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동단층대 석영편암의 K-Ar 연령에 대한 검토: 장산층의 선캠브리아기 퇴적에 대한 확실한 증거로 활용 가능한가?
A review on the K-Ar Ages of Quartz Schist in the Okdong Fault Zone: Robust Enough for the Evidence for the Precambrian Deposition of the Jangsan Formation?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1, 2018년, pp.67 - 72  

김명정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박계헌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동단층대를 따라 발달한 하부 장산층내 견운모 석영 편암의 K-Ar 연령이 옥동단층의 활동시기와 옥동단층이 자르고 있는 장산층의 퇴적시기를 한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어 다시 주목 받고 있다. 보고된 3개의 K-Ar 연령 중에서 가장 오래된 연령($562{\pm}2Ma$)은 조선누층군 최하부층인 장산층의 퇴적시기가 신원생대 말기라는 주장의 중요한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해석은 퇴적분지의 생성과 진화를 포함한 한반도의 지구조적 진화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보고된 연령 분석자료(Yun, 1983)의 신뢰도와 지질학적 의미에 대하여 다시 고찰하였다. 그 결과 분석된 암석표품에 함유된 석영은 상당량의 과잉 Ar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장산층의 연령을 한정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이 암석표품이 나타내는 압쇄운동의 시기는 약 170 Ma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Ar ages of a sericite quartz schist in the lower Jangsan Formation along the Okdong fault zone reported by Yun (1983) have attracted attention again because of their potential to constrain the depositional timing of the Jangsan Formation. The oldest age of $562{\pm}2Ma$ among thre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옥동단층의 활동시기는 한반도 지각의 지구조적 진화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이렇게 별개의 단층 활동시기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검토가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견운모 석영 편암 표품에 대한 K-Ar 연령자료를 보고한 원저자(Yun, 1983)의 원래 의견을 연대측정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보다 쉽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다시 살펴봄과 동시에 이 표품의 K-Ar 연대 신뢰도와 그 해석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한다.
  • 이는 Yun(1983)이 K-Ar 연령을 분석한 견운모 석영 편암을 장산층의 일부로 간주하였음을 나타낸다. 이 논평에서는 Yun(1983)의 기술을 근거로 분석된 석영 편암이 선캠브리아기 모암이 아니라 장산층으로부터 단층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전제하에 논의를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산층이 선캠브리아기 퇴적층이이라고 주장하는데에 중요한 근거는 무엇인가? Lee et al.(2016a)가 장산층이 선캠브리아기 퇴적층이라고 주장한 중요한 근거는 Yun(1983)의 K-Ar 연령자료이다. 이 연령자료는 1:50,000 지질도 옥동도폭(Son and Lee, 1966)내 장산층의 하부에 위치한 견운모 석영 편암 시료에서 측정되었으며, Kimet al.
Yun의 K-Ar 연령자료는 어떤 내용인가? (2016a)가 장산층이 선캠브리아기 퇴적층이라고 주장한 중요한 근거는 Yun(1983)의 K-Ar 연령자료이다. 이 연령자료는 1:50,000 지질도 옥동도폭(Son and Lee, 1966)내 장산층의 하부에 위치한 견운모 석영 편암 시료에서 측정되었으며, Kimet al.(1989)에 의하여 옥동단층대의 표품으로 해석되었다. Yun(1983)은 견운모 석영 편암 시료로부터 235±5 Ma, 266±5 Ma, 그리고 562±5 Ma의 3개 K-Ar 연령을 보고하였다.
Yun이 보고한 견운모 석영 편암의 3개 K-Ar 연령 해석에서 검토가 필요한 의문점은 무엇인가? Yun(1983)이 보고한 견운모 석영 편암의 3개 K-Ar 연령 해석에서 검토가 필요한 의문점은 (1) 석영의 연령값이 최초의 단층운동을 나타내는가, (2) 견운모 K-Ar 연령은 단층의 재활성 시기를 나타내는가, 그리고 (3) 한 표품에서 분리한 단지 석영과 견운모의 상대적 함량만 다른 분석시료들이 각각 다른 시기의 단층활동 연령을 나타낼 수 있는가 등이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석영의 연령값이 최초의 단층운동을 나타내는가에 대한 것이며, 이 문제는 나머지 의문점과도 연관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ugh, S.K., Lee, D.J., Ree, J.-H., Choh, S.-J., and Woo, J., 2016, Comment on "Depositional ag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Taebaeksan Basin, Korea-revisited" by Lee, Y.I., Choi, T. and Lim, H.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2016), 67-77.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961-967. 

  2. Kelley, S., 2002, Excess argon in K-Ar and Ar-Ar geochronology. Chemical Geology, 188, 1-22. 

  3. Kelley, S., Turner, G., Butterfield, A.W., and Shepherd, T.J., 1986, The source and significance of argon isotopes in fluid inclusions from areas of mineralizatio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79, 303-318. 

  4. Kim, J.H., Koh, H.J. and Kee, W.S., 1989, The Okdong Faul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22, 285-291. 

  5. Lee, Y.I., Choi, and Lim, H. S., 2016a, Depositional ag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Taebaeksan Basin, Korea-revisite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67-77. 

  6. Lee, Y.I., Choi, and Lim, H.S., 2016b, Reply to the comment on "Depositional age and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Jangsan Formation in the Taebaeksan Basin, Korea-revisited" by Lee, Y.I., Choi, T. and Lim, H.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2016), 67-77.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 969-973. 

  7. Rama, S.N.I., Hart, S.R., and Roedder, E., 1965, Excess radiogenic argon in fluid inclus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70, 509-511. 

  8. Son, C.M and Lee, D.S., 1966,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Ogdong Sheet, Sheet-6925-III, scale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30p. 

  9. Yun, H.-S., 1983, K/Ar ages of micas from Precambrian and Phanerozo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Republic of Korea. Schweizerische Mineraligusche und Petrogrphische Mitteilungen (Swiss Bulletin of Mineralogy and Petrology), 63, 295-3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