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데이터 공유 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 Case of Research Data Sharing in Biotechnology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1, 2018년, pp.393 - 416  

박미영 ,  안인자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과) ,  김준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데이터 관리 공유의 연구 패러다임 변화로 미국 및 유럽은 연구데이터 관리 의무화를 법제도화 하고 있으나 국내 연구현장은 인식부족과 인프라 미비로 연구데이터 관리지침 및 관리계획 등이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가의 연구데이터 관리지침(미국 NISO DMP, 영국 UK 아카이브 DMP 등)을 조사하여 연구데이터 관리계획의 주요 단계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결과는 연구데이터 정책 계획 지원, 연구데이터 기술적 지원, 연구데이터 공유 활용 지원, 연구데이터 법적 매커니즘 지원, 연구데이터 교육 지원이다. 데이터 활용도가 가장 높은 생명공학분야 국내외 7개 기관의 연구데이터 공유 활용 사례를 연구데이터 관리 구성요소, 연구데이터 공유방법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유럽생물정보학연구소와 미국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는 연구데이터 공유 활용을 하고자 연구데이터 관리계획, 문서화, 데이터포맷, 데이터 저장, 공유 및 접근, 보존 등 관리를 위한 각 단계를 시행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연구성과물 중 생물자원에 대한 제출만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계획(DMP)지원, 기술적 지원, 공유 활용 체계 지원, 법적 저작권 지원 등에 대한 가이드 및 매뉴얼 제작 배포로 국내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 활용 대책을 연구데이터 관리계획 단계별로 마련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ajor steps of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plan were derived through the research data management guidelines of major countries (NISO DMP in the US, UK DMP in UK archives, etc.). The results obtained are support for research data policy & planning, research data technical support, r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데이터란? 연구데이터(Research data)란 연구 수행 중 생성되거나 작성된 모든 정보로서 최종결과물 뿐만 아니라 중간생성물도 포함하며, 실험․관찰․시뮬레이션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도 포괄한다.3)4) 연구데이터 유형에는 연구데이터는 원자료(raw data), 추출데이터(derived data), 출판된 데이터(published data)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원자료는 실험이나 측정, 관찰의 결과로서 직접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추출데이터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거나 물리적으로 의미 있는 좌표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특정 표준이나 절차에 의거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말한다.
연구데이터의 유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연구데이터(Research data)란 연구 수행 중 생성되거나 작성된 모든 정보로서 최종결과물 뿐만 아니라 중간생성물도 포함하며, 실험․관찰․시뮬레이션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도 포괄한다.3)4) 연구데이터 유형에는 연구데이터는 원자료(raw data), 추출데이터(derived data), 출판된 데이터(published data)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원자료는 실험이나 측정, 관찰의 결과로서 직접적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하고, 추출데이터는 데이터의 양을 줄이거나 물리적으로 의미 있는 좌표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특정 표준이나 절차에 의거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말한다. 출판된 데이터는 출판물에 게시되거나 인용된 데이터로서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근거로 사용된 데이터를 말한다.
생명공학분야에 대한 국내외 연구데이터 공유방법의 차이점은? 데이터 활용도가 가장 높은 생명공학분야 국내외 7개 기관의 연구데이터 공유 활용 사례를 연구데이터 관리 구성요소, 연구데이터 공유방법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유럽생물정보학연구소와 미국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는 연구데이터 공유 활용을 하고자 연구데이터 관리계획, 문서화, 데이터포맷, 데이터 저장, 공유 및 접근, 보존 등 관리를 위한 각 단계를 시행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연구성과물 중 생물자원에 대한 제출만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데이터 관리계획(DMP)지원, 기술적 지원, 공유 활용 체계 지원, 법적 저작권 지원 등에 대한 가이드 및 매뉴얼 제작 배포로 국내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 활용 대책을 연구데이터 관리계획 단계별로 마련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강주연. 2017. 생명공학분야 연구데이터 관리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Gang, Ju-yeon. 2017. A Study o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the Method to Improve Biotechnology Research Data Management. Master thesis.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 김규빈. 2015. 과학데이터관리에 관한 해외 법제의 비교법적 고찰. 과학기술과 법, 6(1): 1-38. (Kim, kyu bin. 2015.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Science, Technology and Law, 6(1): 1-38.) 

  3. 김문정, 김성희. 2015. 과학기술분야 연구자의 연구데이터 공유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2): 313-334. (Kim, Moonjeong and Seonghee Kim.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haring of Research Dat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313-334.) 

  4. 김선태. 2012. 해양관측분야 메타데이터 표준요소 선정 및 설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im, Sun-Tae. 2012. A Study on Extraction and Design of Standardized Elements on Metadata for Ocean Observational Dat. Ph. D. diss.,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5. 김선태, 한선화, 이태영, 김용. 2010. 과학데이터 보존 및 활용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4): 81-93. (Kim, Sun-Tae, Sun-Hwa Han, Tae-Young Lee, and Yong Kim. 2010. "A Study on a Model for Using and Preserving Scientific Data."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81-93.) 

  6. 김은정, 남태우. 2012. 연구데이터 수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9(2): 27-44. (Kim, Eun-Jung and Tae-Woo Nam. 2012. "Factor Analysis of Effects on Research Data Collection."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2): 27-44.) 

  7. 김지현. 2011. 자연과학분야 대학실험실에서의 연구노트 작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139-159. (Kim, Jihyun. 2011. "A Study on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Laboratory Notebooks in Scientific Laboratories of a University."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139-159.) 

  8. 김지현. 2012.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433-455. 

  9. 김지현. 2013. 국외 정부연구비지원기관의 연구데이터 관리정책 분석: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251-274. (Kim, Jihyun. 2013. "An Analysis of Data Management Policies of Governmental Funding Agencies in the U.S., the U.K., Canada and Australia."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3): 251-274.) 

  10. 김지현. 2014.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에 관한 연구: 미국 연구중심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5(3): 165-189. (Kim, Jihyun. 2014. "A Study on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of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S."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165-189.) 

  11. 김지현. 2015.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3): 413-436. (Kim, Jihyun. 2015.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Researchers on Data Management and Sharing."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3): 413-436.) 

  12. 김지현. 2016. 연구데이터 레포지터리의 데이터 접근 및 이용 통제 정책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3): 213-239. (Kim, Jihyun. 2016. "A Study on Policy Components of Data Access and Use Controls in Research Data Reposito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213-239.) 

  13. 윤종민, 김규빈. 2013. 과학데이터에 관한 입법례와 관리정책 그리고 대응방안: 호주, 미국,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기술혁신학회지, 16(1): 63-100. (Yoon, Chong-min and Kyubin Kim. 2013. "Legislation Cases, Management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on Scientific Data - Focusing Australi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6(1): 63-100.) 

  14. 최명석, 이승복, 이상환. 2017.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과학데이터 관리 현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2): 117-126. (Choi, Myung-Seok, Seung-Bock Lee, and Sanghwan Lee. 2017. "Research Data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117-126.) 

  15. Eschenfelder, K. R. and A. Johnson. 2014. "Managing the data commons: Controlled sharing of scholarly data."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9): 1757-1774. 

  16. Eynden, Veerle Van den, Matthew Louise Corti, Libby Bishop Woollard, and Laurence Horton. 2011. Managing and Sharing Data: Best Practice For Researchers, Third Edition. UK: UK Data Archive. 

  17. OECD. 2007. OECD Best Practice Guideline for Biological Resource Centres. France: OECD. 

  18. UK Data Archive. 2011. Managing and Sharing Data: Best Practice For Researchers. UK: UK Data Archiv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