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기반 바이오필터의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개선효과와 실내쾌적지수 분석
Particulate Matter and CO2 Improvement Effects by Vegetation-based Bio-filters and the Indoor Comfort Index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7 no.4, 2018년, pp.268 - 276  

김태한 (상명대학교 융합기술대학 환경조경학과) ,  최부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최나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장은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인에게 안전한 실내공기질 개선수단으로 인식되는 공기정화식물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 실내공조에 요구되는 총풍량 확보가 가능한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했다. 시스템의 정량적 성능평가는 강의실형태의 실험실 체적 $332.73m^3$ 내 16명의 재실자 조건에서 목업단위 시스템의 공조 성능, 실내공기질 및 쾌적지표 개선효과에 대한 시계열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시스템 구동을 통해 총 $1,411.22m^3/h$의 유출 총풍량을 확보하여, 4.24 ACH의 환기율을 제공할 수 있었다. 실내온도는 $1.6^{\circ}C$, 흑구온도는 $1.0^{\circ}C$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상대습도는 24.4% 상승한 최대 82.0%까지 증가하였다. 상대습도 급증에 따른 쾌적도 감소현상은 송풍기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실내기류로 상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스템 가동에 따른 공기질 개선지표 중 $PM_{10}$은 39.5% 감소한 평균 $22.11{\mu}g/m^3$을 기록하였다. 반면, $CO_2$는 최대 1,329 ppm까지 지속적으로 농도가 상승했는데, 이는 광도조건이 광보상점을 만족하지 못해 적용 식물과 재실자에서 방출되는 $CO_2$가 처리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내쾌적지표의 경우 PMV는 평균 83.6 % 감소된 -0.082, PPD는 평균 47.0% 감소된 5.41%에 수렴하여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구동에 의해 높은 쾌적범위의 실내공간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는 소수 참여인원과 단기간 실험으로 인하여 시스템의 성능 규명이 제한적인 부분이었으며, 보다 장기간의 실험을 통해 바이오필터에 도입된 식생의 생육상태에 따른 압력손실 변화,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구체적인 메커니즘 규명 등의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the month of January 2018, fine dust alerts and warnings were issued 36 times for $PM_{10}$ and 81 times for PM2.5. Air quality is becoming a serious issue nation-wide. Although interest in air-purifying plants is growing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risk of chemical s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반인에게 안전한 실내공기질 개선수단으로 인식되는 공기정화식물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 실내공조에 요구되는 총풍량 확보가 가능한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했다. 시스템의 정량적 성능평가는 강의실형태의 실험실 체적 332.
  • 본 연구는 총풍량 처리효율 조절이 가능한 공조시스템연계 바이오필터 목업의 성능평가를 통해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정화식물의 효율적 사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스템의 공조적 특성을 해석하고, 미세먼지, 이산화탄소의 실내공기질 개선효과와 대표적인 쾌적지표인 PMV, PPD를 산출하여 식생기반 바이오필터가 실내 쾌적도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목업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식생기반 바이오필터 목업은 stand alone형 수직수경재배 형태의 바이오필터 시스템이며, 식생 바이오필터, 후드형 집진구, 덕트 일체형 프레임, 급기부, 순환형 관수 탱크로 구성되어있다. 총 12개의 바이오필터가 개별 후드형 집진구에 체결되며, 약 6 m2 의 공기정화면적을 확보하고 있다(Fig.
식생바이오필터에 식재된 식물은 무엇인가? 식생바이오필터는 492 mm × 994 mm × 40 mm의 크기로 프레임 내에 총 3겹의 50 mm 다층형 필터가 삽입된다. 이 필터층에 Hoya carnosa, Schefflera arboricola, Ficus elastica 등 총 331본의 공기정화식물이 식재되었다. 식재된 식물의 생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 상부에 점적 관수파이프가 설치되고, 관수용수는 내부 카본코팅필터 층을 통과하여 근권부에 55.
실내 쾌적지표 PMV는 무엇을 평가 하는가? O. Fanger 교수에 의해 정의된 대표적인 쾌적지표로서 인간의 온열감을 7 점(hot, warm, slightly warm, neutral, slightly cool, cool, cold)으로 분할하여 평가한다. 중립 온열감으로 정의되는 PMV = 0의 조건에서는 통계적으로 재실자의 95%가 열적 만족감을 나타내며, 다수 재실자의 열적 쾌적정도를 표현 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tmos Environ A., Aydogan 45 16 2675 (2011) 10.1016/j.atmosenv.2011.02.062 

  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landscape architecture S. W., Han 7 1 9 (2005) 

  3.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Y. B., Im 12 4 253 (2010) 

  4. Atmospheric Environment P. J., Irga 77 267 (2013) 10.1016/j.atmosenv.2013.04.078 

  5. Building and Environment P. J., Irga 115 281 (2017) 10.1016/j.buildenv.2017.01.035 

  6. null (2017) 

  7. Korean Society for Energy S. H., Kim 24 1 69 (2015) 

  8.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T. H., Kim 20 5 485 (2017) 10.11628/ksppe.2017.20.5.485 

  9.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 J., Kwon 45 4 1 (2017) 

  10.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 J., Kwon 46 2 62 (2018) 10.9715/KILA.2018.46.2.062 

  11. D., Llewellyn 1813 (2008) 

  12. Environ Health Perspect C. M., Long 109 10 1019 (2001) 10.1289/ehp.011091019 

  13.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P. H., Mo 2008 10 70 (2008) 

  14.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S. A., Park 28 6 928 (2010) 

  15.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 J., Park 31 12 215 (2015) 10.5659/JAIK_PD.2015.31.12.215 

  16. Building and Environment T., Pettit 125 299 (2017) 10.1016/j.buildenv.2017.09.004 

  17.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 C., Son 16 3 377 (1998) 

  18. Air Quality, Atmosphere & Health F., Torpy 11 2 163 (2018) 10.1007/s11869-017-051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