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3, 2018년, pp.309 - 316  

방소연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중 건강설문조사와 건강검진에서 결측치가 없는 만 12~18세의 청소년 4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으로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의 Adult Treatment Panel III에서 제시한 기준을 청소년에게 맞게 변형한 Ford의 방법을 이용하고, SPSS WINDOW 23.0 Program을 활용하여 complex sampling method로 기술통계, t-test, $x^2$-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6.5%(소년 6.5%, 소녀 6.4%)이고,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것은 혈압 상승(28.8%)이며 다음은 중성지방 상승(21.3%), 복부둘레 과다(14.1%),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하(11.5%), 혈당 상승(7.8%)의 순이었다. 소년과 소녀 모두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유일한 요인은 체질량지수이고,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에 이환될 가능성은 1.6~2.3배 증가하였다(Adjusted OR=1.552~2.313, p=.001)이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하여 체질량지수를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 및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Metho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5, 404 adolescents aged 12-18 years were enrolled. We used the adolescent Ford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국민의 건강정보를 대표 하며 가장 최신의 자료인 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서,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대사증후군을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하는 국민건강영양 조사의 제6기 3차년도(2015년) 원시자료를 이용한 이차 분석(secondary analysis) 연구이며, 한국 청소년의 대사 증후군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확인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대사증후군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실태를 파악하고 대사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확인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1988년 Reaven이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혈증, 복부 비만 등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군집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Syndrome X로 처음 명명한 이후[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Adult Treatment Panel(ATP) Ⅲ[2]에서 혈당 상승, 혈압 상승, 중성지방 상승,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하, 복부비만 중 3가지 이상인 경우를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하며, 대사증후군은 현대인의 주요 건강문제로 관심을 받고 있다. 서구화된 식습관, 스마트폰 사용 및 좌식생활 증가 등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섭취 열량은 증가하고 신체활동이 감소 하며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시점에서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을 확인한 것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의 변화는 파악하지 못 하였다. 그러므로 인과관계를 추론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둘째, NCEP-ATP[21]의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을 기초로 청소 년용으로 수정한 Ford[22]의 진단기준에 따른 유병률만 확인하였으며, IDF[10]와 Cook[9]의 진단기준에 따른 유병률의 차이는 확인하지 못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6.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1988년 Reaven이 고혈당, 고혈압, 이상지혈증, 복부 비만 등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군집하여 발생하는 경우를 Syndrome X로 처음 명명한 이후[1],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Adult Treatment Panel(ATP) Ⅲ[2]에서 혈당 상승, 혈압 상승, 중성지방 상승,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저하, 복부비만 중 3가지 이상인 경우를 대사증후군으로 정의하며, 대사증후군은 현대인의 주요 건강문제로 관심을 받고 있다. 서구화된 식습관, 스마트폰 사용 및 좌식생활 증가 등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섭취 열량은 증가하고 신체활동이 감소 하며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 M. Reaven,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vol. 37, no. 12, pp. 1595-1607, 1988. 

  2.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Adult Treatment Panel III)", JAMA, vol. 285, no. 19, pp. 2486-2497, 2001. DOI: https://doi.org/10.1001/jama.285.19.2486 

  3. S. Y. Bang, "The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vol. 16, no. 10, pp. 7304-7042,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0.7034 

  4. J. M. Seo, N. K. Lim, J. Y. Lim, H. Y. Park,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 with socio- economic status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vol. 25, no. 4, pp. 247-254, 2016. 

  5. R. Ostovar, F. Kiani, F. Sayehmiri, M. Yasemi, Y. Mohsenzadeh, Y. Mohsenzadeh,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Iran: A meta-analysis", Electronic Physician, vol. 25, no. 9, pp. 5402-5418, 2017. 

  6. L. Raposo, M. Severo, H. Barros, A. C. Santos,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ortugal: the PORMETS study", BMC Public Health, vol. 17, pp. 555, 2017. 

  7. H. Y. Min, M. K. Kang,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pattern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nalysis of the sixth(2013-20145) Korean Nutri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vol. 18, no. 9, pp. 258-266,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9.258 

  8. M. J. Seo, J. W. Seong, K. J. Sohn, B. J. Ko, J. H. Han, S. M. Kim,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27, no. 10, pp. 798-806, 2006. 

  9. S. Cook, M. Weitzman, P. Auinger, M. Nguyen, W. H. Dietz, "Prevalence of s metabolic syndrome phenotype in adolescents: finding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88-1994", Archives of Pediatric Adolescent Medicine, vol. 157, no. 8, pp. 821-827, 2003. 

  10. E. S. Ford, C, Li, G. Zhao, W. S. Pearson, A. H. Mikdad,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olescents using the definition from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Diabetes Care, vol. 31, pp. 587-589, 2008. 

  11. P. W. Wilson, R. B. D'Agostino, H. Parise, L. Sullivan, J. B. Meigs, "Metabolic syndrome as a precursor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Circulation, vol. 112, no. 20, pp. 3066-3072, 2005. 

  12. X. Li, X. Li, F. Fang, X. Fu, H. Lin, Q. Gao, "Is Metabolic Syndrom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Recurrent Stroke: A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vol. 26, no. 12, pp. 2700-2705, 2017. DOI: https://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7.03.014 

  13. K. R. Park, Y. C. Cho, "Prevalence rates of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 with obesity indices among the health checkup examine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vol. 17, no. 3, pp. 153-162,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3.153 

  14. H. J. Park, S. K. Lee, "The influenc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6, pp. 3934-394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6.3934 

  15. E. G. Oh, S. H. Chu, S. Y. Bang, M. K. Lee, S. H. Kim, S. S. Hyun, J. Y. Jeon, J. A. Im, J. E. Lee, "Therapeutic lifestyle modification reduces plasma levels of the chemokines CRP and MCP-1 in subjects with metabolic syndrome", Biological Research for Nursing, vol. 15, no. 1, pp. 48-55, 2013. 

  16. E. J. Sung, "Metabolic syndrome phenotype in Korean children & adolescents: prevalence and change in characteristics over the period 1988-2011",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6. 

  17. Y. S. Yoon, "Trends of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Ulsan University, 2009. 

  18. K. Y. Cho, H. Park, J. W. Seo,"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vol. 11, no. 2, pp. 150-159, 2008. 

  19. E. J. Park,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ion with physical activit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the Korean NHANES survey, 1998-2008",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Seoul, 2011. 

  20.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3)", pp. 3-5, 2017. 

  21. S. M. Grundy, J. I. Cleeman, S. R. Daniels,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Circulation, vol. 112, no. 17, pp. 2735-2752, 2005. 

  22. E. S. Ford, C. Li, "Defining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ll the real definition please stand up?", Journal of Pediatrics, vol. 152, no. 2, pp. 160-164. 2008. DOI: https://doi.org/10.1016/j.jpeds.2007.07.056 

  23.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2008. 

  24. Y. G. Cho, H. J. Song, and J. H. Kang,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 30, pp. 261-268, 2009. 

  25. J. U. Lee, K. H. Yi,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9, no. 1, pp. 25-32, 2009. 

  26. M. Lambert, G. Paradis, J. O'Loughlin, E. E. Delvin, J. A. Hanley, E. Levy,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Quebec,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Related Metabolic Disorder, vol. 28, pp. 833- 841, 2004. 

  27. J. H. Kim, G. R. Lee, J. U. Chong,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Adolescents: 1998-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Oriental and Preventive Medical Society, vol. 15, no. 1, pp. 89-98, 2011. 

  28. J. A. Lee, Y. M. Le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4, no. 2, pp. 281- 290, 2017. DOI: http://dx.doi.org/10.21086/ksles.2017.04.24.2.281 

  29. P. L. Casavalle, F. Lifshitz, L. S. Romano, M. Pandolfo, A. Caamano, P. M. Boyer, P. N. Rodriguez, S. M. Friedman, "Prevalence of dyslipidemia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Pediatric Endocrinology Reviews, vol. 12, no. 2, pp. 213-223, 2014. 

  30. R. G. Oliveira, D. P. Guedes, "Performance of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of overweight and obesity as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Journal de Pediatria, vol. 93, no. 5, pp. 525-531, 2017. DOI: https://doi.org/10.1016/j.jped.2016.11.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