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병원약사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한 병원의 약사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Investigation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Training Program for Pharmacists in a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8 no.4, 2018년, pp.347 - 354  

김민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융합보건대학원) ,  김선아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약제부) ,  박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약학부) ,  이정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융합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develop a training program that integrated and strengthened clinical competence and capacity of hospital pharmacists which would be implemented at the pharmacy department of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Methods: We assessed the training pr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식, 자세, 태도, 기술 등이 교육 과정에 반영되어야 함을 강조해 왔으며,14) 2006년에는 더 나아가 researcher로서의 역할이 추가된 “The eight-star pharmacist”로 확대하였다.15) 이는 의약품 중심(product-oriented)에서 환자중심(patient-oriented)으로 약사 업무의 중심이 바뀌고 있는 것을 반영하며, 본 연구는 약사 면허 취득 이후에도 평생 전문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lifelong leaner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타 국가의 병원약사 전문화 과정, 국내 주요병원의 약사 교육 과정을 조사하였고, 이대목동병원 약사의 약제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를 기반으로 병원 약사 교육 프로그램(안)을 제안하도자 하였다.
  • 그리고 그 설문조사결과와 각 병원의 교육 프로그램 자료를 바탕으로 신입 약사의 교육, 경력 약사 교육, 임상지원업무, 특수복약지도, 무균 주사 조제 업무에 있어서 병원 약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 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설문지의 모든 문항들은 5단계 Likert형 척도를 이용하여 ‘매우 불만족’(1), ‘불만족’(2), ‘보통’(3), ‘만족’(4), ‘매우 만족’(5)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 그러므로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재직기간보다 실제 업무 수행여부에 영향을 받으리라 사료되며, 이를 개선안에 반영하고자 신입약사의 교육 시 실무교육을 집중보강하고 업무교육은 축소하였다. 그리고 현재 시행중인 필기 시험과 더불어 주관적 평가인 자가 평가(self-assessment tool)를 실시하고자 하였으며, 핵심분야 식별을 용이하게하여 개선의 여지를 두고자 하였다. 그러나 실무집중교육과 교육만족도는 추후 관련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사료된다.
  • 또한 연구 능력을 키우고 직업의 미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하고2) 교육 표준을 채택함으로 전문적 서비스가 최적의 의료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끝으로 효과적인 약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이대목동병원 뿐만 아니라 2019년 개원 예정인 이대서울병원에서 양질의 안전한 약료 서비스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제한된 약사의 인력에도 불구하고 병동 회진 및 다학제 팀으로의 참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1) 임상지원업무 역시 증가함에 따라 통합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원 약사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능력을 키우고 직업의 미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하고2) 교육 표준을 채택함으로 전문적 서비스가 최적의 의료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끝으로 효과적인 약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이대목동병원 뿐만 아니라 2019년 개원 예정인 이대서울병원에서 양질의 안전한 약료 서비스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외의 병원약사대상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한 상급병원의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국내 유사병원과 비교조사하였다. 제한된 약사의 인력에도 불구하고 병동 회진 및 다학제 팀으로의 참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1) 임상지원업무 역시 증가함에 따라 통합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원 약사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 약사의 역할이 변화되는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병원약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속적 교육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국, 미국, 일본과 병원 약사 전문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외국사례를 통하여 전반전 병원 약사 교육의 큰 틀을 이해하고 타 병원의 접목 가능한교육 프로그램 검토를 통해 이대 목동병원의 약사교육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개원 예정인 이대 서울이대병원에 빠른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전문약사라는 구체적 목표가 설정됨으로써 이러한 교육의 효과가 전문성 강화를 통한 약료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개선 안 시행 후 교육 만족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겠으며, 병원약사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비전 연구 역시 약사 역량 확대에 유용할 것이라 판단된다.
  • 또한 평가제도에 자가평가과 동료평가를 추가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이에 교육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외의 병원약사대상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한 상급병원의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국내 유사병원과 비교조사하였다. 제한된 약사의 인력에도 불구하고 병동 회진 및 다학제 팀으로의 참여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1) 임상지원업무 역시 증가함에 따라 통합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병원 약사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 능력을 키우고 직업의 미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를 확인하고2) 교육 표준을 채택함으로 전문적 서비스가 최적의 의료 결과를 제공하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병원약사회 주관 교육을 크게 네 분류로 분류하면 어떤 교육들이 있으며, 각 과정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11) 한국병원약사회 주관 교육은 다음과 같이 크게 네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한국병원약사회 주관의 학술세미나(1년에 2회 실시) 및 춘계학술대회, 추계학술대회(총회)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병원약학분과의 기본 ·심화과정이 있다. 기본 과정에는 감염 약료, 복약 지도, 소아 약료, 심혈관계 약료, 약물 부작용, 영양 약료, 의약 정보, 임상 시험, 장기 이식 약료 및 종양 약료가 있으며 심화 과정으로는 내분비 약료, 노인 약료, 약물 경제성 평가, 약물 부작용, 영양 약료, 의약 정보, 임상 약동학, 장기 이식 약료, 종양 약료 및 중환자 약료가 있다. 셋째는 임상약학 강좌로 1년 과정의 온라인 교육(e-learning)으로 진행되며, 1년 내 수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수 교육 점수 평가 후 수료증이 발급된다. 교육내용은 임상약학 기초 및 소화기계, 순환기계, 내분비계 및 신장, 산부인과, 비뇨기과, 신경과, 안과, 피부과, 이비인후과, 골관절계, 신경계 면역, 신경정신과, 호흡기계, 감염 및 조혈계, 암 관련 질환 치료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전문 약사’ 양성 과정이 있는데 전문 약사 자격시험은 병원약사회에서 지정한 교육과정 중 공통 과목을 200시간 이상, 전공과목을 160시간 이상 이수한 약사가 응시 가능하다. 전문 약사 재 인증은 전문 약사 자격증 취득 이후 재 인증 시점까지 7년 이상 정회원을 유지를 필수조건으로, 한국병원약사회가 정한 선택 조건 즉, 병원약학분과협의회에서 인정한 관련 교육을 7년간 28시간 이상 이수하거나 해당분야 관련 논문을 7년간 2편 이상 병원약사회지 등에 발표하거나 해당분야 관련 논문을 7년간 1편 이상 병원약사회지 등에 발표하고 병원약학분과협의회에서 인정한 관련 교육을 7년간 14시간 이상 이수하거나 전문약사자격시험에 재 응시하여 합격하는 경우 중 한 가지를 만족하는 경우 재 인증하고 있다.
부족한 병원약사의 인력과 임상 경험이 있는 병원 약사의 사직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로 하고 다학제 진료팀 업무수행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부족한 병원약사의 인력과 임상 경험이 있는 병원 약사의 사직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로 하고 다학제 진료팀 업무수행을 위해서는 여러 임상 업무를 동시에 수행 가능하도록 약사의 기본적 임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추가적 교육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며, 또한 개인별 차이를 줄이면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추가적 교육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서울·경기 지역의 주요 상급 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으로 조사를 실시한 병원들은 어디인가? 상기의 문헌고찰과 더불어 서울·경기 지역의 주요 상급 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으로 강북삼성병원, 건국대병원, 보라매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중앙대 병원과 이대목동병원 약제부의 약사 교육 프로그램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4개의 세션으로, 대상 병원 기초 정보 설문 5항목, 약제부내 신입약사 교육그램 설문 6항목, 새로운 업무 시작 시 교육프로그램 설문 4항목, 동일업무 지속 시 교육프로그램 설문 4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10.32429/jkshp.2017.34.4.002 Ko KM, Sumiko H, and Choi S et al. The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y Services in an Educational Hospital. J Kor Soc Healthsyst Pharm 2017;34:390-400. 

  2. Awaisu, A., Bakdach, D., Elajez, R.H., Zaidan, M.. Hospital pharmacists' self-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and confidence in conducting pharmacy practice research. Saudi pharmaceutical journal : SPJ : the official publication of the Saudi Pharmaceutical Society, vol.23, no.3, 257-265.

  3. Hospital pharmacist: Job description. Available from http://www.prospects.ac.uk/hospital_pharmacist_job_description.htm Accessed November 11 2017 

  4. Kim YJ. Study of the UK Pharmacy Education and the Pharmacy Registration Assessment: In England and Wales. Korean J Clin Pharm 2015;25:61-7. 

  5.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subcommittee. The Guide for pharmacy specialists 2nd: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press; 2015. 

  6.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y education.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of the Accreditation Council for Pharmacy Education. Available from https://www.acpe-accredit.org/ceproviders/CPD.asp Accessed November 11 2017 

  7. Wiedenmayer K, Summers R, and Mackie C et al. Developing pharmacy practice: a focus on patient care: handbook.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Available from http://www.who.int/iris/handle/10665/69399 Accessed October 7 2017 

  8. CPD for Pharmacists & Pharmacy Technicians in Great Britain. Available from www.uptodate.org.uk Accessed November 11 2017 

  9. Kim YJ. NHS Hospital Pharmacist Training Programme in UK. Korean J Clin Pharm 2015;25:209-15. 

  10. Murdaugh LB,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Competence Assessment Tools for Health-System Pharmacists 2015. Available from https://www.ashp.org/-/media/store-files/p4023-frontmatter.ashx Accessed October 15 2017 

  11.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Pharmacy specialist Operational regulations and Addendum. Available from http://www.kshp.or.kr Accessed November 11 2017 

  12. Son Y, Park HJ, and Won IY et al, A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checklist for the standardized approach to establish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intensive care unit medications in systemic manner by clinical pharmacist. 

  13. 10.32429/jkshp.2013.30.1.002 Lee JS, Han OY, and La HO. An Analysis o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Pharmacists Working at 8 General Hospitals in Korea. J Kor Soc Health-Systm Pharm 2013;30:20-33.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role of the pharmacist in the health care system: preparing the future pharmacist: curricular development : report of a third WHO Consultative Group on the Role of the Pharmacist, Vancouver, Canada, 27-29 August 199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iris/handle/10665/63817 Accessed November 11 2017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in collaboration with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Federation. Developing pharmacy practice: a focus on patient care 2006. Available from http://www.who.int/iris/handle/10665/69399 Accessed November 1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