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Influencing Factors of Awareness of Support for the Aged among Adolescent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31 no.3, 2018년, pp.203 - 213  

나은영 (국민건강보험공단) ,  김현숙 (신한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awareness of support to the elderly among adolescents. Methods: The 350 students of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survey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uring 11th~15th...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부양 문제에 직면하게 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노인부양의식과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고 노인부양 의식을 파악하여, 학교 교육 프로그램 및 사회 프로그램 계획과 청소년 지도지침의 방향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20~30년 후 노인부양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게 될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인지적 요인, 경험적 요인이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노인부양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 향상, 노인에 대한 편견 없는 태도 및 합리적인 노인부양의식의 향상을 위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 프로그램을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 인지적 요인 · 경험적 요인에 따라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세대의 노인 부양에 대한 시각과 가치관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로 진행 중인 우리나라 현실에서 청소년은 향후 증가된 노인세대를 부양하고 책임져야 할 가장 핵심에 서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청소년 세대의 노인 부양에 대한 시각과 가치관이 중요한 이유는 미래의 노인 세대를 부양할 미래의 자원으로 청소년의 가치관과 시각의 차이에 따라 노인 부양을 위해 투입할 서비스와 자원의 양 및 질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4].
우리 사회에 노인의 지위가 약화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사회는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농업 중심인 전통사회에서 가족의 실권자였던 노인의 지위가 약화되었고, 그 결과 노인들을 소외계층으로 전략시켰다. 가족에 의한 노인 부양은 오늘날 까지 지속되어온 부양형태로서 가족 안에서 정서적, 신체적, 경제적 부양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가장 효율적인 부양형태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 인구의 증가 추세는 어떠한가? 21세기 가장 눈에 띄는 사회현상 중의 하나는 급격한 고령 인구의 증가이다. 2000년에 이미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7%를 넘어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가 되었고, 2018년에 노인인구가 14.3%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접어들었다. 2026년에는 노인인구가 20%인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가 되리라 예상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6 Estimation of future population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November 15]. 

  2. Jeong DH. Study of youth's perceived family strength, parentsgrandparents' intimacy, and consciousness for supporting their parent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09;14(3):29-49. 

  3. Jung KH. Current status of family care-giving for older persons and policy implications.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Forum. 2003;79:22-32. 

  4. Kim YJ, Chang SC. Comparison of awareness of elderly support. Journal of Japanese Culture. 2008;39:211-229. https://doi.org/10.21481/jbunka..39.200811.211 

  5. Kim YH. A study on the state of the juveniles' consciousness of support for their aged parents. Journal of Research, Ulsan Science University. 2003;29(2):41-59. 

  6. Lim JS, Chung SD. Factors affecting the awareness of elderly support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young and middle age gener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7;58:37-66. 

  7. Tuckaman J, Lorge I. The influence of a course on the psychology of the adult on attitudes toward old people and elder workers. Journal of Gerontology, 1952;43:400-407. https://doi.org/10.1037/h0062469 

  8. Kim TH. A Study on elderly support in Korea: based on status of family support and support satisfactio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1981. p. 1-170. 

  9. Sim UJ. A comparative study on generation gap of awareness of elderly support: based on preparing support, support and passive support generation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1999. p. 1-117. 

  10. Gwak HW. A study on elderly image of adolescent perception: adolescents in Chungnam Dangjin-gun [master's thesis]. Daejeon: Hannam University; 2005. p. 1-75. 

  11. Kim YJ, Ham JH, Lee CS. A study on generation gap and variables of caregiving awareness: focused on views of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005;12(4):243-261. 

  12. Lee CS, Kim YJ.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motive and awareness: focused on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and residence.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2006;13(6):101-125. 

  13. Jeong HS, Lee JL, Park CM.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family support and care's socialization in the elderly.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1;21(1): 93-114. https://doi.org/10.4332/KJHPA.2011.21.1.093 

  14. Choi SW, Chung HJ, Seo BS. A Study on values of familism and awareness of parental support among students. Korea Life Science Academic Society. 1997;15:83-99. 

  15. Park YS, Park YJ, Nam IS.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of elderly parents care among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Korea Pyschological Society: culture and social problem. 2017;23(3):409-449. https://doi.org/10.20406/kjcs.2017.08.23.3.409 

  16. Choi YS, Oh YJ, Moon YJ.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older generations: focusing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elderly's contribution and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of Contents Association. 2015;15(5):228-241. https://doi.org/10.5392/jkca.2015.15.05.228 

  17. Kim YH. A study on the state of the juveniles' consciousness of support for their aged parents. Journal of Research, Ulsan Science University. 2003;29(2):41-59. 

  18. Kim YG. Family support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7;252:6-28. 

  19. Kim HK, Park CM.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care for the elderly: comparison analysis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group.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0;30(1):170-194. https://doi.org/10.15709/hswr.2010.30.1.170 

  20. Hong DG, Ha KY. Effect of grandchildren's solidarity with their grandparents on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2;11(2):107-121. 

  21. Park SL.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older adults and testing moderating effect of elder knowledge. Research of Social Science. 2015;22(1):279-302. 

  22. Lee MS, Yang SN. Effect of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senior citize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8):265-273. 

  23. Kim YJ, Chung SA. Adolescent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exploring the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perception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01;19(6):173-183. 

  24. Kim YJ, Lee CS. A study on awareness of living together with their off-springs in old age - from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3;10(3):65-82. 

  25. Jang YO. The influences of mother's support behavior for the grandpar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cohabitation with their grandparent on adolescent's perception toward the elderly.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2;22(1):191-207. 

  26. Lee NS. A study on supporting the aged. Korean Journal of Care Work. 2006;2(3):172-193. 

  27. Jeong HS, Lee JL, Park CM.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family support and care's socialization in the elderly.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1;21(1):93-114. https://doi.org/10.4332/KJHPA.2011.21.1.093 

  28. Kim WT, Cho MK. Comparative study of attitude for elderly of students in social welfare major among Korea and Jap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15;65:287-302. https://doi.org/10.18631/jalali.2015.65.016 

  29. Park IJ, Choi WS, Kim AH.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optimism and family-control on their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08;17(1):13-26. https://doi.org/10.5934/kjhe.2008.17.1.013 

  30. Lee JM, Lee SY. The Impact of Education of Gerontolog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mo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5;29:259-2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