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PPH를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7.25{\mu}g/ml$)이 50% 에탄올 추출물($152.00{\mu}g/ml$)보다 약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0.33{\mu}g/ml$) >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1.12{\mu}g/ml$) > L-ascorbic acid ($4.95{\mu}g/ml$)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세포 보호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46.0 min)에서,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mu}g/ml$의 농도(52.3 min)에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 본 실험에서는 $0.4-12.5{\mu}g/ml$의 농도 범위를 설정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각질 형성 세포인 HaCaT 세포 보호 효과는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2.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70.0, 78.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대조군(65%)과 비교하여 유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내 ROS 소거 활성에서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ROS를 소거하였으며, $12.5{\mu}g/ml$ 농도에서 각각 45.2, 63.3%의 ROS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세포 내 ROS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와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한 인동덩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성분 분석을 통해 caffeic acid, luteolin, apigenin, coumaric acid를 확인하였다. Caffeic acid와 luteolin의 뛰어난 환원력과 킬레이팅 작용이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 보호 효과에 크게 기인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ROS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추출물이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동덩굴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of Lonicera japonica Thunb. 5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 of L. japonica Thun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세포막의 지질과산화반응을 개시하여 세포 손상을 촉진시킨다[14]. 따라서 본 실험법에서는 광증감제인 rose-bengal과 적혈구 세포를 이용하여 인동덩굴의 피부 광노화에서의 항산화능 및 세보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특히, 적혈구는 철을 함유하고 있어 암반응 상태에서도 Fenton 반응에 의한 다양한 ROS를 생성하고 세포막 및 구성 성분을 파괴시키기 때문에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데 적합하였다.
  • 다시 말해, 실제로 피부 세포 및 조직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종류의 활성산소종 생성 시스템인 Fe3+-EDTA/H2O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 평가나 광노화의 중요한 실험 모델 중 하나인 광증감 반응으로 생성되는 1O2 등의 활성산소에 의해 개시되는 세포막 파괴와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에 제시된 항산화능 평가와 함께 피부 각질 형성 세포인 HaCaT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및 자외선으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실험에서는 Fenton 반응에 의해 생성 된H2O2 , O2·− , ·OH와 같은 활성산소 소거능과 활성산소 생성 억제의 중요 수단인 킬레이팅 효과를 동시에 평가하여 총체적인 활성산소 소거능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피부 광노화에서 중요한 항산화 평가법을 이용하여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서 인동덩굴의 각종 ROS에대한 항산화능을 재평가함으로써 화장품에서 꼭 필요한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개발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tsui T. 1997. New Cosmetic Science. Elsevier, Netherlands. 

  2. Kammeyer A, Luiten RM. 2015.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29. 

  3. Lee DS, Lim MS, Kwan SS, Kim SY, Park SN. 2012.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ial analysis of Chamaecyparis obtusa leaf extract. Appl. Chem. Eng. 23: 93-99. 

  4. Won DH, Han SB, Hwang JP, Kim SJ, Park J, Park SN. 2012. Antioxidative effec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Lindera obtusiloba blume extrac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 297-304. 

  5. Gordon MH. 1996. Dietary antioxidants in disease prevention. Nat. Prod. Rep. 13: 265-273. 

  6. Park SN. 1997.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 75-132. 

  7. Slater TF. 1984. Free-radical mechanisms in tissue injury. Biochem. J. 222: 1-15. 

  8. Park SN, Kim SI, Ahn YJ, Kim EH. 2009.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and isolation of active ingredie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 159-169. 

  9.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10. Xiong J, Li S, Wang W, Hong Y, Tang K, Luo Q. 2013.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antibacterial bioactive compounds from Lonicera japonica Thunb. leaves. Food Chem. 138: 327-333. 

  11. Yoo HJ, Kang HJ, Song YS, Park EH, Lim CJ. 2008. Anti­angiogenic,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onicera japonica extract. J. Pharm. Pharmacol. 60: 779-786. 

  12. Han JM, Kim MH, Choi YY, Lee H, Hong J, Yang WM. 2015.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on type 2 diabetes via $PPAR-{\gamma}$ activation in Rats. Phytother. Res. 29: 1616-1621. 

  13. Hwang GS, Lee DH, Lee HJ.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Plant Resources Soc. Korea 173-173. 

  14. Kong BJ, Han SS, Ha JH, Park SN.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Ipomoea batatas L. Lam.(purple sweet potato) extracts cultured in Korea,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0: 423-430. 

  15. Gulcin I.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3, 4-dihydroxycinnamic acid). Toxicology 217: 213-220. 

  16. Sato Y, Itagaki S, Kurokawa T, Ogura J, Kobayashi M, Hirano T, et al. 2011.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properties of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Int. J. Pharm. 403: 136-138. 

  17. Pietta PG. 2000. Flavonoids as antioxidants. J. Nat. Prod. 63: 1035-1042. 

  18. Torel J, Cillard J, Cillard P.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19. Kammeyer A, Luiten RM. 2015.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29. 

  20. Prasad NR, Karthikeyan A, Karthikeyan S, Reddy BV. 2011. Inhibitory effect of caffeic acid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by oxidative mechanism in human HT-1080 fibrosarcoma cell line. Mol. Cell Biochem. 349: 11-19. 

  21. Seelinger G, Merfort I, Schempp CM. 2008.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f luteolin. Planta Med. 74: 1667-1677. 

  22. Seibert H, Maser E, Schweda K, Seibert S, Gulden M. 2011. Cytoprotective activity against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and cytotoxicity of flavonoids in C6 rat glioma cells. Food Chem. Toxicol. 49: 2398-2407. 

  23. Alves RC, Costa ASG, Jerez M, Casal S, Sineiro J, Nunez MJ, et al. 2010. Antiradical activity, phenolics profile, and hydroxymethylfurfural in espresso coffee: influence of technological factors. J. Agric. Food Chem. 58: 12221-12229. 

  24.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