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환자의 섬망 치료에서 멜라토닌의 효과에 관한 후향적 연구
Melatonin for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Patients : Retrospective Trial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2, 2018년, pp.112 - 118  

양정우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종우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강원섭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상민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영종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백종우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섬망은 신체 질환과 같은 기저 의학적 상태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뇌의 기능장애로 환자의 사망률을 높이고 치매의 위험도를 높이는 등 불량한 예후와 연관되어 있다. 기존 섬망의 치료에 주로 사용된 항정신병약제는 치료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추체외로 부작용 등에 대한 우려가 있다. 따라서 수면 주기 조절 및 섬망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멜라토닌 투여를 통해 섬망 호전 정도와 안전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불면을 동반한 섬망 증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 진료 의뢰되어 멜라토닌 2mg을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섬망 증상의 초기 중증도 및 멜라토닌 투여 후의 섬망 증상 변화 여부를 한국판 섬망 평가척도-98 개정판(K-DRS-R-98)과 CGI-S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부작용을 검토하였다. 결 과 총 21명의 환자가 불면을 동반한 섬망 증상으로 멜라토닌을 투여받았다. K-DRS-R-98 심각도 점수는 투약 전 $15.24{\pm}2.64$에서 투약 후 $6.57{\pm}5.42$로 감소하였으며 CGI-S 점수는 $4.14{\pm}0.48$에서 $2.81{\pm}0.93$로 감소하였다(p<0.05). 의무기록 상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약물의 기전 상 추체외로 증상과 QTc연장 등의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멜라토닌의 사용은 보다 안정성을 강화하면서 불면에 대한 효과와 함께 섬망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Delirium is one of the most common mental illnesses that can affect cognitive function. Melatoni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insomnia, and recent studies have shown a protective effect to prevent deliriu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16년 6월 1일부터 2018년 4월 31일까지 일 대학병원에 입원하여 불면을 동반한 섬망 증상을 보여 정신건강의학과에 자문 의뢰된 환자들 중, 멜라토닌 서방형 제제 2 mg을 1일 1회 취침 전에 경구 복용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해당 환자들은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해 멜라토닌을 단독으로 투여하였으며, 이후 섬망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항정신병약제는 처방되지 않았다.

대상 데이터

  • 연구 기간 동안 21명의 환자에게 멜라토닌이 투약 되었으며, 남자는 7명, 여자는 14명이었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77.

데이터처리

  •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투약 전후에 따른 K-DRS-R-98 심각도 점수 및 하위 척도 점수, CGI-S 점수의 변화량(투약 후 점수-투약 전 점수)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과 함께, 투약 전후의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해당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3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sion 23.
  •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역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투약 전후에 따른 K-DRS-R-98 심각도 점수 및 하위 척도 점수, CGI-S 점수의 변화량(투약 후 점수-투약 전 점수)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과 함께, 투약 전후의 변화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하였다.

이론/모형

  • 일차적 유효성 평가 척도로 한국판 섬망 평가 척도-98 개정판(Korean version of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K-DRS-R-98)23-25)을 사용하여 섬망 증상의 초기 심각도 및 약제 투여 후의 증상 변화 여부를 평가하였고, 수면의 변화는 K-DRS-R-98의 수면-각성주기 하위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차적 유효성 평가 척도로 전반적인 환자 질병 상태의 심각도, 기능 수준 및 호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ore (CGI-S)26)를 사용하였다. 또한 섬망의 발생 원인, 기저 질환, 멜라토닌 서방형 제제 투여 이후 부작용의 발생 여부를 의무기록을 통해 검토하였다.
  • 치료 전과 비교한 치료 후 효과 판단의 기준점은 최종 평가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일차적 유효성 평가 척도로 한국판 섬망 평가 척도-98 개정판(Korean version of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K-DRS-R-98)23-25)을 사용하여 섬망 증상의 초기 심각도 및 약제 투여 후의 증상 변화 여부를 평가하였고, 수면의 변화는 K-DRS-R-98의 수면-각성주기 하위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차적 유효성 평가 척도로 전반적인 환자 질병 상태의 심각도, 기능 수준 및 호전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ore (CGI-S)26)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은 신체 질환이나 약물의 중독 등 기저 의학적 상태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뇌의 기능장애로 인한 증후군이다. 이는 인지 변화를 동반하는 주의, 의식의 장애와 함께 수면, 정신운동 초조나 지체, 지각의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항정신병약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런 약물들은 섬망에 동반하는 초조 혹은 행동 증상들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긴 하지만, 이런 약물들이 예후를 좋게 하는지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또한 항정신병약제는 추체외로 증상, 과다 진정, 심전도 상의 corrected QT (QTc) 연장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일부 환자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있다.3,4)따라서 항정신병약제는 섬망의 치료에 널리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FDA의 승인을 받지 못했으며, 섬망의 예방과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다.
섬망과 함께 동반되는 장애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섬망은 신체 질환이나 약물의 중독 등 기저 의학적 상태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뇌의 기능장애로 인한 증후군이다. 이는 인지 변화를 동반하는 주의, 의식의 장애와 함께 수면, 정신운동 초조나 지체, 지각의 장애가 동반되기도 한다. 섬망은 환자의 사망률을 높이고 치매와 같은 지속적 인지 장애의 위험도를 높이는 등 불량한 예후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Inouye SK, Westendorp RG, Saczynski JS. Delirium in elderly people. Lancet 2014;383:911-922. 

  2. Cole MG.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m J Geriatr Psychiatry 2004;12:7-21. 

  3. Neufeld KJ, Yue J, Robinson TN, Inouye SK, Needham DM. Antipsychotic Medic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Geriatr Soc 2016;64:705-714. 

  4. Markowitz JD, Narasimhan M. Delirium and Antipsychotics: A Systematic Review of Epidemiology and Somatic Treatment Options. Psychiatry (Edgmont) 2008;5:29-36. 

  5. William B, Yesne A. Evidence-Based Treatment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J Clin Oncol 2012;30:11:1206-1214. 

  6. Gunther ML, Morandi A, Ely EW. Pathophysiology of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Clin 2008;24:45-65. 

  7. Hshieh TT, Fong TG, Marcantonio ER, Inouye SK. Cholinergic deficiency hypothesis in delirium: a synthesis of current evidenc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8;63:764-772. 

  8. Van Munster BC, Korevaar JC, Zwinderman AH, Levi M, Wiersinga WJ, De Rooij SE. Time course of cytokines during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s. J Am Geriatr Soc 2008;56:1704-1709. 

  9. Turek FW, Gillette MU. Melatonin, sleep, and circadian rhythm: rational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melatonin agonist. Sleep Med 2004;5:523-532. 

  10. de Rooij SE, van Munster BC. Melatonin deficiency hypothesis in delirium: a synthesis of current evidence. Rejuvenation Res 2013;16:273-278. 

  11. Srinivasan V, Kaur C, Pandi-Perumal S, Brown GM, Cardinali DP. Melatonin and its agonist ramelteon in Alzheimer's disease: possible therapeutic value. Int J Alzheimer's Dis 2011;741974. 

  12. Zhao LB, Zhen GD, Zhang Y, Pan YY, Du GH, Zhou SZ, Li ZF.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linical efficacy of melatonin on AOPP-induced delirium patients. Eur Rev Med Pharmacol Sci 2018;22:1494-1498. 

  13. Pappolla MA, Sos M, Omar RA, Bick RJ, Hickson-Bick-DL, Reiter RJ, Efthimiopoulos S, Robakis NK. Melatonin prevents death of neuroblastoma cells exposed to the Alzheimer amyloid peptide. J Neurosci 1997;17:1683-1690. 

  14. Wang JZ, Wang ZF. Role of melatonin in Alzheimer-like neurodegeneration. Acta Pharmacologica Sinica 2006;27:41. 

  15. Balan S, Leibovitz A, Zila SO, Ruth M, Chana W, Yassica B, Rahel B, Richard G, Neumann E, Blagman B, Habot B. The relation between the clinical subtypes of delirium andthe urinary level of 6-SMT.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3; 15:363-366. 

  16. Yoshitaka S, Egi M, Morimatsu H, Kanazawa T, Toda Y, Morita K. Perioperative plasma melatonin concentration in postoperative critically ill patients: its association with delirium. J Crit Care 2013;28:236-242. 

  17. Hanania M, Kitain E. Melatonin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postoperative delirium. Anesth Analg 2002;94:338-339. 

  18. Hatta K, Kishi Y, Wada K, Takeuchi T, Odawara T, Usui C, Nakamura H. Preventive Effects of Ramelteon on Delirium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JAMA Psychiatry 2014;71:397-403. 

  19. Kimura R, Mori K, Kumazaki H, Yanagida M, Taguchi S, Matsunaga H. Treatment of delirium with ramelteon: Initial experience in three patients. Gen Hosp Psychiatry 2011;33: 407-409. 

  20. Furuya M, Miyaoka T, Yasuda H, Yamashita S, Tanaka I, Otsuka S, Wake R,Horiguchi J. Marked improvement in delirium with ramelteon: Five case reports. Psychogeriatrics 2012; 12:259-262. 

  21. Tsuda A, Nishimura K, Naganawa E, Otsubo T, Ishigooka J. Ramelteon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 consecutive case series study. Int J Psychiatry Med 2014;47: 97-104. 

  22. Ohta T, Murao K, Miyake K, Takemoto K. Melatonin Receptor Agonists for Treating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with Acute Stroke. J Stroke Cerebrovasc Dis 2013;22:1107-1110. 

  23. Trzepacz PT, Mittal D, Torres R, Kanary K, Norton J, Jimerson N. Validat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comparison with the delirium rating scale and the cognitive test for delirium.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1;13:229-242. 

  24. Lee Y, Ryu J, Lee J, Kim HJ, Shin IH, Kim JL, Trzepacz PT. Korean vers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reliability and validity. Psychiatry Investig 2011;8:30-38. 

  25. Lim KO, Kim SY, Lee YH, Lee SW, Kim JL. A validation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K-DRS-98).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6;45: 518-526. 

  26. Guy W. Clinical Global Impression(CGI) Modified From: Rush J, John A. Handbook of psychiatry Measur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p.100-102. 

  27. Witlox J, Eurelings LS, de Jonghe JF. Delirium in elderly patients and the risk of post discharge morta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dementia: a meta-analysis. JAMA Psychiatry 2010; 304:443-451. 

  28. Wang PS, Schneeweiss S, Avorn J, Fischer MA, Mogun H, Solomon DH, Brookhart MA. Risk of death in elderly users of conventional vs.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N Engl J Med 2005;353:2335-2341. 

  29. Skrobik YK, Bergeron N, Dumont M, Gottfried SB. Olanzapinevs haloperidol: Treating delirium in a critical care setting. Intensive Care Med 2004;30:444-449. 

  30. Lee SJ, Jeong JH, Kim TW, Lim HK, Seo HJ, Hong SC, Han JH. Comparison of Treatment Response of Antipsychotics According to Sedative Effect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Delirium.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14; 25:168-174. 

  31. Miyaji S, Yamamoto K, Hoshino S, Yamamoto H, Sakai Y, Miyaoka H. Comparison of the risk of adverse events between risperidone and haloperidol in delirium patients. Psychiatry Clin Neurosci 2007;61:275-282. 

  32. Cole M, McCusker J, Dendukuri N, Han L.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subsyndromal delirium in elderly medical in patienrs. J Am Geriatr Soc 2003;51:754-76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