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6, 2018년, pp.858 - 864
이경행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윤예지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권혜원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이은현 ((주)미소성)
To improve the utility of apple, apple flesh (Malus domestica cv. Fuji), pomace and peels were dried and then extracted using solvents (water, 70% and 100% ethanol). The contents of polyphenols, flavonoids, ascorbic acid, ursolic acid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as extracted from the a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사과의 함유물은? | 사과는 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생산, 소비되고 있는 과일로 1년 내내 시장에 출시되기 때문에 우리의 식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Henriquez 등 2014). 사과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Park 등 2012), catechin, procyanidins, dihydrochalcones, flavonols 및 hydroxycinnamic acid 등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화합물 등의 다양한 항산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Alvarez-Parrilla 등 2005; Stracke 등 2010; Kim & Park 2013). 이와 같은 항산화 성분들이 사과 전체 또는 과육보다도 과피에 함유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높다고 하였으며, 항산화 성분 중 폴리페놀 화합물의 경우, 사과의 주요 항산화 성분으로 과피에서의함유량이 과육보다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약 2~9배 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하였다(Lee 등 2003; Schieber 등 2003;Tsao 등 2003). | |
사과의 특징은? | 사과는 세계적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생산, 소비되고 있는 과일로 1년 내내 시장에 출시되기 때문에 우리의 식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Henriquez 등 2014). 사과에는 식이섬유와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Park 등 2012), catechin, procyanidins, dihydrochalcones, flavonols 및 hydroxycinnamic acid 등의 폴리페놀 화합물과 flavonoid 화합물 등의 다양한 항산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다(Alvarez-Parrilla 등 2005; Stracke 등 2010; Kim & Park 2013). 이와 같은 항산화 성분들이 사과 전체 또는 과육보다도 과피에 함유량이 높고, 항산화 활성도 높다고 하였으며, 항산화 성분 중 폴리페놀 화합물의 경우, 사과의 주요 항산화 성분으로 과피에서의함유량이 과육보다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약 2~9배 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하였다(Lee 등 2003; Schieber 등 2003;Tsao 등 2003). | |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 그러나 사과박 및 사과 껍질의 경우, 물 추출물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ethanol로 추출하였을 때 검출되었으며, 그 함량은 껍질에서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 활성의 경우,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 70%의 ethanol 추출 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금속이온 제거능에서는 라디칼 소거능에 비하여 약한 활성을 나타내어 사과에서의 항산화 활성은 금속이온 제거능보다는 라디칼 소거능이 높고 사과 껍질이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Alvarado HL, Abrego G, Garduno-Ramirez ML, Clares B, Garcia ML, Calpena AC.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ursolic/oleanic acids mixture isolated from Plumeria obtusa. J Chromatogr B 983:111-116
Alvarez-Parrilla E, Laura AD, Torres-Rivas F, Rodrigo-Garcia J, Gonzalez-Aguilar GA. 2005. Complexation of apple antioxidants: chlorogenic acid, quercetin and rutin by ${\beta}$ -yclodextrin ${\beta}$ -CD). J Inclusion Phenom Macrocyclic Chem 53:121-129
AOAC International. 1995. AOAC official method 952.03 tannin in distilled liquors. In: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pp.16-7. AOAC International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Henriquez C, Cordova A, Almonacid S, Saavedra J. 2014. Kinetic modeling of phenolic compound degradation during drum-drying of apple peel by-products. J Food Eng 143:146-153
Henriquez C, Speisky H, Chiffelle I, Valenzuela T, Araya M, Simpson R, Almonacid S. 2010. Development of an ingredient containing apple peel, as a source of polyphenols and dietary fiber. J Food Sci 75:172-81
Jeon TI. 1999. The screening of antioxidants from apple peel.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Lee KW, Kim YJ, Kim DO, Lee HJ, Lee CY. 2003. Major phenolics in apple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1:6516-6520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nthnopharmacol 71:109-11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s Biol Med 26:1231-1237
Schieber A, Hilt P, Streker P, Endre HU, Rentschler C, Carle R. 2003. A new process for the combined recovery of pectin and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 pomace. Innovative Food Sci Emerging Technol 4:99-107
Statistics Korea. 2017. Survey result in production amount of Chinese cabbage, radish, soybean, apple and pear.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8/1/index.board?bmoderead&bSeq&aSeq365350&pageNo3&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 [cited 22 December 2017]
Stracke BA, Rufer CE, Bub A, Seifert S, Weibel FP, Kunz C, Watzl B. 2010. No effect of the farming system (organic/onventional) on the bioavailability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 cultivar Golden Delicious) polyphenols in healthy men: a comparative study. Eur J Nutr 49:301-310
Tsao R, Yang R, Young JC, Zhu H. 2003. Polyphenolic profiles in eight apple cultivar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J Agric Food Chem 51:6347-6353
Yen GC, Duh PD, Tsai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307-313
Youn SJ, Rhee JK, Lee H. 2017. Comparison of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an Apple Cultivar (Malus domestica cv. Fuji) peel powder prepared by different powdering methods. Food Engineering Progress 21:326-331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