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
Analyzing Urban Regeneration Effects - Focused on Jungang-Dong, Cheongju City -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4 no.1, 2018년, pp.61 - 75  

한동욱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태영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주수민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혜주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홍명기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화학공학부) ,  백종인 (충북대학교 대학원 환경도시화학공학부) ,  반영운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는 2006년 이래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도시 재생사업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 정성적인 방법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상업지역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에 있는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동인구, 공시지가 공실률을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지표로 선정하였다. 분석시점은 도시재생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2013년을 기점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이다. 분석결과, 첫째, 유동인구는 차츰 증가하다가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되던 2014년에 약 65퍼센트의 증가율을 보였다. 둘째, 공시지가는 도시재생이 시작한 2011-2012 시점에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고 2015년까지 증가폭이 점차 줄어들면서 2015-2016년에는 미세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공실률은 꾸준한 하향곡선을 그리며 27퍼센트에서 12퍼센트로 약 15퍼센트포인트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상업지역의 도시재생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데서 학술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began in 2006 and has actively proceeded for 10 years. Also, there are a lot of studies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have analyzed urban regeneration effects but have just focu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has intended to analyze the urban rege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수집된 모니터링 자료를 기반으로 특정 도시재생사업이 재생효과지표(유동인구, 공시지가, 공실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파악하기 위해 진행되었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 첫째, 도시재생의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도시재생효과를 계량적인 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동인구, 공시지가, 공실률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도시재생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둘째, 단기적으로 비교분석을 한 연구가 있지만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비교적 다년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 앞서서 과 같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도시재생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사용한 지표와 방법을 조사해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상업지역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에 있는 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 중앙동 사업 대상지 내 도활사업의 운영 전, 운영기간 내, 운영 후의 상가 업종 및 업태의 변화율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초현황 조사가 진행하였다. 문헌 및 포털사이트를 활용한 조사 방법은 정확한 현황파악에 한계가 있어 현장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생효과지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중앙동의 층별 현황이용을 분석한 결과 주로 1층은 식품(요식업)이 주를 이루고 있고, 빠른 소비와 회전을 위한 유동인구가 적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중앙동 도시재생을 통하여 유동인구 증가, 공시지가 증가, 공실률 감소라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효과를 더욱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현행 사업들의 꾸준한 유지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Urban Regeneration의 정의는 무엇인가? 그러나 Regeneration의 사전적 의미는 ① (정신적·도덕적인)갱생, 신생, ② 재건, 부흥, 부활, ③ 개혁, 쇄신; 재생 등으로 물리적 재건뿐만 아니라 정식적인 면의 개혁 및 쇄신 개념까지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Regeneration을 과거 번성의 유무보다는 미래의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Urban Regeneration을 “예전의 번성과는 상관없이, 현재 낙후되거나 쇠퇴한 도시에 대하여 물리적 재건과 정신적 개혁 및 쇄신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해당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정의한다.1)
도시재생효과 지표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도시재생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건축물 용도, 층수 현황, 빈 점포 현황, 유동인구, 종사자 수, 빈 건물 수, 나대지수, 토지이용, 건축물 상태, 접근성, 녹지비율, 교육, 문화, 복지, 산업, 고용, 부동산 가치, 접근성, 인접성, 이벤트 및 축제, 랜드 마크, 인구 수, 사업체 수 변화, 고용자수 등 다양한 지표가 사용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계층화 분석기법(AHP), 회귀분석, 중요도 분석, 요인분석 등통계기법을 이용한 방법들이 다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권은혜, 2016,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민참여 정도와 공동체의식 수준을 중심으로. 

  2. 김건태, 2016, 도시재생 지역선정 평가지표 연구. 

  3. 김경훈, 2013,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의 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창원시 창동예술촌 조성을 중심로. 

  4. 김공양, 2016, 도시재생사업 사례의 성과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창원(마산)시를 중심으로. 

  5. 김진주, 2017,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방문자와 지역주민의 태도 비교: 대구 근대골목 사례를 중심으로. 

  6. 김태동,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 비교 분석. 

  7. 박민희, 2017, 방문자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마케팅영향요인 분석: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8. 박종희, 2017, 공공디자인 개념의 도입을 통한 도시재생방안 연구: 의왕시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9. 성순아, 2015, 도시재생사업에 주민참여활동의 영향: 창원시와 청주시 사례 중심으로. 

  10. 심보영 외, 2017, 도시재생지역의 인구와 산업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도시재생선도지역을 중심으로. 

  11. 오후, 2017, 도시재생사업이 장소성 형성에 미친 영향 분석-청주시 중앙동. 

  12. 유현지, 2014, 유형별 도시재생 사업이 지역활성화에 미친 영향. 

  13. 이수진 외, 2017,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14. 이정동, 2015,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지표도출 및 거버넌스 체계에 관한 연구: 창원, 전주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15. 정형진, 2017, 공공과 민간주도 산업단지 재생사업의 집단화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16. 조민일, 2017, 주민참여형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관한연구: 전남 목포시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17. 황종헌, 2017, 민간주도형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의식에 관한 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18. 황희연 외, 2014, 도시재생사업의 주민만족도에 대한 창원과 청주 사례비교분석. 

  19. 황희연 외, 2015,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참여활동이 지속적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청주시 사직 2동을 중심으로. 

  20. 황희연 외, 2015, 도시재생 상권활성화 프로그램 효과 분석-청주시 중앙동을 중심으로. 

  21. Jung-Ho Yu, 2011,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22. Stephen E Gilmean, 2017,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grammes on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ur: Evaluation of the Dutch District Approach 6.5 years from the star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