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티로시나제억제 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Ganoderma lucidum fermented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6 no.4, 2018년, pp.318 - 323  

정용운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융합과학부) ,  이창수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바이오융합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소득이 증가하고 건강에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미용 화장품보다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천연물에 대하여 항산화, 항염 및 미백 등의 활성을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의 활성과 더불어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는 영지버섯 균사체와의 발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영지버섯 균사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저농도의 인진쑥 추출물 보다는 다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통한 항염활성 평가에 앞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한 결과, 흥미롭게도 인진쑥 추출물은 $150{\mu}g/mL$의 농도부터 RAW 264.7 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유의적으로 크게 감소시켰으나, 영지 균사 발효 시 세포 생존율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영지 균사 발효 시 인진쑥의 독성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인진쑥 추출물 $25{\mu}g/mL$의 처리는 동일 농도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보다 오히려 유의적인 수준에서 RAW 264.7 세포의 NO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진쑥 영지버섯 균사발효는 인진쑥 추출물 자체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어 이로 인해 더욱 높은 농도의 영지버섯 균사발효 추출물 처리를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지 균사 발효에 의한 미백 기능성 소재 발굴이라는 본 연구의 취지에 부합하는 결과가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 처리구에서 확인되었으며, $200{\mu}g/mL$ 농도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arbutin 보다 약 3.66배의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인진쑥 영지균사발효 추출물이 tyrosinase활성을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Ganoderma lucidum (Y2)-mediated fermentation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ACE) could synergistically enhance it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tyrosinase-inhibiting activities. Both G. lucidum extract and fermented ACE exhibited 2,2-diphenyl-1-picrylhydrazy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5) 하였으나, 담자균의 발효를 통한 미백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백 기능성 물질을 합성하는 영지 균사체의 천연물 접종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탐색하여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anoderma lucidum을 포함한 영지 속 (Ganoderma) 버섯은 어디에 분포하고 있는가? Ganoderma lucidum을 포함한 영지 속 (Ganoderma) 버섯은 아시아, 유럽 북미주 등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약용버섯으로 항암, 항종양, 고혈압, 당뇨 등과 관련된 여러 약효와 유효성분이 보고되었다 (Chen et al., 1980; Furusawa et al.
본 연구에서 영지버섯을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한 이유는? 최근 소득이 증가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미용 화장품보다 미백, 항노화,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성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 개발을 위해 천연물 추출물 또는 균사체의 미백 기능성에 대한 생리활성 탐색 및 활성 물질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Yoo, 2005), 영지버섯 추출물에서 분리된 ganodermanondiol은 B16F10 세포에서 효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한다고 보고되었다 (Kim et al., 2016). 또한 균사체의 발효에 의한 시너지 효과를 위해 천연물에 표고균사체 (Lentinula edodes)를 접종하여 발효한 추출물의 면역세포에 대한 생리활성을 보고 (Chung et al., 2015) 하였으나, 담자균의 발효를 통한 미백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미백 기능성 물질을 합성하는 영지 균사체의 천연물 접종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탐색하여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이란? 인진쑥 (Artemisia capillaris)은 냇가 주변의 모래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 30-100 cm정도 성장하며, 항균 활성과 항산화 활성 그리고 혈중 지질감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Chih-Chiang, 2007). 또한 인진쑥 추출물의 세포 독성 실험을 위해 SRB (sulforhodamine B) 법과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법을 이용한 연구에서 마우스 간암 세포주에 대해 우수한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Kim,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enner M, Hearing VJ. 2008. The protective role of melanin against UV damage in human skin, Photochem Photobiol. 84: 539-549. 

  2. Brusotti G, Cesari I, Dentamaro A, Caccialanza G, Massolini G. 201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compounds from plant resources: the role of analysis in the ethnopharmacological approach. J Pharmaceut Biomed 87: 218-228. 

  3. Chen JH, Jiang RL. 1980. A pharmacological study of the Chinese drug lingzhi (ganoderma). Acta Pharm Sin B. 15: 234-244. 

  4. Chih-Chiang Y. 2007. Supercritical fluids extraction of capillaris in from Artemisia capillaris and its inhibition of in vitro growth of hepatoma cells., J Supercritical Fluids. 42: 96-103. 

  5. Chung WS, Wang JH, Bose S, Park JM, Park SO, Lee SJ, Jeon S, Kim H. 2015. Hepatoprotective effect of Lentinus edodes mycelia fermented formulation against alcoholic liver injury in rats. J Food Biochem. 39: 251-262. 

  6. Furusawa E, Chou SC, Furusawa S, Hirazumi A, Dang Y. 1992. Antitumour activity of Ganoderma lucidum, an edible mushroom, on intraperitoneally implanted lewis lung carcinoma in synergenic mice. Phytother Res. 6: 300-304. 

  7. Jeo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g NI. 2004. Natural Products, Organic Chemistry ;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8. Kim HT. 2007. Cytotoxic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cancer cells on in vitro. J Vet Clin. 24: 367-371. 

  9. Kim JW, Kim HI, Kim JH, Kwon O, Son ES, Lee CS, Park YJ. 2016. Effects of ganodermanondiol, a new melanogenesis inhibitor from the medicinal mushroom Ganoderma lucidum. Int J Mol Sci. 17: 1798. 

  10. Medzhitov R. 2008. Origin and physiological roles of inflammation. Nature. 454: 428-435 (2008). 

  11.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12. Rim YS, Park YM.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42-350. 

  13. Shiao MS, Lee KR, Lin JJ, Wang CT. 1994.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II, p.342. In C.T. Ho(eds), Teas, Spices and Herb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14. Yoo ID. 2005. Development of new natural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349-357. 

  15. You JC. 2016. The effect of roots exract from Potentilla chinensis as cosmeceutical material. J Appl Biol Chem. 59: 13-17. 

  16. Wei CC, Yu CW, Yen PL, Lin HY, Chang ST Hsu FL, Liao VH. 2014. Antioxidant activity, delayed aging, and reduced amyloid- ${\beta}$ 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of tea seed pomace from Camellia tenuifolia, J Agric Food Chem. 62: 10701-107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