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남지역 삼층석탑의 이중기단 배열 유형 및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Correlation of Double Stylobate Arrangement in Three-story Stone Pagoda in Youngnam Area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7 no.6, 2018년, pp.7 - 18  

이준규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류성룡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ouble stylobat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in Yeongnam region and to divide the types of arrangements of the body-stone and roof-stone and find their correlation. Research objects are 47 three-story stone pagodas in Yeongnam region which have accurat...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석탑 기단부를 분석함으로써 기본 구조가 이루어지는 당위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하층기단과 상층기단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궁극적으로는 삼층 석탑 이중기단의 계통을 정리하고 시대에 따른 추이를 확인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다만 중석의 구성 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 건축적인 관점을 보완하여 조정·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는데, 중석과 갑석의 배열 현황을 중심으로 한 분류 기준에 시공성, 경제성, 구조성과 같은 개념이 추가된다면 석탑 기단부를 실증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석탑 기단부를 분석함으로써 기본 구조가 이루어지는 당위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하층기단과 상층기단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다. 궁극적으로는 삼층 석탑 이중기단의 계통을 정리하고 시대에 따른 추이를 확인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탑의 규모에 따른 중석과 갑석 석재 배열의 형식은? 다음으로 석탑을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후대로 갈수록 석탑의 규모가 작아지는데 그에 따라 중석과 갑석 모두 작아지는 면적에 적합한 유형으로 바뀌면서 중석과 갑석의 유형이 정형화되는 경향이 나타 난다. 규모가 작은 석탑의 중석에는 석재를 一자형으로 배열하는 형식을 주로 사용하고 갑석에는 선형의 석재를 주로 사용한다. 반면에 규모가 큰 석탑의 중석에는 ㄱ자형 석재를 모서리에 설치한 중석의 형식이 주로 나타나고 갑석에는 격자형의 석재를 주로 사용한다.
영남지역의 삼층석탑에서 이중기단에 주목한 이유는? 본 연구는 영남지역에 분포하는 이중기단의 삼층석 탑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기단에 주목한 것은 하층 기단과 상층기단을 동시에 분석하게 되면 석탑 기단을 구축하는 원칙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기단 중석과 갑석이 구성되는 석재의 배열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이기 때문에 중석과 갑석이 하나의 석재로 이루어진 경우를 배제하고 상하 기단이 모두 별석으로 구성된 삼층석탑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까지 진행된 석탑의 기단부에 관한 연구들은 어디에 주목하였나? 한국건축사 연구 분야에서 석탑에 관한 내용 역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석탑의 기단부에 관한 연구도 포함되어있다. 기단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중석과 갑석의 부재 수 변화, 중석에 표현된 탱주의 개수 변화, 기단부와 초층 탑신의 비례 등을 통한 석탑의 편년을 고찰하고 조성 시기를 추정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런데 최근 연구1)에서 기단부 중석과 갑석의 배열, 석재의 수, 기단부와 탑신의 비례 관계 등을 분류하여 이중기단 특성을 해석한 연구가 있어서 주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경남의 사지 I, 2009 

  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경남의 사지 II, 2011 

  3.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남도의 석탑 I, 2016 

  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남도의 석탑 II, 2017 

  5.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 2007 

  6.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I, 2008 

  7.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II, 2009 

  8.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V, 2010 

  9.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 2011 

  10.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I, 2012 

  11.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II, 2013 

  12.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VIII, 2014 

  13.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상북도의 석탑 IX, 2015 

  14.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수리보고서 I, 2017 

  15.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 해체수리 자료집 - 석탑편, 2012 

  16. 문화재청, 文化財大觀- 寶物篇石.造 I, 改訂版, 2004 

  17. 이근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기단 결구방식에 대하여 - 7-8세기 석탑을 중심으로, 역사와 경계, 2007, 147-193쪽 

  18. 이준규.류성룡, 영남지역 삼층석탑의 이중기단 결구 유형과 상관성, 한국건축역사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8.5, 207-210쪽 

  19. 천득염.정지윤.오창명, 한국석탑의 세부 명칭과 의미 고찰, 건축역사연구, 제27권, 3호, 2018, 59-72쪽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