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CO 분자선 관측 자료를 이용한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내 북쪽 필라멘트의 운동학 연구
Kinematics of the Northern Filament in Orion Molecular Clouds Complex Using 12CO Molecular Observation Dat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9 no.6, 2018년, pp.519 - 532  

조훈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손정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신영 (한국천문연구원) ,  이지원 (한국천문연구원) ,  김성수 (경희대학교 우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는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의 북부 필라멘트(이하 NF)에 대하여 $^{12}CO$ (J=1-0) 분자선의 자료를 이용하여 은하 평면이 분자의 운동과 운동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6 m 서울대학교 전파망원경(Seoul Radio Astronomy Observatory, SRAO)을 이용하여 2arcmin 공간분해능으로 은하면으로부터 먼 순서로 NF1, NF2, NF3 세 곳을 총 270시간 동안 관측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은하면과 OMC NF는 $^{12}CO$ (J=2-1) 경우 3% 밀도에서, 티끌의 경우 9% 밝기 수준에서 자기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었다. $^{12}CO$ (J=1-0), $^{12}CO$ (J=2-1), 성간 티끌 관측결과를 비교해본 결과, 세 경우 모두 NF3에서는 고루 분포했지만, NF1과 NF2에서는 비교적 밀도가 높은 특정 영역에서만 함께 나타났다. NF는 단일 구조를 보였으며, NF1에서는 부분 수축 운동을, NF2에서는 하단에서 회전 운동이 나타났고, NF3에서는 유일하게 명확히 자기장에 연관된 나선형 회전이 보였다. 위치-속도 분석 결과, $^{12}CO$ (J=1-0)를 비롯한 물질들은 NF2와 NF3을 따라 은하면을 향하여 흐를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하면을 향하여 물질이 흐르는 명백한 원인을 이번 연구결과에서 볼 수 없었지만 추후의 더 정교한 관측결과가 NF1과 NF2 상단부의 회전 운동을 확인 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galactic plane toward molecular motion and kinematics in the northern filament (NF) of Orion Molecular Clouds Complex (OMC) using $^{12}CO$ (J=1-0) line. Observed data were from three areas including NF1, NF2, and NF3 in far-out order from galactic plane, f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NF에 대한 높은 분해능을 얻고자 6 m 구경의 밀리미터 파장대역의 서울대학교 전파 망원경을 이용하여 NF만을 중심으로 총 270시간 동안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정밀한 분석을 통해 선행연구들의 예상을 규명하고 OMC NF에 대한 보다 정밀한 운동학적 이해에 연구의 필요성을 두었다
  •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NF가 은하면 및 주변과 어떤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운동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 천체와 은하면에 대해 NF는 무엇을 따라 어떤 관계를 갖는지, 둘째, NF의 밀도 분포 및 각종 속도 특성을 고려하여 NF는 은하면에 대해 어떻게 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F가 은하면과 오리온 B가 어떤 모습으로 연계하고 있나요? (2005)의 선행연구에서 관측의 한계로 인해 정확히 확인하지 못했던, NF가 은하면과 오리온 B가 어떤 모습으로 연계되어 있는지 형태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12CO (J=2-1)은 최대 밝기 온도 값이 21.33 K k ms−1인 영역에 비해 3% 밀도 일 때, 성간 티끌은 최대 밝기 값이 180.09 MJy sr−1인 영역에 비해 9% 수준으로 서로를 잇고 있었다.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는 어떻게 구성되나요? 오리온과 모노세로스 별자리에 걸쳐있는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Orion Molecular clouds Complex, OMC)는 오리온 성운을 기준으로 약 450 pc 거리에 있는 천체로 오리온 A, 오리온 B, Mon R2, 그리고 남쪽, 북쪽에 위치한 필라멘트(Southern Filament and Northern Filament)로 구성된다(Fig. 1).
NF 영역의 특이성을 확인한 연구가 부족한 이유는? NF 영역은 OMC의 다른 곳과는 차이를 보이는 성질을 가졌음에도 큰 규모로 인한 관측의 부담으로 그 특이성을 확인한 연구가 부족했다. Morri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re, P., Di Francesco, J., Ward-Thompson, D., Inutsuka, S.I., Pudritz, R.E., and Pineda, J.E., 2014, From filamentary networks to dense cores in molecular clouds: toward a new paradigm for star formation. In Beuther, H., Klessen, R.S., Dullemond, C.P., Henning, T. (eds.), Protostars and Planets VI. University of Arizona Press, Tucson, USA, 4, 27-51. 

  2. Bally, J., Langer, W.D., Stark, A.A., and Wilson, R.W., 1987, Filamentary structure in the Orion molecular cloud. The Astrophysical Journal, 312, L45-L49. 

  3. Cohen, M. and Kuhi, L.V., 1979, Observational studies of pre-main-sequence evolu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41, 743-843. 

  4. ESA, 2016, France. POLARISED EMISSION FROM ORION. http://sci.esa.int/planck/55910-polarised-emissionfrom-orion/ (June 22th 2016) 

  5. Goldreich, P. and Kwan, J., 1974, Molecular clouds. The Astrophysical Journal, 189, 441-454. 

  6. Hanawa, T., Nakamura, F., Matsumoto, T., Nakano, T., Tatematsu, K.I., Umemoto, T., Kameya, O., Hirano, N., Hasegawa, T., Kaifu, N., and Yamamoto, S., 1993, Effects of magnetic fields and rotation on the fragmentation of filamentary molecular clouds-Comparison of the theory with the Orion A cloud. The Astrophysical Journal, 404(2), L83-L86. 

  7. Herbig, G.H. and Kameswara Rao, N., 1972, Second catalog of emission-line stars of the Orion popula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174, 401. 

  8. Herbst, W., Holtzman, J.A., and Phelps, B.E., 1982, Optical monitoring of Orion population stars. I-Results for some T Tauri and Herbig Ae/be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87, 1710-1729. 

  9. Jeong, I.G., Koo, B.C., Cho, W.K., Kramer, C., Stutzki, J., and Byun, D.Y., 2013, CO J1-0 and J2-1 Line Observations of the Molecular-cloud-blocked Supernova Remnant 3C434. 1. The Astrophysical Journal, 770(2), 105. (in korean) 

  10. Kirk, H., Myers, P.C., Bourke, T.L., Gutermuth, R.A., Hedden, A., and Wilson, G.W., 2013, Filamentary accretion flows in the embedded Serpens South protocluster. The Astrophysical Journal, 766(2), 115. 

  11. Koo, B.C., Park, Y.S., Hong, S.S., Yun, H.S., Lee, S.G., Byun, D.Y., Byun, D.Y., Lee, J.W., Choi, H.K., Yoon, Y.Z., Kim, K.T., Kang, H.W., and Lee, J.E., 2003, Performance of the SRAO 6-meter Radio Telescope. Journal of Korean Astronomical Society, 285(36), 43-48. (in korean) 

  12. Kutner, M.L., Tucker, K.D., Chin, G., and Thaddeus, P., 1977, The molecular complexes in Or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215, 521-528. 

  13. Lee, J.W., 2007, $^{12}CO$ and 13CO Observations toward the Two Extraordinary Filaments in the Orion-Monoceros Molecular Cloud Complex. Unpublished M.S.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51 p. 

  14. Lee, K., Looney, L.W., Schnee, S., and Li, Z.Y., 2013, Earliest stages of protocluster formation: substructure and kinematics of starless cores in or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772(2), 100. 

  15. Li, D.L., Esimbek, J., Zhou, J.J., Lou, Y.Q., Wu, G., Tang, X.D., and He, Y.X., 2014, Filament L1482 in the California molecular cloud. Astronomy & Astrophysics, 567, A10. 

  16. Maddalena, R.J., Morris, M., Moscowitz, J., and Thaddeus, P., 1986, The large system of molecular clouds in Orion and Monoceros. The Astrophysical Journal, 303, 375-391. 

  17. Mookerjea, B., Ghosh, S.K., Rengarajan, T.N., Tandon, S.N., and Verma, R.P., 2000, Distribution of Cold dust in Orion A and B. The Astronomical Journal, 120(4), 1954. 

  18. Morris, M., Montani, J., and Thaddeus, P., 1980, Molecular clouds in Orion and Monoceros. In Symposium-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87, 197-203. 

  19. O'Dell, C.R., Muench, A., Smith, N., and Zapata, L., 2008, Star Formation in the Orion Nebula II: Gas, Dust, Proplyds and Outflows. In Reipurth, B. (ed.), Handbook of Star Forming Regions.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Monograph Publications, CA, USA, 1, 544-589. 

  20. Oya, Y., Sakai, N., Lopez-Sepulcre, A., Watanabe, Y., Ceccarelli, C., Lefloch, B., and Yamamoto, S., 2016, Infalling-rotating motion and associated chemical change in the envelope of IRAS 16293-2422 Source A studied with ALMA. The Astrophysical Journal, 824(2), 88. 

  21. Palla, F. and Stahler, S.W., 1999, Star formation in the Orion nebula cluster. The Astrophysical Journal, 525(2), 772. 

  22. Wilson, B.A., Dame, T.M., Masheder, M.R.W., and Thaddeus, P., 2005, A uniform CO survey of the molecular clouds in Orion and Monoceros. Astronomy & Astrophysics, 430(2), 523-5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