreno C. A conceptual framework and intervention approach for address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pregnancy: The safe & sound model in South Africa. Global Perspectives on Women's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cross the Lifecourse: Springer; 2018. p. 233-253. https://doi.org/10.1007/978-3-319-60417-6_14 

  29. Tan CH, Denny CH, Cheal NE, Sniezek JE, Kanny D. Alcohol use and binge drinking among women of childbearing age-United States, 2011-2013.MMWR Morb Mortal Wkly Rep. 2015;64(37):1042-1046. https://doi.org/10.15585/mmwr.mm6437a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