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 Agar diffusion test를 통해 지모 뿌리 추출물의 항균활성 확인 결과 호기성 그람 양성 균주인 S. aureus에서 추출물 및 모든 분획물에서 저해환을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메틸파라벤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2. 최소저해농도(MIC)와 최소사멸농도(MBC/MFC)를 통해 더 정확한 지모 뿌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곰팡이균인 A. niger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서 MIC 농도를 확인하였고, 특히 호기성 그람 양성 균주인 S. aureus와 호기성 그람 음성 균주인 P. aeruginosa 그리고 진균인 C. albicans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물이 낮은 농도에서 각 균주를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DPPH법을 통해 지모 뿌리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FSC_{50}$)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것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3.19{\mu}g/ml$)이고 아글리콘 분획물($71.06{\mu}g/ml$), 50% 에탄올 추출물($146.2{\mu}g/ml$) 순서로 나타났다. 4. 지모 뿌리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_{50}$)을 확인하기 위해 luminol 발광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5{\mu}g/ml$)과 아글리콘 분획물($1.4{\mu}g/ml$)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L-ascorbic acid ($1.3{\mu}g/ml$)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며 높은 총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약 11배 더 높은 활성을 띄는 것을 확인하였다. 5. $^1O_2$으로 유도된 세포 파괴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tau}_{50}$)를 확인한 결과 지모 뿌리 추출물과 분획물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50% 에탄올 추출물은 $8{\mu}g/ml$의 농도(34.5 min)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4{\mu}g/ml$의 농도(64.4 min)에서, 아글리콘 분획물은 $8{\mu}g/ml$의 농도(215.9 min)에서 가장 높은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6. 지모 뿌리 추출물의 HaCaT 세포독성평가를 진행한 결과, 본 실험에서는 $0.02-2{\mu}g/ml$로 농도를 설정하여 세포보호실험을 진행하였다. 7.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아글리콘 분획물의 최대 생존율은 각각 86.23, 86.59 및 89.70%를 나타냈으며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을 각각 8.07, 8.42 및 11.53% 증가시켰다. 8. HaCaT세포에 UVB를 조사하여 세포 내 ROS 소거활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자외선으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서 아글리콘 분획물은 $2{\mu}g/ml$ 농도에서 UVB를 처리한 양성 대조군 대비 41.77%까지 세포내 ROS를 감소시켰다. 9. 실험을 통해 높은 생리활성을 나타낸 지모 뿌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TLC 및 LS/ESI-MS를 통해 성분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mangiferin, isomangiferin, timosaponin-A-III, nyasol을 확인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지모 뿌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세포보호효과를 통해 천연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ts and fractions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were prepared and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components were analyze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were $78{\mu}g/ml$ and $31{\mu}g/ml$, respectively, for Staphylococcus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 신체에서 피부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사람 신체의 최외각 보호 장벽인 피부는 자외선이나 미생물 등의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최근에는 공해 및 미세먼지 등 다양한 환경 변화가 피부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소재 개발 및 화장품에의 응용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지모는 무엇인가? 하지만 합성 항산화제는 과량 사용시 안전성이나 일반 소비자들의 거부감 때문에 보다 안전하다고 소구되는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여 제품에 응용하려는 연구들이 계속되고 있다[9]. 지모는 백합과(Liliacease)에 속하는 뿌리 줄기로 굵고 옆으로 뻗으며, 높이는 60−90 cm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한국에서도 재배된다.
지모의 원산지는? 지모는 백합과(Liliacease)에 속하는 뿌리 줄기로 굵고 옆으로 뻗으며, 높이는 60−90 cm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한국에서도 재배된다. 지모는 항염[10−12] 및 항균[13] 등의 효과가 있응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iom SJ. 2004. Preservation of medicines and cosmetics, pp. 484-513. Russell, Hugo & Ayliffe's Principles and Practice of Disinfection, Preservation & Sterilization. 

  2. Choi EY. 2015. Effect of phenoxyethanol and alkane diol mixture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septic ability in cosmetics. Korean J. Aesthet. Cosmetol. 13: 213-220. 

  3. Andersen FA. 2008. Final amended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methylparaben, ethylparaben, propylparaben, isopropylparaben, butylparaben, isobutylparaben, and benzylparaben as used in cosmetic products. Int. J. Toxicol. 27: 1-82. 

  4. Routledge EJ, Parker J, Odum J, Ashby J, Sumpter JP. 1998. Some alkyl hydroxy benzoate preservatives (parabens) are estrogenic. Toxicol. Appl. Pharmacol. 153: 12-19. 

  5. Lundov MD, Opstrup MS, Johansen JD. 2013. Methylisothiazolinone contact allergy-a growing epidemic. Contact. Dermatitis. 69: 271-275. 

  6. Passi S, Picardo M, De Luca C, Breathnach AS, Nazzaro-Porro M. 1991. Scavenging activity of azelaic acid on hydroxyl radicals in vitro. Free Radic. Res. 11: 329-338. 

  7. Bendich A, Machlin LJ, Scandurra O, Burton GW, Wayner DDM. 1986. The antioxidant role of vitamin C. Free Radic. Biol. Med. 2: 419-444. 

  8. Kwon J, Kondaji G, Song S, Kim C, Lee K, Kim WK, et al. 2013. Synthesis of naturally occurring norlignan ( ${\pm}$ )-nyasol. Bull. Korean Chem. Soc. 34: 1247-1249. 

  9. Aquino R, Morelli S, Tomaino A, Pellegrino M, Saija A, Grumetto L, et al. 2002. Antioxidant and photoprotective activity of a crude extract of Culcitium reflexum HBK leaves and their major flavonoids. J. Ethnopharmacol. 79: 183-191. 

  10. Chae S, Piao MJ, Kang KA, Zhang R, Kim KC, Youn UJ, et al. 2011.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by mangiferin isolated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5: 2321-2325. 

  11. Kang M, Jung I, Hur J, Kim SH, Lee JH, Kang JY, et al. 2010.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WIN-34B, a new herbal formula for osteoarthritis composed of Lonicera japonica Thunb and 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 in vivo. J. Ethnopharmacol. 131: 485-496. 

  12. Kim HS, Song JH, Youn UJ, Hyun JW, Jeong WS, Lee MY, et al. 2012. Inhibition of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and MMP-9 expression by mangiferin isolated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Eur. J. Pharmacol. 689: 38-44. 

  13. Park YJ, Ku CS, Kim MJ, Lee MK, Kim KO, Ryu HW, et al. 2015. Cosmetic activities of nyasol from the rhizomes of Anemarrhena asphodeloide. J. Appl. Biol. Chem. 58: 31-38. 

  14. Park SN, Kim SY, Lim GN, Jo NR, Lee MH. 2012. In vitro skin permeation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flavonoids isolated from Suaeda asparagoides extracts. Ind. Eng. Chem. Res. 18: 680-683. 

  15. Kim HJ, Jang HN, Bae JY, Ha JH, Park SN. 2014. Antimicrobial activity, quantification and bactericidal activities of licorice active ingredien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2: 386-392. 

  16. Park SN. 1997.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 75-132. 

  17. Kim KM, Kim AR, Kim AY, Ha JH, Xuan SH, Jeong YJ, et al. 2017.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 of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extracts against oxidative stress. Korean J. Pharmacogn. 48: 125-133. 

  18. Ahn DJ, Kwak YS, Kim MJ, Lee JC, Shin CS, Jeong KT. 2000.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Med. Crop Sci. 8: 109-116. 

  19. Afaq F, Mukhtar H. 2006. Botanical antioxidants in the prevention of photocarcinogenesis and photoaging. Exp. Dermatol. 15: 678-684. 

  20. Scharffetter-Kochanek K, Brenneisen P, Wenk J, Herrmann G, Ma W, Kuhr L, et al. 2000. Photoaging of the skin from phenotype to mechanisms. Exp. Gerontol. 35: 307-316. 

  21. Chae S, Piao MJ, Kang KA, Zhang R, Kim KC, Youn UJ, et al. 2011. Inhibi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n human keratinocytes by mangiferin isolated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5: 2321-2325. 

  22. Wang F, Yan J, Niu Y, Li Y, Lin H, Liu X, et al. 2014. Mangiferin and its aglycone, norathyriol, improve glucose metabolism by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Pharm. Biol. 52: 68-73. 

  23. Kim CY, Ahn MJ, Kim J. 2006. Preparative isolation of mangiferin from Anemarrhena asphodeloides rhizomes by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J. Liq. Chromatogr. Relat. Technol. 29: 869-8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