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와 식초 유래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lberry extract and silk protein added yogurt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vinegar and kimchi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1, 2018년, pp.17 - 23  

정성엽 (Microbial Institute for Fermentation Industry) ,  강선아 (Dept. of Food & Nutrition,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  김민주 (Dept. of Food & Nutrition,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  강은선 (Dept. of Food & Nutrition,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  오현호 (Dept. of Food & Nutrition,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  이나라 (Dept. of Nanobiotronics, Hoseo University) ,  박선민 (Dept. of Food & Nutrition,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하고 식물성 젖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와 Bacillus acidiproducens로 발효시킨 기능성 발효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발효유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조사하고자 한다. 제조한 발효유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품질은 발효유의 총 페놀 함량 및 안토시아닌 함량, 점도, 색도 값을 측정하고 기호도를 조사하여 결정하였다. LP와 BA로 제조한 발효유는 대조균주인 YF과 유사한 pH와 산도를 나타내었으나,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는 유의적으로 낮은 pH값와 높은 산도를 나타내었다. 발효유의 색도는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높은 적색도와 낮은 명도, 황색도 값을 나타내었고, 생균수와 점도에서도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 <0.05). 생균수의 경우 BA + MS, LP + MS, YF, BA, LP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YF를 기준으로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와 첨가하지 않은 발효유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평가에서도 오디와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BA + MS, LP + MS, BA, YF, LP 순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식초에서 얻은 균으로 제조한 발효유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김치 및 식초 유래 유산균으로 발효유는 기존에 상업적으로 사용하는 유산균으로 제조한 것과 물리화학적 특징에 차이가 없었다. 더 나아가 오디추출물과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는 오디추출물과 실크 단백질이 첨가되지 않은 발효유보다 물리화학적 품질도 향상되고, 기호도도 높여서 향후 제품화 가능성도 기대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duce mulberry extract and silk protein (MS) added yogurt fermented with vegetable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acidiproducens) and to determine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referenc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젖산을 생성하여 발효유 제조가 가능한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균과 식초에서 분리한 Bacillus acidiproducens 균을 이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고, 기능성이 뛰어난 오디 추출물과 실크 단백질을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산균이란 무엇인가? 발효유를 제조하는데 쓰이는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유당이나 포도당을 이용하여 젖산을 형성하는 균으로(Kim 등, 2015) 젖산균이라고도 불린다. 섭취한 젖산균은 장까지 도달해 나쁜 균의 증식은 억제하고 좋은 균의 증식을 돕는 역할을 하며(Cho 등, 2011) 혈압감소(Seppo 등, 2003), 면역력 증가, 장 기능 활성화, 콜레스테롤 완화 등의 효과(Kim 등, 2015)가 있다.
섭취한 젖산균의 역할은 무엇인가? 발효유를 제조하는데 쓰이는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유당이나 포도당을 이용하여 젖산을 형성하는 균으로(Kim 등, 2015) 젖산균이라고도 불린다. 섭취한 젖산균은 장까지 도달해 나쁜 균의 증식은 억제하고 좋은 균의 증식을 돕는 역할을 하며(Cho 등, 2011) 혈압감소(Seppo 등, 2003), 면역력 증가, 장 기능 활성화, 콜레스테롤 완화 등의 효과(Kim 등, 2015)가 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장내 미생물은 사람의 건강과 질병에 큰 영향을 미치며(Kim 등, 2014)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발효유를 섭취하면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보고하는 연구(Bang 등, 2012; Jo 등, 2014)도 존재한다.
오디 + 실크 단백질이 첨가된 발효유로 색도를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오디 + 실크 단백질이 첨가된 발효유와 첨가 되지 않은 발효유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했다(Table 5). 오디 + 실크 단백질이 첨가된 발효유에서 명도와 황색도는 낮은값을, 적색도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오디가 적색도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YT, Lim KS, Huh CS (2006) Current state of functional yogurt in Korea. J Kor Dairy Technol Sci 24: 29-42 

  2. Bang MS, Lee SD, Oh SJ (2012) Probiotics and intestinal health. Korean J Dairy Sci Technol 2: 139-143 

  3. Celik S, Bakirci I (2003) Some properties of yoghurt produced by adding mulberry pekmez (concentrated juice). International J Dairy Technol 56: 26-29 

  4. Cho EK, Cho HY, Kim BC, Shin HH, Cho SC, Kook MC, Pyun YR (2011) Development of pre-treatment and mixed culture processes for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to produce a functional lactic acid beverage. Kor J Food Nutr 1: 117-123 

  5. Choi IS, Moon YS, and Kwak EJ (2012) Composition of resveratrol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30: 301-307 

  6. Conway PL, Gorbach SL, Goldin BR (1987)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in the human stomach and adhesion to intestinal cells. J Dairy sci 70: 1-12 

  7. Delzenne NM, Neyrinck AM, Backhed F, Cani PD (2011) Targeting gut microbiota in obesity: effects of prebiotics and probiotics. Nature Rev Endocrin 7: 639-646 

  8. Farnsworth JP, Li J, Hendricks GM, Guo MR (2006) Effects of transglutaminas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probiotic culture survivability of goat milk yogurt. Small Ruminant Res 65: 113-121 

  9. Giusti MM, Wrolstad RE (2001) Unit F1.2: Anthocyanins.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with UV-visible spectroscopy. In: Wrolstad RE, editor. Current protocols in food analytical chemistry. New York, USA, pp 1-13 

  10. Hyen CK (2004) Physiological activity of silk fibroin-derived peptides. Kor Soc Food Sci Nutr 9: 29-47 

  11. Jang KS, Cheong KS, Choi CH, Oh YJ (2003)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nd silk worm powder on blood sugar in db/db mice.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17: 756-764 

  12. Jo JH, Yang HS, Choi YJ, Lee SC, Choi BS, Park TY, Kim JK, Huh CK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otein-enriched fermented milk made with whey and soybean flour. Kor J Dairy Sci Technol 32: 121-129 

  13. Kadooka Y, Sato M, Imaizumi K, Ogawa A, Ikuyama K, Akai Y, Tsuchida T (2010) Regulation of abdominal adiposity by probiotics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in adults with obese tendencie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Clin Nutr 64: 636-644 

  14. Kim AJ, Yuh CS, Bang IS, Park HY and Lee GS (2007)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Nutr 1: 27-33 

  15. Kim DW, Yang TY, Lim JW, Lee KH, Cho SJ, Lee GH (2015) Study of lactic acid bacteria in yogurt on the market. J Sci Edu 1: 17-22 

  16. Kim HJ, Kang KM, Kim SJ, Im EO (2014) Recent update in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Kor J Microbiol 4: 265-274 

  17. Kim KH, Hwang HR, Jo JE, Lee SY, Kim NY,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229-1236 

  18. Kim YH (2004)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silk peptide bread. Korean Soc Food Sci Nutr 9: 48-61 

  19. Kwon DY, Daily JW, Kim HJ, Park SM (2010) Antidiabetic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on type 2 diabetes. Nutr Res 30: 1-13 

  20. Lee CH, Youn Y, Song GS, Kim YS (2011) Immuno-stimulatory effects of traditional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227-1234 

  21. Lee JY, Bae HC (2009) Preparation of fermented milk added with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and it's sensory characteristic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67-974 

  22. Lee SW (1988) The historical review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Kor J Dietary Culture 3: 331-339 

  23. Lee WJ, Lucey JA (2010) Form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yogurt. Asian-Aust Anim Sci 23: 1127-1136 

  24. Lee YJ, Kim SI, Han YS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extract. Korean J Food Nutr 21: 135-142 

  25. Liu X, Xiao G, Chen W, Xu Y, Wu J (2004) Quantification and Purification of mulberry anthocyanins with Macroporous Resins. J Biomed Biotechnol 5: 326-331 

  26. Molin G (2001) Probiotics in foods not containing milk or milk constitue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Lactobacillus plantarum 299v. Am J Clin Nutri 73: 380-385 

  27. Nho HJ, Jang SY, Park JJ, Yun HS, Park SM (2013) Browning prevention of black carrot extract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supplemented with black carrot extract. J Kor Soc Food Culture 28: 293-302 

  28. Park KY (1997) Carcinogenic stability,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function of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oods (Doenjang, Kimchi). Kor Soc Food Sci Technol 30: 89-102 

  29. Patras A, Brunton NP, O'Donnell C, Tiwari BK (2010) Effect of thermal processing on anthocyanin stability in foods; mechanisms and kinetics of degradation. Trends Food Sci Technol 21: 3-11 

  30. Sawatari Y, Sugiyama H, Suzuki Y, Hanaoka A, Saito K, Yamauchi H, Yokota A (2005) Development of fermented instant Chinese noodle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Food Microbiol 22: 539-546 

  31. Seppo L, Jauhiainen T, Poussa T, Korpela R (2003) A fermented milk high in bio-active peptides has a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in hypertensive subjects. Am J Clin Nutr 77: 326-330 

  32. Shin BK, Kang SA, Han JI, Park SM (2015)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adding black carrot extracts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J Korean Soc Food Culture 30: 370-376 

  33. Shin HS, Kim SM, Choi NK, Yang KH Kang MS (2009) The effect of fermented milk on viable cell count and biofilm form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6: 358-366 

  34. Shin SM, Song KY, Seo KH, Yoon YC (2012) A study on the quality of soymilk-derived yogurt during storage. Kor J Dairy Sci Technol 30: 83-92 

  35. Shin YS, Lee KS, Lee JS, Lee CH (1995)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aloe ver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Nutr 24: 254-260 

  36. Suh HJ, Kim YS, Kim JM, Lee H (200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urt starter cultur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144-147 

  37. Sung JM, Choi HY (2014) Effect of mulberry powder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690-697 

  38.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39. Yang JW, Jung SK, Song KM, Kim YH, Lee NH, Hong SP, Lee KH, Kim YE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ikhye added with mulberry (Morus alba L.) Fruit concentra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6: 44-54 

  40. Yeo JH, Lee KG, Kweon HY, Han SM, Park KH, Kim SS, Shin BS (2006) Application for dietary resources by silk protein. Korean J Seric Sci 48: 6-10 

  41. Yim SH, Park JH, Nam SH, Song JH, Cho YS, Lee HC (2012) Properies characterization of tea functional component GABA-containing fermeted milks. Kor Tea Soc 18: 56-68 

  42. Yuan Z, Xiaohong K, Yiqi H, Hui Y, Meilan W, Youhua, L, Guanghui X (2014) Effects of silkworm on lipid metabolism and serum adipose cytokine levels in ra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Chinese Remedy Clinics 4: 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