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가 원룸촌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소재 'O' 대학교 원룸촌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lements of Life Safety Environment in the exterior Space of the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Focused on the case of 'O' university neighborhood One-room village in Chungcheongbukdo-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2, 2018년, pp.321 - 331  

김환식 (유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거주자의 생활안전도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대학교 인근 원룸촌을 대상으로 거주자 의식조사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해 대학가 원룸촌의 생활안전요소를 도출하고, 문제점 및 해결방향을 건축계획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결과 거주공간의 진입로 등 넓은 범위의 외부공간에 대한 생활안전 관련 연구나 실제 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의식조사 결과,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행로와 같은 외부공간의 환경이 거주지의 생활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는 건축 계획적 차원에서 크게 거주자 감시, 동선유도와 영역 구분, 외부의 공적 공간 활용, 쾌적한 환경 유지 등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건물 진입 공간뿐만 아니라 보행로나 기타 오픈스페이스 등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셋째, 대학가 원룸촌의 외부공간을 조사 분석한 결과, 보행로 같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이 거주인구와 원룸 건축물이 가장 많은 구역에서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life safety factor of residents living in a university villag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social safety-related research and practical system for a wide range of exterior space, including the driveway of the living space wa...

주제어

표/그림 (2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외부 공간 생활안전 실태와 개선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충청북도에 소재한 대학교 인근 원룸촌을 대상으로 거주자 의식조사 및 현장 조사 등을 통해 대학가 원룸촌 외부공간에서 발견되는 생활안전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가의 원룸촌이란 무엇인가? 대학가의 원룸촌은 주로 대학생인 20대 연령층의 거주자가 밀집되어 거주하면서 일종의 건축물 단지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가 원룸촌에 대한 거주자의 생활안전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한 편이며, 거주자의 입주기간이 길지 않고 유동인구가 많다는 특성을 고려해야한다.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첫째, 선행연구 결과 거주공간의 진입로 등 넓은 범위의 외부공간에 대한 생활안전 관련 연구나 실제 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의식조사 결과,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행로와 같은 외부공간의 환경이 거주지의 생활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주지 외부공간의 생활안전 기능요소는 건축 계획적 차원에서 크게 거주자 감시, 동선유도와 영역 구분, 외부의 공적 공간 활용, 쾌적한 환경 유지 등의 4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건물 진입 공간뿐만 아니라 보행로나 기타 오픈스페이스 등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대학가 원룸촌의 생활안전에 대한 제도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거주자의 생활안전도를 연구하기 위한 기초 단계로서, 대학교 인근 원룸촌을 대상으로 거주자 의식조사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해 대학가 원룸촌의 생활안전요소를 도출하고, 문제점 및 해결방향을 건축계획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결과 거주공간의 진입로 등 넓은 범위의 외부공간에 대한 생활안전 관련 연구나 실제 제도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의식조사 결과, 거주공간의 생활안전 환경에 가장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보행로와 같은 외부공간의 환경이 거주지의 생활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 Ray. Jeffery,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Sage Publications, 1978. 

  2. Jacobs. J,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Y: Random House, 1961. 

  3. O. Newman, Defensible Space: Crime Prevention Through Urban Design,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73. 

  4. K. Y. Yoon, S. E. Kim, J. S. LE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and Promotion", Journal of Community Safety and Security by Environmental Design, pp.194-231, 2017.4. 

  5. E. G. Shin, K. R. Park, Y. O. Jung, K. Kim, H. H. Park, K. G. Hong, "How to Institutionalize CPTED in Korea (I)",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Research Series 08-15, 2008.12. 

  6. E. G. Shin, K. R. Park, Y. O. Jung, K. Kim, H. H. Park, K. G. Hong, "How to Institutionalize CPTED in Korea (I)",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Research Series 08-15, 2008.12. 

  7. D. H. Lim, K. H. Lee, "Comparative Analysis of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for Introducing Crim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in Korea, Vol.29, No.1, pp.1-9, 2018.8. 

  8. K. H. Yu, D. P. Son,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Project Status and System Improvement Direction", auri brief, No.105, pp.2-8, 2015.2. 

  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PTED Guidelines", 2013.3. 

  10. Incheon Metropolitan City,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Establish guidelines", pp.11-26, 2015. 

  11. W. C. Choi, J. Y. Na, "Research on Crime Prevention Design Using CPTED Evaluation Indictaors in Densely Populated Areas with Multi-family Housing Uni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Vol.12 No.5, pp.263-274, 2017.10. 

  12. S. P. Jung, B. S. Kang, "Analysis of Alley-way Risks in Multi-unit Dwelling Zones Based on CPTED Checklist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pring Conference Proceedings, pp.149-152, 201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