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간 복합트레이닝이 비만과 골다공증 지적장애인의 신체조성, 건강체력,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사례연구
The Effect of 12 Weeks of Combined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Obese and Osteoporotic Intellectual Disabilities-Case stud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2, 2018년, pp.375 - 383  

한동기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특수체육학과) ,  양한나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특수체육학과) ,  서진희 (백석대학교 사범학부 특수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접목된 복합트레이닝을 비만과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지적장애인 성인에게 12주간 적용한 후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신체구성검사, 건강관련체력 그리고 골다공증의 변화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들의 운동은 12주간 주2회 유산소운동과 근력 운동을 구성된 복합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산소운동은 저강도에서 시작하여 점증부하원리를 적용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15회를 반복할 수 있는 강도로 설정하였다. 신체조성과 골밀도는 운동전, 6주, 12주 세 차례 측정하였고, 건강체력평가는 운동전과 운동 후 측정하였다. 체중, 체지방은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감소하였고, 골밀도는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증가하였다. 체력요인으로 근력과 근지구력, 유연성이 운동전에 비해 운동 후 개선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12주의 복합트레이닝은 하지근력을 증가시켜 걷기, 달리기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건강체력의 향상과 골밀도의 증가를 일으키는 운동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nd osteoporosis after 12 weeks of combined training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iagnosed with obesity and osteoporosis. The subjects conducted a combined training program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사례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접목된 복합트레이닝을 비만과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지적장애인 성인에게 12주간 적용한 후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 따라서 본 사례연구는 위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유산소와 저항성 운동이 접목된 복합트레이닝을 비만과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지적장애인 성인에게 12주간 적용한 후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자 한다.
  •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자가 4명인 사례연구를 수행하는 이유는 지적장애인 장애 정도에 따라 운동의 강도를 달리해야 하고, 개인별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수행하여 그 효과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이다.
  • 본 연구결과로 12주의 복합트레이닝은 하지근력을 증가시켜 걷기, 달리기, 뛰기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건강 체력의 향상과 골밀도의 증가를 일으키는 운동임을 확인하였다. 지적장애인에게 꾸준한 복합트레이닝을 적용함으로 건강상태를 향상시키고, 체력적인 면에서도 일부 긍정적인 진전이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며, 성인 지적장애인의 비만과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자료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량적 초음파측정법의 측정결과로는 무엇들이 있는가? QUS는 일반적으로 비침습적이며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갖으며, 특히 QUS 평가 시 자주 이용되는 종골은 높은 골 교체율(high metabolic turnover rate)을 갖는 소주골(trabecular bone)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부위로서 스크리닝 시 유의미한 부위로 평가된다[27]. 측정 결과는 Z-score, T-score, 광역음파 감쇠(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BUA), 음파속도(Speed of sound, SOS) 및 BUA와 SOS에 의한 Bone quality index (BQI)로 보고된다. Z-score는 동일 연령대의 BQI의 표준편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0’은 ‘동일 연령 평균값’을, ‘0 미만’은 ‘동일 연령 평균보다 BMD가 낮음’(이하 ‘BMD 평균미만군’)을, ‘0 이상’은 ‘동일 연령 평균보다 BMD가 높음’(이하 ‘BMD 평균이상군’)을 의미하고, ‘-2 이하’는 ‘연령기대치 이하’(이하 ‘BMD 연령기대치 이하군’)를 의미한다.
비만은 어떻게 간주되며 비만에 따라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비만은 WHO에 의해 비 전염성 질병으로 간주되며 심혈관 질환, 당뇨병, 수면 무호흡증, 근골격계 통증과 개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 등의 발생비율이 비만한 사람들에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특히, 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활동의 저하, 장애로 인한 부적절한 행동들, 만성 건강 관련 약물 복용 등으로 비만의 위험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3].
비만의 위험은 어떤 상황에서 더 크게 나타나는가? 비만은 WHO에 의해 비 전염성 질병으로 간주되며 심혈관 질환, 당뇨병, 수면 무호흡증, 근골격계 통증과 개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장애 등의 발생비율이 비만한 사람들에게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특히, 장애가 있는 경우 신체활동의 저하, 장애로 인한 부적절한 행동들, 만성 건강 관련 약물 복용 등으로 비만의 위험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OTF. Feb. Retrieved from.. http://www.wpro.who.int/entity/nutrition/documents/docs/Redefiningobesity. 

  2. Leone, N., Courbon. D., Berr, C., Barberger-Gateau, P., Tzourio, C., Alperovitch, A., & Zureik, M. (2012). Abdominal obesity and late-onset asthm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results: the 3C Study. Obesity (Silver Spring) 20(3), 628-635. DOI : 10.1038/oby.2011.308. 

  3. Lobstein, T., Baur, L., & Uauy, R. (2004). Obesity i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crisis in public health, Obesity reviews, 5(1), 4-104. DOI : 10.1111/j.1467-789X.2004.00133.x 

  4. Mercer, K. C. & Ekvall, S. W. (1992). Comparing the diets of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live in intermediate care facilities and in group homes, Journal of American Diet Association, 92(3), 356-358. 

  5. C. S. Min. (2003). The study on characteristic of mental retardation definition in historical change process,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5, 173-187. 

  6. K. Y. Park. (2003). Pulmonary respiration function and bone density of mentally handicapped students people with obesity and with no obesity,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 Exercise, 11(2), 119-131. 

  7. B. I. Min & D. C. Kim. (2009).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ental retarded obese wome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7(2), 47-62. 

  8.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4).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Providing nutrition services for infants, children,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special health care need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04(1), 97-107. DOI : 10.1016/j.jada.2003.11.002 

  9. Michael, L. W., Ivan, B., Maire, P., Karrie, A, S. & Wai, L, A, F. (2007). A comprehensive guide to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Edition, Baltimore, London. Sydney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607-615. 

  10. Fernhall, B., Pitetti, K. H., Rimmer, J. H., McGubbin, J. W., Rintala, P., Millar, A. L, Kittredge, J., & Burkett, L. N. (1993). Cardiorespiratory capacity of individuals with mental retardation including Down syndrom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8(3), 366-371. 

  11. Jobling, A. M. A. & Mon-Williams, M. (2000). Motor development in Down syndrome: A longitudinal perspective. In D. J. Weeks, R. Chua and D. Elliott (Ed.), Perceptual-Motor Behavior in Down Syndrome (pp. 225-248)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2. Sherrill, W. W. (2004). MD/MBA Students: An Analysis of Medical Student Career Choice, Medical Education Online, 9(1), 4353. DOI : 10.3402/meo.v9i.4353. 

  13. Draheim, C. C., Wiliams, D. P., & McCubbin, J. A. (2002). Prevalence of physical inactivity and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in community based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Mental Retardation. 40(6), 436-444. DOI : 10.1352/0047-6765(2002)040 2.0.CO;2 

  14. R. Y. Song., E. O. Lee., & I. O. Lee. (2002). Pre-post comparisons on physical symptoms, balance, muscle strength, physical functioning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osteoarthritis after 12 weeks Tai-Chi exercis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9(1), 28-39. 

  15. H. M. Kim. (2015). The effect of psychomotor by the emotional behavior disorder(ADHD) children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Depression or Hyperactivity in terms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571-578. DOI : 10.14400/JDC.2015.13.11.571 

  16. Pollock, N. K., Bernard, P. J., Gutin, B., Davis, C. L., Zhu, H., & Dong, Y. (2011). Adolescent obesity, bone mass, and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Journal of Pediatrics, 158(5), 727-734. DOI : 10.1016/j.jpeds.2010.11.052 

  17.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2001).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5(6), 785-795 DOI : 10.1001/jama.285.6.785 

  18. N. H. Yeo., & I. B. Park. (2004). Development of remodeling exercise prescription program for treatment of obesity and osteoporosis in older women, Exercise Science, 13(3), 351-366. 

  19. Ormsbee, M. J., Prado, C. M., Ilich, J. Z., Purcel, S., Siervo, M., Folsom, A., & Panton, L. (2014). Osteosarcopenic obesity: the role of bone, muscle and fat in health,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 5(3), 183-192. DOI : 10.1007/s13539-014-0146-x. 

  20. Binkley, N., & Buehring, B. (2009). Beyond FRAX: It's time to consider "sarco-osteopenia", Journal of Clinical Densitometry, 12(4), 413-416. DOI : 10.1016/j.jocd.2009.06.004 

  21. Ilich, J. Z., Kelly, O. J., Inglis, J. I., Panton, L. B., Duque, G., & Ormsbee, M. J. (2014). Interrelationship among muscle, fat, and bone: connecting the dots on cellular, hormonal, and whole body levels, Ageing Research Reviews, 15, 51-60. DOI : 10.1016/j.arr.2014.02.007 

  22. Vainionpaa, A., Korpelainen, R., Vihriala, E., Rinta-Paavola, A., Leppaluoto, J., & Jamsa, T. (2006). Intensity of exercise is associated with bone density change in pre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International, 17(3), 455-463. DOI : 10.1007/s00198-005-0005-x 

  23. Templeton, D. L., Kelly, A. S., Steinberger, J., & Dengel D. R. (2010). Lower relative bone mineral content in obese adolescents: role of non-weight bearing exercise, Pediatric Exercise Science, 22(4), 557-568. 

  24. H. Y. Jang., & S. G. Choi. (2016).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in complex training on leptin, growth hormone, IGF-1, body composition in middle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0), 483-497. DOI : 10.14400/JDC.2016.14.10.483 

  25. Tolomio, S., Ermolao, A., Lalli, A., & Zaccaria, M. (2010). The effect of a multicomponent dual-modality exercise program targeting osteoporosis on bone health status and physical function capacity of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Women Aging, 22(4), 241-254. DOI : 10.1080/08952841.2010.518866 

  26. S. O. Lim.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 in Korea: Focusing on the Grade Evaluation System, Social Welfare Policy, 42(4), 181-202. 

  27. Robinson, M. L., Winters-Stone, K., Gabel, K., & Dolny, D. (2007). Modifiable lifestyle factors affecting bone health using calcaneus quantitative ultrasound in adolescent girls, Osteoporosis International. 18(8), 1101-1107. DOI : 10.1007/s00198-007-0359-3 

  28. Arlot, M. E., Sornay-Rendu, E., Garnero, P., Vey-Marty, B., & Delmas, P. D. (1997). Apparent pre-and postmenopausal bone loss evaluated by DXA at different skeletal sites in woman: the OFELY cohort,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12(4), 683-690. DOI: 10.1359/jbmr.1997.12.4.683 

  29. I. C. Jeung., et al. (2007). Comparision and standardization of dual energy X-ray densitometry systems, Journal of Korean Socal Menopause, 13(3), 192-199. 

  30. M. J. Lim., & B. J. Joeung. (2010). Norm-standard of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tes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8(4), 31-41. 

  31. Y. S. Kang. (2013). Study on physical activity level, health-related fitness,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1(4), 13-26. 

  32. Y. S. Kang., & D. K. Han. (2010). Comparison of school time physical activity levels in stud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8(4), 79-90. 

  33. Y. C. Lee. (2014). The effects of dance and APE program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8(2), 105-112. 

  34. Ilich-Ernst, J., Brownbill, R. A., Ludemann, M. A., & Fu, R. (2002). Critical factors for bone health in women across the age span: how important is muscle mass?, Medscape women's health, 7(3), 2. 

  35. Rosen, C. J., & Bouxsein, M. L. (2006). Mechanisms of disease: is osteoporosis the obesity of bone?, Nature Clinical Practice Rheumatology, 2(1), pp.35-43. DOI : 10.1038/ncprheum0070 

  36. Kim, S., Jung, J., Jung, J. H., Kim, S. K., Kim, R. B., & Hahm, J. R. (2015). Risk factors of bone mass loss at the lumbar spine: a longitudinal study in healthy Korean pre-and perimenopausal women older than 40 years, PLoS One, 10(8), e0136283. DOI : 10.1371/journal.pone.0136283 

  37. Lanyon, L. E. (1992). Control of bone architecture by functional load bearing,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7(2), S369-S375. DOI : 10.1002/jbmr.5650071403 

  38. Byeon, J. K., Jeong, S. J., Byeong, J. M., & Park, S. H. (2010). Effects of 12 weeks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isokinetic function of knee joint in the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2), 431-444. 

  39. Snow, C. M., Shaw, J. M., Winter, K. M., & Witzke, K. A. (2000). Long-term exercise using weighted vests prevents hip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5(9), M489-491. 

  40. Vincent, K. R., & Braith, R. W. (2002). Resistance exercise and bone turnover in elderly men and wome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34(1), 17-23. 

  41. Jeon K. T., & Han, M. K. (2011). Development of assessment standards for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in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3(4), 271-286. 

  42. Lahtinen, U., Rintala, P., & Malin, A. (2007). Physical performance of individu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 30-year follow-up,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24(2), 125-143. 

  43. Park, M. S., Kim, M. W., Jeong, J. H., & Cha, N. H. (2017). Effects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Physical Fitnes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8(1), 88-97. DOI : 10.12799/jkachn.2017.28.1.8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