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노인의 구강상태와 저작능력 비교연구
A Study of Comparative the Chewing Ability and Oral Health Status of some Elderly Peopl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1, 2018년, pp.25 - 33  

최은실 (고려대학교 보건과학과) ,  이영수 (선문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f the based on their oral health status and the study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uture oral health related policies for the elderly. Methods : A total of 50 elderl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Oral exa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시 일부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여러 경로당을 방문하지 못하여 표본수가 작았다. 따라서 데이터 분석과정에서 작은 표본수와 저작 능력의 정규성을 가정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비모수 분석을 실시해 최대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모집된 대상자의 편향과 치아상실 수의 편차가 매우 큰 점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노인의 결과로 해석에는 무리가 있다.
  • 이전의 연구에서 주로 치아상태 또는 저작능력 등에 따른 영양소 섭취 또는 삶의 질 연구(김다혜와 황수정, 2016)는 진행되었지만 구강상태를 더 세분화하여 분류한 저작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지역 노인의 구강상태에 따른 저작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구강보건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구강상태 변화에 따라 음식저작의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일부 노인의 구강상태를 확인하였으며, 구강상태와 저작능력을 비교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저작능력과 구강상태의 관련성을 주요하게 살펴보고 논의하고자 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저작능력을 살펴본 결과, 저작능력은 가족의 형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매우 흥미로운 결과를 보고하였다. 여자노인의 영양소 섭취와 가족형태를 살펴본 연구에서도 독거노인의 칼슘, 지방의 섭취가 낮은 것으로 보고하여, 영양소와 가족형태의 관련성을 보고한바 있다(이현숙과 장문정, 1999).
  • 노인의 구강건강을 위해서 지역사회의 관심이 필요하며, 무료구강검진을 시행사업의 확대, 또는 지역사회 민간 의료기관 연계 등 노인의 구강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악관절 관련 소리 및 통증, 개구장애, 편측 저작 등 다양한 구강상태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여러 구강상태와 저작능력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구강조직의 변화에 따른 구강상태를 고려하지 못하였는데 향후에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미각감소, 타액 감소 등을 살펴보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 구강상태 중 치과보철물상태와 틀니필요도와의 저작기능을 살펴본 연구(최미숙 등, 2014)에서 구강 내 보철물이 없을 경우 저작기능의 불편함이 적게 나타났으며, 구강내 틀니필요에서 저작기능 불편이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틀니를 실제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고 저작기능 역시 30가지 음식의 저작 능력을 본 것으로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틀니여부와 저작능력의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작은 표본수로 인한 한계점 일수 있다고 생각된다.
  • 일부지역 노인의 구강상태에 따른 저작관련성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노인들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구강보건정 책수립에 기초자료로 제시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이란 무엇인가? 구강은 소화기계통의 첫 번째 단계로 음식을 절단하는 치아와 타액을 분비하는 침샘, 미각을 느끼는 혀가 있어 소화 작용을 원활하게 하지만 상당수의 노인은 구강질환에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식욕부진을 경험하고 있다(정현자 등, 2011). 이처럼 구강건강에 문제가 발생하면 식사의 양과 질이 제한되어 체력유지와 건강관리가 어려워지고, 발음이 정확하지 않거나 심미적으로 영향을 주어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2014년 조사에 의하면 노인들의 구강건강문제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5 %는 구강건강문제를 어떠한 문제 보다 중요시 여기고 있다. 또한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의 국민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NES) 자료에서는 65세 이상의 노인 치주질환 유병율은 44.9 %, 저작 등의 불편으로 인한 구강기능 제한율은 49.9 %, 저작불편 호소율은 46.6 %로반 이상의 노인들이 구강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영해 등, 2014).
구강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어떤일이 발생하는가? 구강은 소화기계통의 첫 번째 단계로 음식을 절단하는 치아와 타액을 분비하는 침샘, 미각을 느끼는 혀가 있어 소화 작용을 원활하게 하지만 상당수의 노인은 구강질환에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로 인해 식욕부진을 경험하고 있다(정현자 등, 2011). 이처럼 구강건강에 문제가 발생하면 식사의 양과 질이 제한되어 체력유지와 건강관리가 어려워지고, 발음이 정확하지 않거나 심미적으로 영향을 주어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대인관계 및 사회활동이 원활하지 못하면 고립이나 사회적 소외감을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정신·사회·심리적으로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하였다(김설희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남희, 김현덕, 한동헌 등(2006). 서울지역 노인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주관적 구강증상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2), 141-150. 

  2. 김다혜, 황수정(2016). 일부노인의 저작강도별 음식섭취 능력과 잔존치아수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치위생과학회지, 16(1), 53-61. 

  3. 김설희, 임선아, 박수정 등(2004). 구강건강 영향지수를 이용한 삶의 질과 관련된 구강건강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4), 559-569. 

  4. 배윤호, 이희경(2004). 도시 재택노인의 저작능력과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 영남의대학술지, 21(1), 51-59. 

  5. 서경현(2006). 고령화 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질. 한국심리학회지, 12(5), 133-147. 

  6. 원영순, 김지현, 김수경(2009). 서울 일부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증상과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9(4), 375-380. 

  7. 이현숙, 장문정(1999). 가족형태에 따른 여자 노인의 영양소 섭취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8(4), 934-941. 

  8. 이희경, 이영권(1999). 경북지역 장수노인의 저작능력과 건강상태. 영남의대학술지, 16(2), 200-207. 

  9. 정영해, 조유향(2014). 전.후기 노인의 건강행위, 건강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 대한보건연구, 40(1), 55-64. 

  10. 정현자, 정애화, 김혜진(2011).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고혈압 관련 건강관리 및 구강관리 상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11), 4852-4860. 

  11. 최연희, 진혜정, 김은경 등(2013). 국가차원의 구강건강 조사체계 비교: 미국과 한국.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7(3), 167-171. 

  1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전략개발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1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과 복지, pp.214-220. 

  14. 허익강, 이태용, 동진근 등(2010). 일부 노인의 치과보철물 상태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철학회지, 48(2), 101-110. 

  15. Allard JP, Aghdassi E, Mcarthur M, et al(2004). Nutrition risk factors for survival in the elderly living in Canadian long-term care facilities. J Am Geriatr Soc, 52(1), 59-65. 

  16. Chen J(2015). Food oral processing: Mechanisms and implications of food oral destruction. Trends Food Sci Tech, 45, 222-228. 

  17. Dean M, Grunert KG, Raats MM, et al(2008). The impact of personal resources and their goal relevance on satisfaction with food-related life among the elderly. Appetite, 50, 308-315. 

  18. Ejvind BJ(2004). 노인을 위한 치과보철학. 서울, 한국퀸 테센스출판. 

  19. Kim BI, Jeong SH, Chung KH, et al(2009). Subjective food intake ability in relation to maximal bite force among Korean adults. J Oral Rehabil, 36, 168-175. 

  20. Massler M(1978). Geriatric dentistry: the Problem. J Prost Demt, 40(3), 324-325. 

  21. Walls AW, Steele JG(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nutrition in older people. Mech Ageing Dev, 125(12), 853-857. 

  22. Padiha DM, Hilgert JB, Hugo FN, et al(2008). Number of older teeth and mortality risk in the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63, 739-744. 

  23. Park JY, An HJ, Jung SU, et al(2013). Characteristics of the dietary intake of Korea elderly by chewing ability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J Nutr Health, 46(3), 285-295. 

  24. Petersen PE, Bourgeois D, Ogawa H, et al(2005). The global burden of oral diseases and risk to ral health.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3(9), 661-669. 

  25. Wolff A, Ship JA, Tylenda CA, et al(1991). Oral mucosal appearance is unchanged in healthy, different-age person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71, 569-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