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수어업의 갈치 자원평가 및 최적어획량 추정
Estimation of the Optimal Harvest and Stock Assessment of Hairtail Caught by Multiple Fisheries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40 no.4, 2018년, pp.237 - 247  

남종오 (국립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  조훈석 (국립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원환경경제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stimate optimal harvests, fishing efforts, and stock levels of hairtail harvested by the large pair bottom trawl, the large otter trawl, the large purse seine, the offshore long line, and the offshore angling fisheries by using the surplus production models and the current valu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어업인의 경영에 있어 현 수준의 어획량과 최적 수준 의 어획량 간의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해 보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갈치 생산가격 및 어업비용의 변화가 갈치의 자원량 및 어획량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파악해 보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시도한다. 이는 갈치의 생산가격과 어업비용의 변화 정도에 따라 갈치 어종의 어획량과 자원량 변화 등을 파악해 보기 위함인데, 이러한 접근은 향후 갈치 어가 변동에 대비하여 예측 가능한 갈치 자원량 변동 및 어획량 변화 등을 파악해 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시도해 보지 않았던 갈치를 어획하는 5개 주요 어업을 대상으로 CYP 모형을 통해 자원을 평가한 후 이를 지수 형태의 Gompertz 성장식과 현재가치 해밀토니안기법을 이용하여 동태적 최적 어획량과 어획노력량, 그리고 자원량을 추정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지수 형태의 수치적 도출 기법은 세계적으로도 거의 소개되지 않은 것으로 학문적으로 진전을 보인 연구라 할 수 있다.
  • 자율갱신자원의 최적해 추정에 관한 연구로는 Clark and Munro (1975)의 동태적 최적이론을 들 수 있다. 이 이론은 수산자원을 자본투자와 같은 개념으로 정의하고 현재 어획활동을 하지 않고 자원을 비축해 둠으로써 향후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상기 이론을 바탕으로 최와 김 (2009)은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고등어의 최적어획노력량과 최적어획량을 추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우선 갈치 어획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TAC 제도 및 신규 할당제 도입과 같은 예방적 조치를 취하기 위하여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 대형트롤어업, 대형선망어업, 근해연승어업, 근해채낚기어업에 의해 주로 어획되는 갈치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현재가치를 최적화하는 현재가치 해밀토니안기법을 이용하여 최적자원량, 최적어획노력량, 최적어획량을 추정해 보고자 한다. 이는 어업인의 경영에 있어 현 수준의 어획량과 최적 수준 의 어획량 간의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우선적으로 파악해 보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연근해어업의 갈치자원은 무엇으로 어획되고 있는가? 우리나라 연근해어업의 갈치자원은 쌍끌이대형저인망 어업, 대형트롤어업, 대형선망어업, 근해연승어업, 근해채낚기어업에 의해 약 17%, 3%, 18%, 20%, 5%가 어획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5개 근해어업이 갈치를 어획함에 있어 서로 상이한 단위의 어획노력량을 투입하여 갈치를 어획하고 있다.
동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것은? 또한 최와 김 (2011)은 2년 후 동일한 기법으로 수산자원회복계획 하에 있는 도루묵의 최적자원량, 최적 어획노력량, 최적어획량 수준을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남 (2011)은 동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전갱이와 고등어의 최적자원량, 최적어획노력량, 최적어획량을 추정하였다. 그 외에도 남 등 (2015)은 근해자망어업과 근해안강망어업의 어획노력량을 표준화 한 후 참조기의 최적량 수준을 추정한 바 있다.
동태적 최적이론이 제시하는 것은? 자율갱신자원의 최적해 추정에 관한 연구로는 Clark and Munro (1975)의 동태적 최적이론을 들 수 있다. 이 이론은 수산자원을 자본투자와 같은 개념으로 정의하고 현재 어획활동을 하지 않고 자원을 비축해 둠으로써 향후 어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상기 이론을 바탕으로 최와 김 (2009)은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되는 고등어의 최적어획노력량과 최적어획량을 추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a) Producer price index. http://kosis.kr Accessed 23 Sep 2017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b) Fishery management survey. http://kosis.kr Accessed 23 Sep 2017 

  3. Nam JO (2011) Determining optimal production of mackerel and jack mackerel caught by large purse seine based on Hamiltonian method. Ocean Policy Res 26(2):21-44 

  4. Nam JO, Sim SH, Kwon OM (2015) Estimating optimal harvesting production of yellow croaker by multiple fisheries using Hamiltonian method. J Fishery Business 46(2):59-74 

  5. Park CS, Lee DW, Hwang KS (2002) Distribution and migration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Korean waters. Korean J Fish Aquat Sci 5:1-11 

  6. Fishery Information Service (2016a) Catch and price. http://www.fips.go.kr Accessed 23 Sep 2017 

  7. Fishery Information Service (2016b) Registered fishing boat statistics. http://www.fips.go.kr Accessed 23 Sep 2017 

  8. Cho HS (2018) Analysis on resource effectiveness of major coastal fisheries by vessel buy-back program in Korea. M.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75 p 

  9. Choi JY, Kim DH (2009) Optimal production of selfrenewable fishery resources: the case of mackerel large purse seines fishery. J Fishery Business 20(1):109-127 

  10. Choi JY, Kim DH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determing optimal fishing effort and production levels of Danish Seine Fishery under the Sandfish Stock rebuilding plan. J Fishery Business 43(1):1-9 

  11. Clarke CW, Munro GR (1975) The ecomomics of fishing and modern capital teory: a simplified approach. J Environ Econ Manag 2:92-106 

  12. Clarke RP, Yoshimoto SS, Pooley SG (1992) A bioeconomic analysis of the North-western Hawaiian Islands lobster fishery. Mar Resour Econ 7(3):115-140 

  13. Fox WW (1954) An exponential surplus yield model for optimizing exploited fish populations. T Am Fish Soc 99(1):80-88 

  14. Gavaris S (1980) Use of a multiplicative model to estimate catch rate and effort from commercial data. Can J Fish Aquat Sci 37:2272-2275 

  15. Nam JO (2007) Korean fisheries: policies, stock assessment and compliance issues. Ph.D. Thesis, University of Rhode Island, 142 p 

  16. Schaefer MB (1954) Some aspects of the dynamics of populations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commercial marine fisheries. B Inter-American Trop Tuna Comm 1(2):27-56 

  17. Schnute J (1977) Improved estimates from the Schaefer production model: theoretical considerations. J Fish Res Board Can 34(5):583-603 

  18. Walters CJ, Hilborn R (1976) Adaptive control of fishing systems. J Fish Res Board Can 33(1):145-15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