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생물 크릴(Euphausia superba)이 흰쥐의 혈청 유리지방산 및 전해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rill (Euphausia superba) on Free Fatty Acid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s in Rat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1, 2018년, pp.186 - 193  

진동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오다영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동수 (전남대학교 해양바이오식품학과) ,  정헌식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동섭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성종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이조성에 동결 건조한 krill (Euphausia superba) meal을 첨가 하였을 때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유리지방산(non-esterified fatty acid, NEFA), blood urea nitrogen(BUN), creatinine, uric acid 및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식이조성은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GC군(krill meal 미함유)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10.0%, 20.0%, 30.0%의 krill meal 급여군을 각각 G10군, G20군, G30군으로 구분하였다.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NEFA와 BUN 농도는 krill meal 급여군(G10군, G20군, G30군)에서 대조군(GC 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된 결과를 보였고, creatinine과 uric acid 농도는 G10군에서는 GC군과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G20군과 G3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전해질 농도에서 total calcium (T-Ca)은 G20군과 G30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인(Pi) 농도는 각 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values on Sprague-Dawley rats, while used krill (Euphausia superba) meal diet for 5 weeks. Seven-week-old mal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6) and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three different kr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가공처리, 변색 및 육질의 가수분해, 갑각에 내포된 높은 불소함량 등의 문제 때문에 식품개발은 어려운 실정이다[15,16]. 본 연구는 krill meal을 첨가한 식이 급여가 흰쥐의 혈청 NEFA, BUN, creatinine, 요산 농도 및 전해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리지방산의 증가가 전해질 불균형과 심장병 등의 질병에 끼치는 영향은? 유리지방산(non-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어, 체내 인슐린 기능이 정상일 경우 NEFA의 농도 조절이 이루어지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면 NEFA를 방출하게 되어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 이상이나 신장 기능 저하 때문에 전해질의 불균형이 일어나며[4], blood urea nitrogen (BUN) 및 creatinine 농도는 신장 기능의 지표로 이용되는데[5] 신장 기능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BUN 및 creatinine의 농도가 증가하여 급성 뇌졸중[6], 열공성 뇌경색[7], 대동맥죽상경화 및 고혈압성 심장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8]. 또한, 요산은 DNA 퓨린체의 대사산물이며, 신장에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퓨린체 대사이상에서 그 농도가 상승하면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이 발생하므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비만 등 합병증을 동반하여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장애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크릴의 특징은? 또한, 요산은 DNA 퓨린체의 대사산물이며, 신장에서 배설되기 때문에 신장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퓨린체 대사이상에서 그 농도가 상승하면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이 발생하므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 비만 등 합병증을 동반하여 허혈성 심장질환이나 뇌혈관장애의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 남대양에서 어획되는 크릴(Euphausia superba)은 양질의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 및 풍부한 인지질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미래 식량 자원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10,11]. 크릴의 불포화지방산은 심장병 및 치매에 효과적이며 알칼리성 천연 polysaccharide를 함유하고 있어 항종양, 면역 증진, 미생물 생장억제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2-14].
유리지방산의 증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생활수준의 향상 및 서구화된 식생활 증가로 인한 환경적 요소에 의해 고지혈증, 고요산혈증, 신부전, 통풍 등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당뇨 및 고혈압 등에 대한 개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1,2]. 유리지방산(non-esterified fatty acid, NEFA)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 있어, 체내 인슐린 기능이 정상일 경우 NEFA의 농도 조절이 이루어지지만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면 NEFA를 방출하게 되어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 이상이나 신장 기능 저하 때문에 전해질의 불균형이 일어나며[4], blood urea nitrogen (BUN) 및 creatinine 농도는 신장 기능의 지표로 이용되는데[5] 신장 기능의 장애가 발생할 경우 BUN 및 creatinine의 농도가 증가하여 급성 뇌졸중[6], 열공성 뇌경색[7], 대동맥죽상경화 및 고혈압성 심장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A. Kang, K. H. Jang, K. H. Hong, W. A. Choi, K. H. Jung, I. Y. Lee, “Effects of dietary ${\beta}$ -glucan on adiposity and serum lipids levels in obese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31, No. 6, pp. 1052-1057, (2002). 

  2. C. P. Wen, K. Matsushita, J. Coresh, K. Iseki, M. Islam, R. Katz, W. McClellan, C. A. Peralta, H. Y. Wang, D. Zeeuw, B. C. Astor, R. T. Gansevoort, A. S. Levey, A. Levin, “Relative risks of chronic kidney disease for mortality and end-stage renal disease across races are similar,” Kidney Int., Vol. 86, No. 4, pp. 819-827, (2014). 

  3. M. Gil-Campos, M. C. Ramirez Tortosa, C. M. Aguilera, R. Canete, A. Gil, “Fasting and postprandial adiponectin alterations anticipate NEFA and TNF- ${\alpha}$ changes in prepubertal obese children,” Nutr. Metabolism Cardiovascular Diseases, Vol. 21, No. 1, pp. 62-68, (2011). 

  4. P. Manna, M. Sinha, P. C. Sil, “Taurine plays a beneficial role against cadmiuminduced oxidative renal dysfunction,” Amino Acids, Vol. 36, No. 3, pp. 417-428, (2009). 

  5. M. A. Kwon, G. S. Kim, J. K. Hong, H. S. Jo, J. K. Kim, M. K. Yang, B. D. Lee, “The effects of 0.45% and 0.9% saline solutions on serum sodium concentrations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Korean J. Anesthesiol., Vol. 44, No. 4, pp. 462-468, (2003). 

  6. W. C. Lin, H. M. Shih, L. C. Lin, “Preliminary prospective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early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ratio-based hydration therapy on poststroke infection rate and length of stay in acute ischemic stroke,” J. Stroke Cerebrovascular Diseases, Vol. 24, No. 12, pp. 2720-2727, (2015). 

  7. J. W. Schrock, M. Glasenapp, K. Drogell, “Elevated blood urea nitrogen/creatinine ratio is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Clinical Neurol. Neurosurgery, Vol. 114, No. 7, pp. 881-884, (2012). 

  8. T. Akimoto, C. Ito, M. Kato, M. Ogura, S. Muto, E. Kusano, “Reduced hydration status characterized by disproportionate elevation of blood urea nitrogen to serum creatinine among the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Med. Hypotheses, Vol. 77, No. 4, pp. 601-604, (2011). 

  9. A. H. Wu, J. D. Gladden, M. Ahmed, A. Ahmed, G. Filippatos, "Relation of serum uric acid to cardiovascular disease," Int. J. Cardiol., Vol. 213, pp. 4-7, (2016). 

  10. A. Clarke,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krill, Euphausia superba Dana, from Shouth Georgia,” J. Experimental Marine Biol. Ecol., Vol. 43, No. 3, pp. 221-236, (1980). 

  11. H. S. Kim, M. A. Kim, Y. Duan, D. S. Kang, S. H. Jang, J. Y. Ryu, C. S. Lee, W. K. Lee,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s of krill (Euphausia superba),” J. Environ. Sci. Int., Vol. 23, No. 2, pp. 165-170, (2014). 

  12. D. S. Kim, J. R. Do, I. S. Park, S. K. Rhee,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chitosan using krill (Euphausia superba Dan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pplied Biological Chem., Vol. 43, No. 4, pp. 309-313, (2000). 

  13. H. S. Kim, M. A. Kim, Y. Duan, S. H. Jang, D. S. Kang, W. K. Lee, C. S. Lee, J. Y. Ryu, “Fatty acid compositions, mineral and vitamin contents of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J. Environ. Sci. Int., Vol. 23, No. 1, pp. 47-52, (2014). 

  14. K. O. Kim, H. A. Moon, D. W. Jeon,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7, No. 3, pp. 420-427, (1995). 

  15. J. C. Gigliotti, M. P. Davenport, S. K. Beamer, J. C. Tou, J. Jaczynski, “Extraction and characterisation of lipids from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Food Chem., Vol. 125, No. 3, pp. 1028-1036, (2011). 

  16. S. K. Rhee, D. S. Kim, “The effective utilization techniques of krill resources in antarctic ocean as new protein food,” J.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Vol. 32, No. 1, pp. 90-98, (1999). 

  17. H. S. Kim, M. A. Kim, S. H. Jang, “Influences of Korean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on lipid concentration in hypercholesterolemia,” J. Environ. Sci. Int., Vol. 23, No. 5, pp. 793-800, (2014). 

  18. C. M. Aguilera, M. Gil-Campos, R. Canete, A. Gil, “Alterations in plasma and tissue lipid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Clinic. Sci., Vol. 114, No. 3, pp. 183-189, (2008). 

  19. S. S. Shankar, H. O. Steinberg, “FFAs: do they play a role in vascular disease in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Current Diabetes Rep., Vol. 5, No. 1, pp. 30-35, (2005). 

  20. B. H. Kang, H. Y. Son, C. S. Ha, H. S. Lee, “References values of hematology and serum chemistry in Ktc: Sprague-Dawley rats,” Korean J. Lab. Animal Sci., Vol. 11, No. 2, pp. 141-145, (1995). 

  21. L. Shavit, M. Lifschitz, I. Galperin, “Influence of enteric nutrition on blood urea nitrogen (BUN) in very old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 54, No. 1, pp. 228-231, (2012). 

  22. M. C. Odden, A. R. Amadu, E. Smit, L. Lo, C. A. Peralta, “Uric acid levels, kidney function,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US adul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1988-1994 and 1999-2002,” American J. Kidney Diseases, Vol. 64, No. 4, pp. 550-557, (2014). 

  23. X. Guo, Y. Qin, K. Zheng, M. Gong, J. Wu, W. Shou, X. Cheng, X. Liangyu, E. Xu, X. Li, L. Qiu, “Improv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stimation using new equations combined with standardized cystatin C and creatinine in chinese adult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Clinic. Biochem., Vol. 47, No. 13, pp. 1220-1226, (2014). 

  24. M. Volterrani, F. Iellamo, B. Sposato, F. Romeo, "Uric acid lowering therapy in cardiovascular diseases," Int. J. Cardiol., Vol. 213, pp. 20-22, (2016). 

  25. E. Ritz, M. L. Gross, R. Dikow, "Role of calcium-phosphorous disorders in the progression of renal failure," Kidney Int., Vol. 68, pp. S66-S70, (2005). 

  26. S. Nakai, T. Akiba, J. Kazama, K. Yokoyama, M. Fukagawa, Y. Tominaga, K. Iseki, Y. Tsubakihara, “Effects of serum calcium, phosphorous, and intact parathyroid hormone levels on survival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in Japan,” Therapeutic Apheresis Dialysis, Vol. 12, No. 1, pp. 49-5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