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농방법에 따 른 시기별 미꾸리 개체군의 전장-체중 분석

Monthly Change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th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Population in Paddy Fields by Farming Practices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6 no.1, 2018년, pp.1 - 10  

신현선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 ,  송영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권순익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어진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이승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 생태계는 일부 생물의 개체군 유지를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논 생태계를 대상으로 농법에 따른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친환경농법 및 관행농법과 같은 재배 방식의 차이는 생물서식지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두 농법에 따른 미꾸리 개체군의 서식특성 및 성장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5월부터 9월까지였고, 대호 간척농지를 대상지로 하였다. 영농방법에 따라 개체수, 미꾸리 개체군 분포, 전장-체중 상관도 및 비만도 지수 비교, 미꾸리 개체군의 전장크기 등을 비교하였다. 미꾸리 개체군의 크기는 친환경 논에서 월등히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령대 분포는 친환경 논이 다양한 연령층의 미꾸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행 논은 Age $0^+$ (28~51 mm)의 개체들이 대부분 성장하지 못하고 사멸하며, 일부 내성을 지니는 개체만이 성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5월에 관행 논과 친환경 논에서 거의 비슷한 미꾸리 개체수를 보이는 것은 로터리 및 경운에 의해서 토양의 얕은 깊이에 서식하는 미꾸리가 폐사된 것으로 판단되어 무경운이 미꾸리 개체군 유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친환경 논의 미꾸리는 먹이섭식 및 영양상태가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월에 관행 논 및 친환경 논에서 성장도 및 비만도가 낮은 것에 대하여는 추가적인 조사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관행 논에서 미꾸리 개체군의 개체수 회복 및 연령대 회복을 위해서는 농약과 같은 화학물질 사용을 제한해야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관행농법보다 친환경농법으로 재배할 경우 미꾸리 개체의 유지 및 회복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rming practices on the Misgurnus anguillicaudatus population, including their habitat characteristics, length frequency and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s of M. anguillicaudatus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논 생태계의 건전성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되는 미꾸리 개체군의 크기 분포, 전장-체중 상관도, 비만도 지수 등과 같은 생태적 특성을 친환경농법 논과 관행 농법 논에서 조사하여, 영농방법에 따른 시기별 미꾸리 개체 군의 변화 차이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꾸리과의 특징은 무엇인가? 1997). 미꾸리과는 가늘고 긴체형과 장호흡으로 수심이 얕고 수위변동이 빈번한 논에 서식하기 적합하며(Nam 2007; Kim et al. 2011), 타 어종에 비해 논에 장기간 서식 및 산란하기 때문에 논 생태계의 주변환경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한다(Saitoh et al. 1988).
남한에 존재하는 미꾸리속 (Genus Misgurnus) 어류는? 특히, 논 생태계에서 대표적 어류로써 미꾸리속 (Genus Misgurnus) 어류는 아시아 및 유럽에 분포하는 소, 중형 담수어류로서 남한에는 미꾸리 (Misgurnus anguilicaudatus)와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 등 2종이 보고되었다 (Uchida 1939; Chyun 1977; Jeon 1983). 그중 하천, 농경지 및 저수지 등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는 미꾸리(M.
미꾸라지가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미꾸리과의 경우에는 80년대에만 해도 국내 전역의 농수로 및 늪에서 쉽게 관찰되었고, 그 생체량 또한 풍부하여 식용이나 낚시 생미끼용 등으로 수출하기도 하였다(Kim and Lee 1985). 그러나 경지정리 및 논 면적의 감소 등과 같은 농업환경변화, 그리고 화학비료 및 농약사용 등으로 인한 수 환경 변화로 논 생태계에 내성 및 적응성이 높은 미꾸리과 마저도 감소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류의 먹이원 확보에 위협이 되었다(Han et al. 2013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nderson R and S Gutreuter. 1983.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Fisherises technuques. L. Nielsen and D. Johnson (Eds). American Fisherise Society. Benthesda. Md. pp. 283-300. 

  2. Anderson RO and RM Neumann. 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Fisheries Techniques, 2nd edition (Murphy BR and DW Willis eds.).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aryland. pp. 447-482. 

  3. Busacker GP, IR Adelman and EM Goolish. 1990. Growth, In: Schreck CB, Moyle PB (Eds) Methods for fish biology.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d. pp. 363-387. 

  4. Byeon HK, JK Choi and CR Jang. 2011a. The fish fauna and population of Zacco koreanus in the upper region of the Gapyeong stream. Korean J. Environ. Ecol. 25:65-70. 

  5. Byeon HK, JK Choi and CR Jang. 2011b.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by habitat type and population of Zacco koreanus in the Tan stream. Korean J. Environ. Ecol. 25:71-80. 

  6. Choi JS, SC Park, YS Jang, KY Lee and JK Choi. 2006. Population dynamics of Korean chub (Zacco Koreanus, Cyprinidae)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Lake Hoengseong. Korean J. Environ. Ecol. 20:391-399. 

  7.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 Sa. Seoul. pp. 209-214. 

  8. Elphick CS and LW Oring. 2003. Conservation implications of flooding rice fields on winter waterbird communities, Agric. Ecosyst. Environ. 94:17-29. 

  9. Han MS, KJ Cho, HK Nam, KK Kang, YE Na, MR Kim and MH Kim. 2013a. Variation in population size of Mudfish by agricultural practices in paddy fields. Korean J. Environ. Agric. 32:24-34. 

  10. Han MS, HK Nam, KK Kang, M Kim, YE Na, HR Kim and MH Kim. 2013b. Characteristics of benthic invertebrate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Korean J. Environ. Agric. 32:17-23. 

  11. Han MS, YE Na, HS Bang, MH Kim, KK Kang, HK Hong, JT Lee and BG Ko. 2008. Aquatic invertebrates in paddy ecosystem of Korea.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Suwon. Korea. pp. 1-529. 

  12. Han SC, HY Lee, EW Seo, JH Sim and JE Lee. 2007. Fish fauna and length-weight relationships for 9 fish species in Andong reservoir. Korean J. Life Sci. 17:937-943. 

  13. Hesler LS, AA Grigarick, MJ Oraze and AT Palrang. 1993. Arthropod fauna of conventional and organic rice fields in California. J. Econ. Entomol. 86:149-158. 

  14. Jang YS, JS Choi, KY Lee, JW Seo and BC Kim. 2007.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condition factor of Zacco platypus in the Lake Hoengseong. Korean J. Ecol. Environ. 40:412-418. 

  15. Jeon SR. 1983.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key of Cobitidae fishes (Cypriniformes) from Korea. Bull. Sangmyong Women's Univ. 11:289-321. 

  16. Jeong MR. 2010. A study of habita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udfish inhabited in rice field.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tion. 

  17. Kim HS and HK Lee. 1985. Studies on nutrient composition of loach-2. Seasonal variations in heavy metal contents of loach in various area. J. Nutr. Health 18:167-172. 

  18.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p. 629. 

  19. Kim IS and JY Park. 2002a.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sa. p. 465. 

  20. Kim IS and JY Park. 2002b.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pp. 230-233. 

  21. Kim JO, HS Shin, JH Yoo, SH Lee, KS Jang and BC Kim. 2011a. Functional evaluation of small-scale pond at paddy field as a shelter for mudfish during midsummer drainage period. Korean J. Environ. Agric. 30:37-42. 

  22. Kim JO, HS Shin, JH Yoo, SH Lee, KS Jang and BC Kim. 2011b. Distribution of fish in paddy fields and effectiveness of fishways as an ecological corridor between paddy fields and streams. Korean J. Ecol. Environ. 44:203-213. 

  23. Kim MH, SK Choi, J Eo, SI Kwon and YJ Song. 2017. Influence of farming practices on Length-weight relationship of th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population in rice paddy fields. Korean J. Environ. Biol. 35:446-451. 

  24. Kubota Z. 1961a. Ecology of the Japanes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VI. Frequency distribution of body length and body weight. J. Shimonoseki Coll. Fish 338:241-245. 

  25. Kubota Z. 1961b. Ecology of the Japanese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CANTOR)-IV. Growth and Fatness. J. Shimonoseki Coll. Fish 336:213-234. 

  26. Kubota Z, M Kuga, T Okamasa and Maeda. 1965. Studies on culturing of Japanese loach, Misgurus anguillicaudatus (CANTOR)-VII. Yield of the loach fry cultured in ponds, with estimation of the suitable stage to transferring, suitable ingredient of artificial food and the promotive effect of mud covering the bottom. J. Shimonoseki Coll. Fish 443:59-73. 

  27. Lee YS, HG Han, SG Lim, KS Kim, EJ Kang and CJ Cheong. 2014. The Effects of various rice and loach densities on water quality, loach growth, and rice production in paddy fields. J. Korean Soc. Environ. Technol. 15:263-269. 

  28. Lim HS, MS Kim, YS Seok, SD Park and HH Lee. 1996. Characterization and DNA structure analysis of replication origin of Misgurnus mizolepis. Kor. J. Fish Aquat. Sci. 9:93- 100. 

  29. Nam KC. 2007. Intestinal respiration and oxygen consumption of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0. Naruse M and T Oishi. 1996. Annual and daily activity rhythms of loathes in an irrigation creek and ditches around paddy fields. Environ. Biol. Fishes 47:93-99. 

  31. Ney JJ. 1993. Practical use of biological statistics. Inland fisheries management of North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da. Md. pp. 137-158. 

  32. Oh MK. 2012. Study on respiratory system of Misgurnus mizolepis (Cobitidae) related to environmental change of rice field. Ph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33. Paoletti MG. 1995. Biodiversity, traditional landscapes and agroecosystem management. Landsc. Urban Plan. 31:117- 128. 

  34. Park IS, BS Kim, JH Im, HM Park, YK Nam, CH Jeong and DS Kim. 1997. Improved early survival in backcrosses of mal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times$ Cyprinid Loach (M. anguillicaudatus) hydrids to female Cyprinid Loach. J. Aquaculture 10:363-371. 

  35. Saitoh K, O Katano and A Koizumi. 1988. Movement and spawning of several freshwater fishes in temporary waters around paddy fields. Jpn. J. Ecol. 38:35-47. 

  36. Seo JW. 2005. Fish faun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rk chub (Zacco temminckii) population in the mid-upper region of Gam stream. Korean J. Ecol. Environ. 38:196- 206. 

  37. Seo JW and HS Kim. 2009. A study of fish community on up and downstream of Hwabuk Dam under construction in the upper Wie stream. Korean J. Ecol. Environ. 42:260-269. 

  38. Shin LS. 2012. Morphorgenetic charateristics of Chinese muddy loach (Misgurnus mizolepis) and muddy loach (M. anguillicaudatus).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9. Smukler SM, S Sanchez-Moreno, SJ Fonte, H Ferris, K Klonsky, AT O'Geen, KM Scow, KL Steenwerth and LE Jackson. 2010. Biodiversity and multiple ecosystem functions in an organic farmscape. Agric. Ecosyst. Environ. 139:80- 97. 

  40. Taft OW and SM Haig. 2005. The value of agricultural wetlands as invertebrate resources for wintering shorebirds. Agric. Ecosyst. Environ. 110:249-256. 

  41. Tanaka M. 1999. Influence of different aquatic habitats on distribution and population density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in paddy fields. Jpn. J. Ichthyol. 46:75-81. 

  42. Uchida K. 1939. The fishes of Korea. Bull. Fish. Exp. Sta. Gov. Gener. Korea. 1:330-346. 

  43. Umemura J. 2004. Distribution of Cobitidae in Toyota city and evaluation of river environment. Res. Yahagi River 8:249- 2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