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계측지역의 위성강우 기반 가뭄감시 평가
Evaluation of Drought Monitoring Using Satellite Precipitation for Un-gaged Basins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2, 2018년, pp.55 - 63  

장상민 (Climate Applica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윤선권 (Climate Applica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이성규 (Climate Predic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  이태화 (School of Agricultural Civil & Bio-Industri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경원 (Climate Application Department, APEC Climate Center)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tions of near real-time drought monitoring using satellite rainfall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un-gaged basins. We used AWS data of Yongdam-Dam, Hoengseong-Dam in Korea area, the meteorological station of Nakhon Rachasima, Pak chong for test-bed to evaluate the val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ERSIANN-CDR, TRMM TMPA, GPM IMERG 등의 위성 기반으로 추정된 강우 자료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한반도와 미계측지역을 대상으로 EDI 가뭄지수를 산출하고,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PERSIAN-CDR, TRMM TMPA, GPM IMERG위성강우 자료를 기반으로 EDI 지수를 산출하고 한반도 지역에 대한 가뭄 감시의 기능을 평가하고, 또한 위성의 장점 중의 하나인 미계측지역에 대해 위성기반 가뭄 감시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태국 람타공 유역을 대상으로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한반도 지역의 가뭄감시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의 용담댐과 횡성댐을 테스트베드지역으로 선정하고 TRMM TMPA, GPM IMERG데이터 기반 EDI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지상관측자료로부터 산출된 EDI 지수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두 지역의 상관계수와 결정계수는 각각 0.
  • 본 연구에서는 위성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일 단위 (Daily) 실시간 가뭄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수문학적 가뭄과 연계한 위성가뭄 모니터링 시스템구축을 실시하고자 해당 댐유역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위성으로부터 관측・가공한 가뭄모니터링 정보와 댐 유입량 정보를 검증 (Calibration)할 수 있는 계측지역과, 수문학적 가뭄감시를 위한 토양수분자료의 보정 (Validation)이 용이한 지역을 대상 유역으로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의 특징으로 인한 연구진행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가뭄은 시작과 종료를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가뭄과 관련된 연구는 가뭄을 정량화하여 지수로 나타내는 가뭄지수 연구와 가뭄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거나 만들어진 기준을 바탕으로 가뭄 진행 단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다 (Kwon, 2006; Kwon et al., 2007; Park et al.
가뭄지수 지도에는 어떤게 있는가? , 2015). 현재 국내에서는 기상청, 수자원공사, 농촌진흥청 등의 유관기관에서는 주로 지점자료를 이용하여 팔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표준강수지수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유효가뭄지수 (Effective Drought Index, EDI), 정상강우비율 (Percent of Normal), Soil Moisture Index (SMI), Crop Moisture Index (CMI) 등의 가뭄지수 지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뭄 상황을 모니터링 하고 있으나, 지점자료기반의 가뭄지수는 공간해상도 측면에서 품질이 떨어지고 정량적으로 표현된 수치의 시간적 변동성을 고려하기 어려우므로 연속적인 가뭄 모니터링에 있어 한계를 가지고 있다(Jeong et al., 2017).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이상기상 현상 중, 가뭄으로 인한 피해는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가? 최근 급변하는 기후변화와 이상기상 현상의 영향으로 홍수, 태풍, 산사태, 폭설, 가뭄, 산불 등 대규모 자연재해가 과거에 비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규모가 점차 대형화・광역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NDMI, 2014). 특히, 가뭄의 경우, 홍수 등의 다른 수문학적 재해에 비해 진행 속도가 느리지만, 상대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광역적으로 피해를 유발하여 그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2014년과 2015년에는 평년보다 절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강우량으로 인해 강원・영서를 비롯한 경기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43년 만에 극심한 가뭄이 초래되었으며,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계속 심화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kinremi, O. O., and S. M. McGinn, 1996. Evaluation of the Palmer Drought Index on the Canadian Prairies. Journal of Climate, 9: 897-905. doi:10.1175/1520-0442(1996)009 2.0.CO;2. 

  2. Baek, S. G., H. W. Jang, J. S. Kim, and J. W. Lee, 2016.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the satellite-based vegetation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49(4): 305-314. doi:10.3741/JKWRA.2016.49.4.305. 

  3. Byun, H. R., and D. A. Wilhite,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12: 2747-2756. doi:10.1175/1520-0442(1999)012 2.0.CO;2. 

  4. Ghulam, A., Q. Qin, T. Teyip, and Z. Li, 2007. Modified perpendicular drought index (MPDI): a real-time drought monitoring method,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 Remote Sensing 62(2): 150-164. doi:10.1016/j.isprsjprs.2007.03.002. 

  5. Guttman, N. B., 1998. Comparing the Palmer Drought Index and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4: 113-121. doi:10.1111/j.1752-1688.1998.tb05964.x. 

  6. Gu, Y., J. F. Brown, J. P. Verdin, and B. Wardlow, 2007. A five-year analysis of MODIS NDVI and NDWI for grassland drought assessment over the central Great Plains of the United Stat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06407. doi:10.1029/2006GL029127. 

  7. Jang, S., J. Rhee, S. Yoon, T. Lee, and K. Park, 2017. Evaluation of GPM IMERG Applicability Using SPI based Satellite Precip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9(3): 29-39 (in Korean). doi:10.5389/KSAE.2017.59.3.029. 

  8. Jeong, J., D. Kim, and M. Choi, 2017.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on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for Drought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7(3): 69-77 (in Korean). doi:10.9798/KOSHAM.2017.17.3.69. 

  9. Jeong, S., and S. C. Shin, 2006. The application of satellite imagery in droughts analysis of large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4(2): 55-62 (in Korean). 

  10. Karnieli, A., N. Agam, R. T. Pinker, M. Anderson, M. L. Imhoff, G. G. Gutman, N. Panov, and A. Goldberg, 2010. Use of 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for drought assessment: merits and limitations, Journal of Climate, 23(3): 618-633. doi:10.1175/2009JCLI2900.1. 

  11. Keyantash, J., and J. A. Dracup, 2002. The quantification of drought: An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83: 1167-1180. 

  12. Kim, D. W., 2010. A Statistical Approach to Historical Droughts over Korea,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3. Kwon, H. J., 2006. Development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method based on SWSI (Surface Water Supply Index).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14. Kwon, H. J., H. J. Lim, and S. J. Kim, 2007.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district using modified SW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22-34 (in Korean). 

  15. Narasimhan, B., 2004. Development of indices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using a spatially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Ph.D.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16. NDMI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4. Application Plan Research of National Satellite Images for Disaster Management, pp. 1-207 (in Korean). 

  17. Oh, T. S., Y. I. Moon, S. S. Kim, and G. S. Park, 2011. Frequency Analysis of Meteorologic Drought Indices using Boundary Kernel Density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1(2B): 87-987 (in Korean). 

  18. Park, M .J., H. J. Shin, Y. D. Choi, J. Y. Park, and S. J. Kim, 2011.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 165-170 (in Korean). doi:10.5389/KSAE.2011.53.6.165. 

  19. Shin, H. J., M. J. Park, E. H. Hwang, H. S Chae, and S. J. Park, 2015. A Study of Spring Drought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 145-157 (in Korean). doi:10.11108/kagis.2015.18.4.145. 

  20. Son, K. H., D. H. Bae, and H. S. Cheong, 2015. Construction & Evaluation of GloSea5-Based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System. Atmosphere, 25(2): 271-281 (in Korean). doi:10.14191/Atmos.2015.25.2.271. 

  21. Wang, L., and J. J. Qu, 2007. NMDI: A normalized multi-band drought index for monitoring soil and vegetation moisture with satellite remote sensing,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20405. doi:10.1029/2007GL03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