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산업단지의 화학물질 배출량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s in Major Industrial Complexe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4 no.6, 2018년, pp.515 - 523  

김현지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총괄훈련과) ,  임지영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 ,  윤정현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총괄훈련과) ,  이지호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예방심사1과) ,  전준호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청수 (화학물질안전원 사고총괄훈련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a chemical substance emissions survey,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chemical emissions in industrial complexes and used them as basic data for chemical management. Methods: The emi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chemicals by major industrial complexes from 201...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의 주요 산업단지별 화학물질 배출량 특성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배출 · 이동량정보 홈페이 지에 공개된 지난 5년간의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주요 산업단지별 각종 화학물질 배출량 추이와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화학물질은 저장·운반시설, 제품제조공정 및 환경오염방지시설 등 16개 화학물질 취급(제조, 사용) 과정에서 환경 중으로 배출되고 있다.
  • 이번 연구에서는 화학물질 배출량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주요 산업단지에서 배출되고 있는 화학 물질의 특징을 분석하여 지역의 화학물질 배출 저감 및 환경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가 가져다 준 이점은 무엇인가? 현대사회는 경제개발 이후 단시간 내의 고도성장에 따라 인류에게 물질적 풍요와 편리성을 주었으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국민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1,2)
1960, 1970년대의 국내 산업 구조는 어떠했는가? 국내의 경우 1960년대부터 산업단지 개발을 시작 하였고, 최초의 산업단지인 울산공업지구가 중화학 공업의 입지를 위해 개발되었다. 1960년대 건설된 대부분의 산업단지는 수출 위주의 경공업에 중심을 두었고, 1970년대에는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기계· 화학 · 철강 · 선박 등의 산업 구조가 형성되었다. 1980년대 경제 산업 구조가 고도화되면서 다수의 산업단지와 공업지역이 자리 잡으면서 국내에서 유통 되는 화학물질의 종류와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배출되는 다양한 화학물질들을 국가에서는 어떻게 관리하고 있는가? 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화학물질의 위험 으로부터 국민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환경 부에서는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화학물질이 환경(대기, 수계, 토양)으로 배출되거나 폐기물 또는 폐수처 리업체로 이동되는 양을 파악하여 공개하는 PRTR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PRTR)제도를 1996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화학물질 배출량 조사의 경우 기업에서 자발적으로 취급하는 화학물 질이 환경으로 배출되는 양을 매년 보고하고 국민에게 공개하는 제도로 2000년 석유정제 · 화학 등 2개의 업종 80종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조사를 실시한 이후, 현재 2015년(2017년 공개기준) 약 3,600개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해화학물질, 발암물질, 중금속 등 총 415종 물질,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의한 39개 업종, 1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화학물질 배출량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National Emissions 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National Emissions Inventory Data and Documentation. 2002. 

  2. Hyaejeong Byun, Jeongim Park. A Review on Chemical Exposure and Related Health Risks in Laboratory Workers. J Environ Health Sci. 2010;36(6): 441-455. 

  3. Korea Industrial Complex Corporation. Available: http://www.kicox.or.kr [accessed 5 October 2018]. 

  4. Park HS, Chah S, Choi E, Kim H, Yi J (2002) Releases and transfers from petroleum and chemical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Atmos Environ. 2002; 36(31): 4851-4861. 

  5. Byoungjun Lee, Jung Heo, Dayoung Jung, Sunshin Kim, Hyeon-Su Ryu, Jian-Fei Shuai, Min-Ji Choi, Sung-Guk Im, Wonho Yang. Cor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Exposure and Biological Monitoring for Airborne Toluene in an Industrial Complex and General Environments. J Environ Health Sci. 2017; 43(4): 324-333. 

  6. Lopez-Aparicio S, Guevara M, Thunis P, Cuvelier K, Tarrason L. Assessment of discrepancies between bottom-up and regional emission inventories in Norwegian urban areas. Atmos Environ. 2017; 154: 285-296. 

  7. Phetxumphou K, Dietrich AM, Shanaiah N, Smiley E, Gallagher DL. Subtleties of human exposure and response to chemical mixtures from spills. Environ Pollut. 2016; 214: 618-626. 

  8. JiYoung Im, HyunJi Kim, Minsun Kim, JiHo Lee, SangMok Lee, ChungSoo Lee. A Study on the Variation of Hazardous Pollutant Emissions in Korea from 2006 to 2015. J Environ Health Sci. 2018; 44(1): 15-23. 

  9.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NICS).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Report for 2015. 2016. 

  10. Fung A, O'rourke D. Reinventing Environmental Regulation from the Grassroots Up: Explaining and Expanding the Success of the Toxics Release Inventory. Environ Manage. 2000; 25(2): 115-127. 

  11. Na KS, Kim YP, Moon KC, Moon I, Fung K.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n industrial area of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2001; 35(15): 2747-2756. 

  12.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NICS). Chemical Statistics Survey Report for 2014. 2016. 

  13. In-Sub Kil, Duk-Hyun Kim, Dong-Jib Yang, Gu-Hoi Chung. Research om Emission Featur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Metal Producing/Processing Plants in Sihwa and Banwol Industrial Complex. J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2006; 5(3): 163-170. 

  14. Reena Kandyala, Sumanth Phani C Raghavendra, Saraswathi T Rajasekharan. Xylene: An overview of its health hazards and preventive measures. J Oral Maxillofac Pathol. 2010; 14(1): 1-5. 

  15. Ju-Cheol Park, Sun-Tae Kim, Kyu-Sung Lee. A Study on the VOCs Emission Characteristics in the Manufacture of Other Chemical Products. J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2005; 4(4): 223-233. 

  16.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ATSDR). Public Health Statement for Ethylbenzene. 2010. 

  17.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Agents Classified by the Iarc Monographs. 

  18. JiYoung Im, Bokyeong Kim, Hyunji Kim, Jeonghyeon Yun, HwaJin Heo, JiHo Lee, SangMok Lee, ChungSoo Le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cinogenic Pollutant Emissions and Cancer Incidence Rates in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18; 44(2): 160-168. 

  19. W Tanyanont, N Vichit-Vadakan.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health risks among residents in an area affected by a petrochemical complex in Rayong, Thailand. Southeast Asian J Trop Med Public Health. 2012; 43(1): 201-211. 

  20. Krautstrunk M, Neumann-Hauf G, Schlager H, Klemm O, Beyrich F, Corsmeier U, Kalthoff N, Kotzian M.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transport of air pollutants over East Germany. Atmos Environ. 2000; 34(8): 1247-1266. 

  21. Yoon SH, Tanaka H. Formation of N-nitrosamines by chloramination or ozonation of amines listed in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s (PRTRs). Chemosphere. 2014; 95: 88-95. 

  22.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Available:https://csc.me.go.kr [accessed 5 October 2018]. 

  23. Adamczyk J, Piwowar A, Dzikuc M. Air protection programmes in Poland in the context of the low emission. Environ Sci Pollut Res. 2017; 24(19): 16316-16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